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이캣이 아마존 웹 서비스(이하 AWS)의 ‘AWS 파트너 소프트웨어 패스(AWS Partner Software Path)’ 인증을 획득했다고 14일 밝혔다. AWS 소프트웨어 패스는 솔루션 구축, 교육, 컨설팅, 전문 서비스 제공 등 모든 분야에서 AWS와의 파트너십을 가속화하고 비즈니스 성장을 지원하는 프레임워크다. AWS의 기술적 기준을 충족하는지 검증하는 AWS FTR은 AWS 파트너사가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솔루션이 AWS 환경에서 보안, 안정성, 운영 우수성을 충족하는지 검토하는 절차다. AWS의 모범 사례에 따라 데이터 보호, 비용 최적화, 서비스 가용성, 성능 안정성 등 다양한 요소를 평가하며, 이를 통과한 솔루션만이 AWS 공식 인증을 받을 수 있다. 이번 인증을 획득한 브이캣은 상품페이지 URL만 입력하면 숏폼 영상과 배너 이미지를 자동제작 해주는 AI 기반 마케팅 콘텐츠 자동화 솔루션이다. 브이캣은 마케팅 소재 제작량이 많은 커머스 플랫폼과 다양한 컨셉의 이미지와 영상을 빠르게 제작해야 하는 대형 브랜드에서 사용이 두드러진다. 최근에는 브랜드의 스튜디오 촬영을 대체할 수 있는 신규 솔루션 ‘브이캣 크리젠’을 출시해, 기획부터
AWS가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한 ‘생성형 AI 도입 지수(Generative AI Adoption Index)’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 89%가 생성형 AI를 실험 중이며, 45%는 이미 운영 단계로 전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25년에는 전체 IT 예산 중 보안(20%)과 컴퓨팅(17%)을 합한 수치보다 높은 54%를 생성형 AI에 투자할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액세스 파트너십과 공동으로 수행됐으며, 금융·제조·유통 등 주요 산업군의 국내 IT 의사결정권자 424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 국내 기업 63%가 생성형 AI 도입 가속화를 위해 최고 AI 책임자(CAIO)를 새롭게 임명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96%는 2025년에 관련 역량이 요구되는 직무 채용을 계획 중이다. 샤운 난디 AWS AGS 테크놀로지 디렉터는 “AI 시대에 있어 최고 AI 책임자(CAIO)의 역할은 필수불가결할 것”이라며 “AI 리더십은 조직 내 혁신 문화를 설계하고 비즈니스 성과를 창출하는 전략 수립의 중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직들은 내부 인력의 역량 강화와 외부 전문가 채용을 병행하는 이중 전략으로 인재 수급
한국전파진흥협회(RAPA)와 아마존웹서비스(AWS)코리아가 오는 7월부터 고용노동부 K-디지털트레이닝 ‘첨단산업‧디지털선도기업아카데미’의 일환으로 ‘AWS AI School’을 새롭게 개설한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과정은 클라우드 및 인공지능(AI) 기술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실무형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신설되는 AWS AI School은 데이터 분석 및 고급 시각화,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한 모델링, CI/CD 파이프라인 자동화 등 실무 중심의 고급 커리큘럼을 구성해 AI 분야 전문성을 갖춘 인재 양성에 주력한다. 특히 프로그래밍 역량을 갖춘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수준 높은 프로젝트 기반 교육이 이뤄질 예정이다. 이는 기존 ‘AWS Cloud School’의 성과를 바탕으로 한다. AWS Cloud School은 2023년부터 클라우드 컴퓨팅, DevOps, 데이터 엔지니어링 등 산업 수요 중심의 교육을 통해 9기까지 총 238명의 수료생을 배출하며 삼성전자, KT, LG유플러스, 현대오토에버 등 국내 주요 대기업 및 AWS 글로벌 법인, 파트너사에 다수 취업시키는 성과를 냈다. 교육 과정에는 AWS 현직 솔루션즈 아키텍트(SA)의 프로젝트 멘토링
