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웃시스템즈(OutSystems)가 1일 ‘아웃시스템즈 에이전트 워크벤치(Agent Workbench)’를 정식 출시했다. 이번 플랫폼은 기업이 AI 및 에이전틱 시스템의 비즈니스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부서·데이터·워크플로우 전반에서 지능형 AI 에이전트를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정식 출시 전 진행된 얼리 액세스 프로그램(Early Access Program, EAP)에는 악소스 뱅크(Axos Bank), 써모 피셔 사이언티픽(Thermo Fisher Scientific), 아치 컴퍼니(The Arch Company), 그리훔 하우징 파이낸스(Grihum Housing Finance), 팀워크(TeamWork) 등 글로벌 기업이 참여했다. 이들은 운영 효율성 제고, AI 도입 가치 실현 속도 향상, 고객·직원 경험 개선에서 성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케빈 헌 악소스 뱅크 소비자 뱅킹 개발 총괄 수석부사장은 “에이전트 워크벤치를 통해 오류 로그 분석이나 문서 기반 데이터 입력 자동화 등 다양한 사례에서 필요한 에이전트를 빠르고 안전하게 구축할 수 있었다”며 “이는 미래 금융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지능적이고 민첩한 뱅킹 생태계를
eG이노베이션스가 9월 30일 AI 기반 자율형 모니터링 플랫폼 비전을 공개했다. 회사는 통합 모니터링 솔루션 ‘eG Enterprise’에 엔터프라이즈급 AIOps(Artificial Intelligence for IT Operations) 기능을 탑재해 IT 운영 전반을 능동적이고 지능적인 구조로 혁신한다는 전략이다. eG이노베이션스는 기존 규칙 기반 모니터링의 한계로 거짓 알림 발생, 임계값 설정 번거로움, 시간대별 변화 반영 부족 등을 지적하며 “AI 기술이 내재된 모니터링 플랫폼만이 클라우드와 가상화 환경 속에서 실질적인 운영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AIOps는 머신러닝 기반 분석으로 수백만 개의 메트릭 중 핵심 정보를 실시간 선별하고, 잠재적 문제를 예측해 자동 진단과 복구까지 지원하는 기술이다. eG Enterprise는 AI 엔진을 활용해 사전 감지–자동 분석–근본 원인 진단–예측 및 계획으로 이어지는 자율 운영 사이클을 구현한다. 특히 eG Enterprise는 500개 이상의 다양한 기술을 지원하며, 도메인 전문성을 내장해 불필요한 노이즈를 최소화한다. 머신러닝을 활용한 자동 기준 설정으로 정상 범위를 동적으로 학습하고 이상
플래티어는 1일 서울 서초구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AI Synergy Link(AI 솔루션 데이)’ 세미나에서 자사의 AI 플랫폼 ‘XGEN’을 중심으로 한 에이전트 AI 혁신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남덕현 플래티어 최고기술책임자(CTO)가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에이전틱 AI 소개 및 사례’를 주제로 진행했으며, 현장에서 직접 시연이 이뤄져 주목을 받았다. 세미나는 한국인공지능협회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가 공동으로 주최했으며, 산업계와 학계 전문가들이 모여 최신 AI 기술과 산업 적용 전략을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남 CTO는 발표에서 ▲에이전트 AI 시장 규모와 동향 ▲아키텍처와 구현 방식 ▲산업별 적용 사례와 POC 성과 ▲향후 발전 로드맵 ▲플래티어 XGEN 기반 혁신 전략을 소개했다. 그는 “AI는 이제 실험 단계를 넘어 기업 운영 모델을 혁신하는 핵심 전략 도구로 자리잡았다”며 성공적인 도입을 위해서는 데이터 보안과 거버넌스 체계 구축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산업별 특화된 맞춤형 에이전트가 향후 시장 경쟁력을 좌우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소개된 XGEN은 산업별 규제와 기업 고유 업무 환경을 반영한 맞춤형
