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제품과 서비스 개발·활용 기업을 지원하는 ‘인공지능(AI) 경영시스템’ 국가표준(KS)이 이르면 내년 상반기 제정된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국표원)은 27일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AI 경영시스템 KS 제정 설명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AI 경영시스템 KS 제정은 챗GPT로 대표되는 생성형 AI의 급속한 확산과 함께 유럽연합(EU) 등이 AI 법제화를 통해 AI 적용 기업에 AI의 체계적인 관리를 요구하는 추세에 발 빠르게 대응하려는 조치다. 국표원이 이날 공개한 표준안은 국제표준화기구(ISO)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에서 지난해 12월 공동으로 발간한 국제표준(ISO/IEC 42001)을 준용한 것이다. 제정안은 국제표준을 기반으로 AI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활용하는 기업의 AI 시스템 구축·운영·유지 계획 수립, 리스크 대처 및 평가, 데이터 관리와 투명성 확보 등 다양한 요구사항을 담고 있다. 이 표준을 적용하면 기업은 AI 시스템의 책임 있는 개발과 사용 측면에서 효과를 볼 수 있다. 또 유럽, 미국 등 주요국에서 AI 기업에 요구하는 사항을 충족해 해외 진출 시 관련 규제를 피할 수 있다. 국표원은 앞으
SK텔레콤이 국내 통신사 최초로 인공지능(AI) 경영시스템에 관한 국제 표준인 'ISO/IEC 42001' 인증을 획득했다고 25일 밝혔다. ISO/IEC 42001은 국제표준화기구(ISO)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가 공동으로 제정한 인공지능 경영시스템 글로벌 표준으로, 기업과 조직이 윤리적 책임을 바탕으로 AI 시스템을 구축·운영할 수 있게 한다는 취지에서 마련됐다. 이 인증의 세부 평가 항목은 ▲ AI 방침 ▲ AI 리스크 평가 ▲ AI 리스크 처리 ▲ AI 영향 평가 ▲ AI 윤리 준수 및 규제 대응 ▲ AI 관리 과정의 투명성 등이다. SKT는 이번 인증 획득을 통해 신뢰성과 안전성을 기반으로 인공지능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있음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것이라고 자평했다. 지난해 9월 '글로벌 AI 컴퍼니'를 선언한 SKT는 지난 1월 AI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대외협력 담당(CGO)이 총괄하는 AI 거버넌스 전담 조직을 신설, AI 거버넌스를 회사 경영에 도입했다. 이어 지난 3월에는 AI 거버넌스 기본 원칙인 'T.H.E. AI'를 공개하기도 했다. 정재헌 SKT 대외협력 담당은 "이번 국제표준 인증 획득을 통해 글로벌 무대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