아마존이 오는 2026년 말까지 칠레에 아마존 웹 서비스(AWS) 인프라 리전을 개설하고 4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새롭게 개설되는 AWS 남미(칠레) 리전은 데이터 주권 요건을 충족시키는 동시에 칠레 및 라틴 아메리카 지역의 고객이 더 낮은 지연 시간으로 고성능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새 리전은 3개의 가용 영역(Availability Zones)으로 구성되며 AWS 글로벌 인프라 네트워크 내 36번째 리전이 된다. 칠레 리전 개설로 현지 고객은 인공지능(AI), 머신러닝(ML), IoT, 생성형 AI 등 AWS의 고급 기술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디지털 서비스를 빠르게 구축할 수 있게 된다. AWS 인프라 서비스 부사장 프라사드 칼리아나라만(Prasad Kalyanaraman)은 “AWS 남미(칠레) 리전은 라틴 아메리카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는 핵심 거점이 될 것”이라며 “교육, 인재 양성, 지역 고용 창출에도 기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칠레 정부 역시 이번 발표를 환영했다. 칠레 과학기술지식혁신부 아이센 에체베리 장관은 “AWS 리전 설립은 칠레의 국가 데이터 센터 전략과 부합하며 기술 산업 성장 기반을 강화
코드트리(Codetree)가 아마존웹서비스(이하 AWS)와 함께 전국 대학생 프로그래밍 경진대회 ‘2025 ACPC(AWSXCodetree Programming Contest)’를 공동 개최한다. 이번 대회는 코딩 기초 역량 증진을 통한 미래 인재를 발굴하고 개발자 간 교류 활성화를 목표로 기획됐다. 2025 ACPC는 세계 최고 클라우드 서비스인 AWS의 인프라를 활용해 국제정보올림피아드(IOI) 메달리스트 출신으로 구성된 코드트리 팀이 직접 문제를 출제 및 관리하는 프로그래밍 경진대회다. 대회는 온라인 예선과 오프라인 본선으로 진행되며 대학생(대학원생 포함)이면 학년과 전공에 관계없이 누구나 참가 가능하다. 예선에서는 코드트리 자체 코딩 역량 평가 서비스 ‘COEIC(코익)’ 온라인 테스트를 진행한다. ‘COEIC’은 AI 기반의 적응형 시험을 적용해 최소한의 문제와 시간으로도 코딩 역량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표준화된 시험이다. ‘Python’, ‘Java’, ‘C++’, ‘C’ 등 프로그래밍 언어로 문제를 풀고 답안을 제출하면 된다. 예선에 통과한 본선 대상자 100명을 대상으로 오는 25일 서울 강남구 AWS 코리아 본사에서 오프라인 본선 대회
베스핀글로벌이 아마존 웹 서비스(이하 AWS)의 ‘마이그레이션 및 현대화 컴피턴시’를 획득했다고 8일 밝혔다. 이는 복잡한 워크로드의 클라우드 전환과 현대화를 위한 기술력과 고객 성공 경험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회사는 강조했다. 이번 컴피턴시 취득은 베스핀글로벌이 쌓아온 클라우드 현대화 역량을 공식적으로 입증한 결과다. 특히 AWS 관리형 쿠버네티스 서비스인 아마존 EKS(Amazon EKS)를 기반으로 한 컨테이너 환경 전환과 운영 최적화 전문성이 핵심 기술력을 입증하는 대표 사례로 작용했다. 아울러 아마존 EKS 서비스 딜리버리 프로그램 파트너 인증도 함께 취득하며 컨테이너 기반 구축 및 운영 역량도 공식 검증받았다. 아마존 EKS는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운영의 복잡성을 줄이고 효율적인 서비스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완전관리형 서비스다. 베스핀글로벌은 고객의 주요 서비스를 위해 보안이 강화된 아마존 EKS 아키텍처와 최적화된 Add-on 구성, 로깅 및 모니터링 체계를 포함한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영 환경을 구축해왔다. 이러한 컨테이너 기반 아키텍처는 향후 서비스 확장 시 유연하고 신속한 스케일링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베스핀글로벌
