인하대학교는 백광준 조선해양공학과 교수와 이준희 박사과정 학생이 최근 Coanda 효과를 적용한 차세대 친환경 프로펠러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Coanda 효과는 공기나 물 같은 흐르는 물질인 유체가 곡면을 따라 흐르려는 성질을 말한다. 이번 연구에선 Coanda 효과를 활용한 새로운 형태의 프로펠러를 설계했다. Coanda 효과를 적용한 프로펠러는 저회전 조건에서도 추가적인 양력을 생성해 추진력을 유지하며 회전 토크 감소를 통해 전력 사용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기존 에너지 절감장치(ESD)의 복잡한 구조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연구진은 개발한 프로펠러를 대상으로 자항 추진(Self-propulsion) 조건에서의 성능을 수치적으로 분석했다. 실제 선박처럼 스스로 앞으로 나아가는 조건에서 성능을 측정한 것이다. 연구는 6500t급 유조선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시간에 따라 변하는 복잡한 유체 흐름을 분석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기법인 URANS 기반의 CFD 해석을 통해 기존 프로펠러 대비 약 7.8%의 추진 동력 절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 특히 일반적인 균일 유동 조건이 아닌 실제 선박 환경을 반영해 평가했기 때문에 기술
동일기연이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해 배터리 생산 공정에 필요한 EMC 솔루션, ESD 솔루션, 비전검사 솔루션 등을 선보였다.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인 인터배터리는 올해로 13회째를 맞았다. 3일 동안 진행되는 이번 전시회는 688개 기업, 2330개 부스로 열려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인터배터리는 배터리 원재료부터 소재, 장비·시스템, 배터리 제조, 재사용·재활용까지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총망라한다. EMI/EMC 필터는 EV 충전기 및 ESS BPU의 전자파 노이즈를 제거해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적용된다. 동일기연 EMC 솔루션은 광범위한 전압, 전류, 설치 환경 등에 안정적으로 사용 가능한 다양한 EMC 부품 라인업을 제공한다. 동일기연이 전시회에서 선보인 정전기 제거 이오나이저 및 센서는 2차 전지 생산 현장의 정전기성 문제를 해결하여 수율을 개선하는 제품이다. 동일기연 ESD 솔루션은 다양한 공정 환경에 설치 가능한 제품 라인업을 갖추고 있으며 오토밸런스 특허 기술을 기반으로 유지보수를 최소화하며 장기간 제전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동일기연은 EMI/EMC 솔루션을 개발하는 기업이다. 신제품에 대한 연구개발, 생산라인 고도화를 통
각종 애플리케이션 연결부터 데이터 보호까지 ‘한 큐에’ 가능해 어드밴텍이 산업용 이더넷(Ethernet) 스위치 ‘EKI-2718E-2CI’를 새롭게 론칭했다. 이 제품은 포트 16개, GE 콤보 고속 이더넷 포트 2개로 구성된 네트워크 솔루션으로, 호환성·연결성·보안성이 갖춰진 것으로 알려졌다. 원터치 VLAN 기능이 내장돼 기기·인프라 간 직관적인 확장이 가능하다. 특히 DIP 스위치를 통해 VLAN·QoS(Quality of Service)를 비롯해, BSP(Broadcast Storm Protection) 등 설정을 쉽게 활성화할 수 있다. 해당 기능은 네트워크 세분화를 간소화해 감시 비디오, 운영 데이터 등 민감 데이터를 보호하는 핵심 역할을 한다. 어드밴텍은 산업 내 다양한 네트워크 상황에서 유연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EKI-2710E-2CI, EKI-2716EI, EKI-2716GI 등 제품도 함께 제공한다. 이번 신제품은 이중화(Duplication) 전원, 딘 레일(DIN Rail) 등이 탑재됐고, 전자파 적합성 인증 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레벨 4를 충족한다. 여기에 정전기 방전(Electro Sta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의 지멘스 EDA 사업부가 차세대 IC(집적회로) 설계의 복잡성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정전기 방전(ESD) 문제를 신속하게 식별하고 해결할 수 있는 완전 자동화된 솔루션을 발표했다. 이번에 공개된 솔루션은 지멘스의 Calibre PERC 소프트웨어의 강력한 성능과 AI 기반 지능형 IC 설계 검증 플랫폼인 솔리도 시뮬레이션 제품군(Solido Simulation Suite)의 입증된 SPICE 정확도를 결합한 것이다. 이 솔루션은 IC 설계의 모든 단계에서 파운드리 룰 준수를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며, 전체 칩 레벨 검증을 지원하여 엔지니어링 팀이 기존 및 신규 공정 노드 모두에서 설계 및 제조 과제를 더 잘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 상황인지형 검사을 통해 결과의 정확성을 개선하는 동시에 물리적, 회로, 전기 및 신뢰성 IC 설계 검증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지멘스의 새로운 소프트웨어는 상세한 트랜지스터 수준 고장 모델을 통해 파운드리 룰에 위배될 수 있는 ESD 경로를 신속하게 식별하고 시뮬레이션하여 위험 경로를 SPICE 수준의 정밀도로 식별, 자동으로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국내 및 아시아 애플 앱스토어·구글 플레이스토어 플랫폼서 매출 상위권 랭크 넷마블은 이달 6일 출시한 모바일 기반 방치형 PRG ‘세븐나이츠 키우기’가 출시 5일 만에 국내 애플 앱스토어 및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매출 상위권을 차지했다고 전했다. 세븐나이츠 키우기는 오늘(11일) 기준 양 플랫폼 국내 시장에서 매출 최상위 차트에 진입했는데, 애플 앱스토어 1위, 구글 플레이스토어 2위 등을 기록했다. 넷마블은 여기에 대만·태국·일본 등에서 선전했는데, 특히 태국에서는 오늘 기준 애플 앱스토어 3위, 구글 플레이스토어 8위 등 매출 순위를 기록했다고 알렸다. 한편, 넷마블은 세븐나이츠 키우기 정식 출시를 기념해 ‘론칭 기념 1777 뽑기 출석부’, ‘세븐나이츠 소환권 1장 지급’ 등 이벤트를 진행 중이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반도체 개발 단계에서 발생하는 ESD 관련 신뢰성 문제를 사전에 파악해 보호 회로 성능 향상 큐알티가 22일인 오늘 TLP(Transmission Line Pulse) 장비를 활용해 ESD(Electro-Static Discharge, 정전기 방전) 신뢰성 서비스 강화에 나선다고 밝혔다. TLP 장비는 정전기 방지를 위해 반도체 칩 내부에 설계된 ESD 보호 회로가 반도체 공정에 따라 설계 영역 내에서 정상 동작하는지 평가, 분석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ESD 현상이 발생할 시 ESD 보호 회로가 견딜 수 있는 최대 전류, 전압, 저항값 등을 구체적인 데이터로 구현한다. TLP 장비를 통해 확보된 데이터 값은 반도체 개발 단계에서 발생하는 ESD 관련 신뢰성 문제를 사전에 파악해 보호 회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TLP는 웨이퍼 레벨뿐 아니라 패키지 레벨에서도 소자 및 회로 평가가 가능해 ESD 불량 원인 분석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국내 반도체 시험인증 전문기관 중에서는 유일하게 큐알티가 해당 장비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당 장비 도입으로 큐알티는 ESD 신뢰성 평가의 분석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게 되었다. 기존 E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폼랩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2에서 폼 3+와 폼 3B+ 및 최신 3D프린터용 소재인 ESD 레진을 선보인다. 이번에 출시된 프린터는 폼랩이 2019년에 상표등록한 LFS 기술을 3년간 크게 개선시킨 결과물이다. 폼 3와 폼 3B보다 성능이 개선된 신제품 폼 3+와 폼 3B+는 인쇄 속도와 품질, 지지대 제거 기능이 크게 향상됐고 전반적으로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가 업데이트됐다. 폼랩은 제품의 사용자 경험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으며 속도, 품질 및 업무 흐름의 효율성을 염두에 두고 폼 3+와 폼 3B+를 설계했다. 폼 3+와 폼 3B+는 강력한 고강도 레이저와 새로운 재료 설정을 활용하여 레이저 노출을 최적화하고 이전 모델보다 최대 40% 더 빠르게 인쇄한다. 이번에 출시된 폼 3+ 및 폼 3B+에는 차세대 빌드 플랫폼 2가 포함되어 있다. 이 플랫폼은 폼랩이 특허받은 퀵 릴리즈 기술이 적용돼 유연한 인쇄 표면을 사용하여 빌드 플랫폼에서 부품을 즉시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별다른 도구 필요 없이 인쇄면에서 부품을 몇 초 만에 빠르고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이는 기존 3D
필자가 크고 작은 기업들을 방문해 보면, 대부분의 경우 ESD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거나, 국제 표준에 대한 바른 이해와 교육 없이 본인의 판단에 의해 또는 인터넷에서 찾은 근거 없는 자료들을 기반으로 ESD 제어를 실행하고 있었다. 또한 기업 및 엔지니어들은 정전기를 미스테리한 현상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은 반면, 해결책은 상당히 미숙한 방법이 제시되거나 사용되고 있었다. 대부분의 기업에서는 생산 공정 장비를 구매하거나 검토할 때 상당한 준비와 학습을 병행하며 진행하게 된다. ESD Association을 비롯한 표준 제정 단체에서 오랫동안 활동하거나 교육 받은 사람이라면, 사실 이러한 절차가 ESD 제어 재료를 선정할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된다는 것을 알고 있을 것이다. 연재 1회에서도 밝혔지만, 현재 우리나라 산업계에서는 절차를 준수하며 차분하게 개발 및 생산이 진행되기보다는 빨리 빨리 제조 및 개선을 진행하는 문화가 광범위하게 퍼져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제조 현장에서 사용할 재료를 차분하게 평가한다는 것은 생각할 수도 없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주변에서 좋다고 제안하는 모든 재료를 아무런 사전 평가 없이 제조 현장에 바로 사용하게 되고, 이로 인해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