아마존웹서비스(AWS)는 오는 5월 14일과 15일 양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AWS 서밋 서울 2025’를 개최한다고 3일 밝혔다. 올해로 11주년을 맞이한 ‘AWS 서밋 서울’은 2015년부터 십만 여명 이상의 관람객이 참여해 온 국내 최대 규모의 클라우드 기술 컨퍼런스로 올해 역시 역대 최대 규모인 2만2000명 이상의 관람객들이 현장을 찾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 부처 및 다양한 산업군의 리더와 IT전문가 및 일반 참가자들이 최신 클라우드 기술과 생성형 AI 혁신을 학습하고 경험할 수 있는 자리로 산업별 혁신 사례와 실무 중심의 세션이 다채롭게 마련된다. 이번 서밋은 클라우드 및 생성형 AI의 최신 혁신을 집중적으로 다루며 기조연설과 세션, 엑스포(EXPO)를 통해 참가자들에게 실질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특히 클라우드 및 생성형 AI 혁신을 다루는 70개 이상의 고객사 세션을 포함한 110개 이상의 세션과 50개 이상의 파트너사가 참여할 예정이다. 올해는 생성형 AI 중심의 엑스포 부스를 통해 일상생활의 다양한 부분을 생성형 AI로 경험할 수 있는 최신 기술과 서비스를 직접 체험할 수 있다. 행사 첫날인 ‘인더스트리 데이’의 기조연설은 함기호 AWS
토스랩이 AI 기능을 탑재한 업무용 협업툴 잔디(JANDI)를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이하 AWS)의 마켓플레이스(AWS Marketplace)에 등록했다고 밝혔다. 협업툴 잔디를 제공하는 토스랩은 AWS 마켓플레이스의 사전 등록 파트너로 선정돼 잔디 AI 기능이 포함된 인텔리전스 플랜을 SaaS 형태로 등록했다. 이에 따라 AWS를 활용하는 고객이라면 AWS 마켓플레이스에서 AI 기능이 탑재된 잔디를 쉽게 탐색하고 클릭 몇 번으로 서비스를 구독할 수 있게 됐다. AWS 마켓플레이스는 제3자 소프트웨어, 서비스, 데이터 솔루션을 손쉽게 탐색, 구매, 배포할 수 있도록 구성된 디지털 카탈로그다. 지난달까지는 미국 법인이나 대행 파트너를 거쳐 제품을 등록해야 했지만 이번 달부터 국내 독립 소프트웨어 벤더(ISV)와 채널 파트너도 한국 법인 명의로 직접 등록할 수 있다. AWS 마켓플레이스에 잔디내 AI 기능이 탑재된 인텔리전스 모델은 AWS의 아마존 베드록(Amazon Bedrock)을 활용해 구현했다. 아마존 베드록은 단일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통해 개발자들이 다양한 AI 모델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완전 관리형
아마존웹서비스(AWS)가 다음 달 14일부터 이틀간 서울 코엑스에서 국내 최대 규모의 클라우드 기술 콘퍼런스인 'AWS 서밋 서울 2025'를 연다고 9일 밝혔다. 2015년부터 10만 명 이상 고객이 참여한 이 행사는 기업 및 정부 부처의 리더와 개발자, 일반인이 생성형 인공지능(AI) 및 업계의 최신 동향과 AWS 서비스에 관해 소통하는 무료 교육 행사다. 이번 행사에서는 AWS 생성형 AI 부문 바시 필로민 부사장이 기조연설에 나서며 아마존의 저궤도 통신위성 기반 광대역 통신 서비스 ‘프로젝트 카이퍼’가 소개된다. 이와 함께 ‘생성형 AI 시대의 클라우드 혁신’을 주제로 삼성전자, 에이블리 사례가 발표되며 AWS 기술을 활용한 LG전자의 비지니스 인텔리전스(BI) 구축 사례가 소개된다. 이밖에 국내 기업으로 HL로보틱스, 두산로보틱스, GS리테일, 메가존클라우드 등이 참여한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국내 유수 대학과 협력해 연구 및 교육 영역에서도 LLM 모델 확산 중 생성형 AI 기술이 교육과 공익 분야로 확산되는 가운데, 업스테이지와 아마존웹서비스(AWS)가 손잡고 ‘AI 이니셔티브’를 출범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국내 대학교와 비영리·비정부기구(NGO)를 대상으로 AI 인프라와 기술을 무상으로 지원하며, 공공 부문에서의 AI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취지로 마련됐다. 업스테이지는 자사의 생성형 AI 기반 거대언어모델 ‘솔라(SOLAR)’를 포함해 OCR 기반 문서처리 솔루션 ‘다큐먼트 AI’ 등 주요 모델을 API 형태로 제공한다. AWS는 이 모델들이 구동될 클라우드 기반 인프라와 AI 애플리케이션 구축에 필요한 비용을 전액 지원한다. 특히, 솔라 모델은 AWS 인프라와 AI 머신러닝 서비스인 ‘아마존 세이지메이커’를 기반으로 개발돼 안정성과 성능을 인정받고 있다. 이번 이니셔티브에는 220억 개의 파라미터를 탑재한 ‘솔라 프로(Solar Pro)’가 활용되며, GPU 효율성을 극대화한 ‘깊이 확장 스케일링(DUS)’ 기술로 복잡한 작업도 원활히 처리할 수 있다. 해당 지원은 4월 8일부터 2026년 3월 31일까지 제공되며, 지원을 원하는 기관은 업
로크웰 오토메이션은 제조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간소화 및 가속화하기 위해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양사는 로크웰 오토메이션의 운영 기술(OT)과 AWS의 고도화된 클라우드 서비스 및 글로벌 인프라를 결합함으로써 제조 기업들이 자산 성능을 최적화하고 운영 현황에 대한 가시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또 원시 데이터를 실행 가능한 인사이트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확장 가능하고 안전하며 유연한 클라우드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 파트너십 체결을 통해 양사는 로크웰 오토메이션의 심도 있는 업계 전문 지식 및 차별화된 자동화 솔루션과 AWS의 고도화된 클라우드 기술로 제조기업의 보다 효과적인 디지털 혁신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특히 AWS는 산업 전용 비즈니스 부문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통해 생명과학, 자동차 및 배터리, 소비재 등 자사의 핵심 시장 및 전략을 공유하고 있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공장 현장의 데이터를 클라우드로 원활하게 연결하고, 고급 분석 및 AI 애플리케이션, 산업용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구현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전망이다. 니콜 데닐 로크웰 오토메이션 글로벌 사업 부문 부사장은 “
아마존웹서비스(AWS)가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인증제(CSAP) ‘하’ 등급 인증을 획득했다. CSAP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관리하며 공공기관에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다. AWS는 서울 리전의 컴퓨팅, 스토리지, 네트워킹, 보안 서비스 등에 대한 평가를 통해 이번 인증을 받았다. 이번 인증으로 공공기관은 AWS가 제공하는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해 안전하게 디지털 혁신을 추진할 수 있게 됐다. AWS는 AI, 머신러닝,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킹, 모바일, 보안, 분석, IoT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전 세계 수백만 고객이 사용 중이다. AWS는 전 세계 규제 기관의 보안 및 컴플라이언스 기준을 충족하고 있으며 국내 서울 리전은 수만 명의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서울대학교병원, JNPMEDI, 연암공과대학교 등이 AWS를 활용 중이다. 서울대학교병원은 확장성과 분석 기능을, JNPMEDI는 실시간 임상 데이터 접근성을 장점으로 언급했다. 또한 AWS는 국내 클라우드 인프라 확대와 인재 양성에도 투자하고 있다. 2027년까지 7조 8500억 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했고 30만 명 이상에
아마존웹서비스(AWS)는 2일 AWS 마켓플레이스의 한국 확장을 발표했다. 이번 확장을 통해 국내 독립 소프트웨어 벤더(ISV)와 리셀러 및 시스템 통합업체(SI)를 포함한 채널 파트너는 AWS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전 세계 고객에게 자사 솔루션을 직접 판매할 수 있게 됐다. 이번 확장을 통해 국내 기술 기업들은 자사의 한국 법인을 통해 혁신적인 소프트웨어 솔루션과 서비스를 글로벌 시장에 제공하며 비즈니스를 확장할 수 있다. 또한 AWS 마켓플레이스에서 소프트웨어, 데이터, 서비스를 구매하는 고객은 결제 시 한국 원화와 미국 달러 중 선택할 수 있게 됐다. 이번 확장을 통해 네오사피엔스(Neosapience), 솔트룩스(Saltlux), 슈퍼브에이아이(Superb AI) 등 국내 주요 ISV의 솔루션이 AWS 마켓플레이스에 등록됐다. LG CNS, 메가존클라우드, SK C&C 등 채널 파트너도 자사 한국 법인을 기반으로 AWS 마켓플레이스의 채널 파트너 프라이빗 오퍼(Channel Partner Private Offer, 이하 CPPO) 프로그램을 활용해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AWS 마켓플레이스는 제3자 소프트웨어, 서비스, 데
씨알케이(CRK)가 아마존 웹서비스(이하 AWS) 클라우드 시스템 기반 IoT 연동으로 언제 어디서든 냉동 및 냉장 시스템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원격 제어를 통해 효율성을 극대화한 통합관제 서비스 플랫폼 ‘CRK 스퀘어’를 정식 출시한다고 1일 밝혔다. 스퀘어는 콜드체인 시스템이 반드시 필요한 마트, 편의점, 슈퍼마켓, 저온 창고, 프랜차이즈 등 다양한 환경에서 고객이 단순히 현재 냉동 및 냉장 상태 확인을 넘어 각 설비의 에너지 사용량, 운전 데이터 집계, 원격 제어 등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매장 환경에 맞는 최적화된 실시간 관제 서비스를 손안에서 다양한 스마트 기기로 편리하게 이용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IoT 서비스를 활용해 별도 배선 설치 없이 기존 냉장 및 냉동 모니터링 시스템에 바로 적용할 수 있어 설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월 사용료 만으로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PC를 비롯한 다양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시공간 제약 없이 현재 상황을 확인하고 설정을 변경할 수 있어 운영 비용 등을 절감해 효율적인 운영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망을 기반으로 CRK는 스퀘어 런칭과 함께 원하는 고객 대상으로 ‘CRK 스퀘어 서비스’를 함께 도입,
코오롱베니트가 고객 만족도를 대폭 높인 자체 스마트홈 IoT 플랫폼으로 하이엔드 주거산업을 선도하고 있다. 코오롱베니트는 고객 니즈에 최적화된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AWS 클라우드 시스템을 기반으로 초개인화 맞춤형 서비스를 완성했다고 31일 밝혔다. 코오롱베니트는 다양한 기업과의 협업으로 효용을 높인 자체 개발 스마트홈 IoT 플랫폼을 고객에게 공급해왔다. 코오롱베니트는 코오롱글로벌, HL디앤아이한라 등이 건설한 아파트에 입주민용 모바일 앱 및 관리실용 관제 포털을 포함한 통합 주거용 IoT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서비스는 홈넷, 스마트가전, 음성인식 등의 기능이 연동되어 있으며 모바일 앱을 통해 가전 에너지 사용량, 주차장 공간, 전기차 충전 여부 확인과 함께 반려동물 돌봄과 방문청소 서비스도 지원한다. 코오롱베니트 스마트홈IoT 플랫폼은 ‘멀티 IoT’ 플랫폼 구축 방식을 통해서 다양한 서비스를 장벽 없이 연계해 활용할 수 있다. 이 플랫폼은 AWS 클라우드를 통한 범용적인 IoT 구축 시스템을 기반으로 여러 통신, 가전, 자동차 브랜드와 추가로 서비스를 연계할 수 있다. 코오롱베니트는 국내 최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