서플러스글로벌이 경기도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 주관하는 ‘2025 경기가족친화 일하기 좋은 기업’에 선정되며, 2022년에 이어 2회 연속 인증을 획득했다. 경기도는 9월 30일 경과원 광교홀에서 인증서 수여식을 열고 서류심사, 현장실사, 인증위원회 심의를 거쳐 신규 64개 사와 재인증 30개 사 등 총 94개 기업·기관을 최종 선정했다. 서플러스글로벌은 ‘직원’ 대신 ‘동료’라는 호칭을 사용하며 수평적 기업문화를 정착시켜 왔다. 또한 ▲유연근무제 ▲반차·반반차 제도 ▲장기근속자 재충전 휴가 ▲도서·외국어 교육비 지원 ▲선택적 복지제도 ▲장애인 고용 확대 및 사회공헌 활동 등 다양한 가족친화 제도를 운영해 왔다. 회사는 동료 개인의 성취와 만족도가 회사 비전과 함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주력해 왔다. 김정웅 서플러스글로벌 대표는 “단순한 고용관계를 넘어 동료들이 함께 성장하는 회사를 지향해 왔다”며 “앞으로도 가족친화적 기업문화를 강화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일터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 2000년 창립 이후 서플러스글로벌은 전 세계 6000여 고객사와 6만여 대의 반도체 장비 거래 실적을 쌓으며 글로벌 플랫폼 기업으로 성장했다. 최근에는
코오롱베니트는 30일 서울 드래곤시티 호텔에서 ‘KOLON BENIT AX BOOST SUMMIT 2025’를 개최하고 고객 사업 성과 가속화를 위한 전략과 AX(AI Transformation) 생태계 확장 비전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약 800명의 고객과 파트너가 참석한 이번 행사에서 코오롱베니트는 고객과 공급자의 니즈를 연결하는 ‘AX Enabler(조력자)’로서의 비전을 공식 선포했다. 강이구 코오롱베니트 대표는 기조연설에서 “DX(Digital Transformation)가 AI 확산으로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했다”며 AX 시대 개막을 선언했다. 이어 글로벌 벤더, 한국 스타트업, 국내 최대 규모의 AI 얼라이언스와 함께 구축한 AX 생태계를 공개하며 “AX는 준비된 파트너와 생태계를 통해서만 빠른 성과를 낼 수 있다. 맞춤형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하고 최적 솔루션을 연결해 고객 성과를 가속화 하겠다”고 강조했다. 특별 기조연사로 나선 리벨리온 박성현 대표는 ‘소버린 AI 시대, 국산 AI 인프라와 AI Alliance의 성장 공식’ 발표에서 자사 AI 추론 반도체 개발 성과와 함께 코오롱베니트와의 오픈소스 기반 협력 사례, NPU 솔루션센터 추진 계
인하대학교는 차세대 융합연구와 기술 사업화를 선도하기 위해 ‘AI+X 센터’ 구축에 나섰다고 30일 밝혔다. AI+X센터는 ▲AI 바이오메디컬 연구단 ▲AI 물류 연구단 ▲AI 해양 연구단 ▲AI 혁신신약 연구단 ▲AI 미래모빌리티 연구단 ▲AI 제조혁신 연구단 등 6개 연구단으로 구성돼 각 분야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각 연구단은 교수, 연구원, 산업체 협력 파트너가 참여하는 개방형 협력체계를 구축해 산학연 오픈이노베이션 허브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인하대는 인천이 가진 산업적·지리적 이점을 활용해 국내외 기업과 공공기관과의 공동연구, 기술 이전을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또한 AI+X센터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첨단 연구 고도화를 통해 고부가가치·데이터 중심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인천·수도권 산업 벨트와 연계한 일자리 창출과 스타트업 육성 등 지역 상생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인하대는 인공지능 연구에 특화한 인프라도 확보하고 있다. 지난 2020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융합연구센터 공모사업에 선정돼 인천 최초의 인공지능 특화 연구·교육기관인 인공지능융합연구센터를 설립했다. 이후 2022년 인공지능융합혁신대학원사
플래티어는 기업 맞춤형 AI 개발·운영 플랫폼 ‘XGEN’을 출시했다고 22일 밝혔다. XGEN은 검색증강생성(RAG), AI 워크플로우 설계, 대규모 언어모델(LLM) 통합 운영, 성능 모니터링과 배포까지 아우르는 올인원 AI 플랫폼이다. 이번 출시로 플래티어는 AI 도입을 추진하는 기업이 겪는 복잡한 기술적·운영적 장벽을 해소하고 빠른 성과 창출을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XGEN은 ▲기업 맞춤형 AI 서비스 개발 ▲확장성과 유연성을 갖춘 LLMOps 제공 ▲다양한 데이터 소스 연계 및 RAG 구성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운영 체계 구현 등을 통해 AI 도입 장벽을 낮춘다. 또한 유연한 통합 환경을 바탕으로 개발사, 시스템 통합사(SI) 등 파트너사에게도 높은 활용 가치를 제공한다. 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 환경을 모두 지원하며, 데이터 암호화와 접근 권한 제어 등 엔터프라이즈급 보안·거버넌스를 갖춰 공공·금융 등 규제가 엄격한 산업에서도 도입이 가능하다. RAG 기술을 통해 기업 내부 데이터를 벡터 DB에 저장·학습시켜 실제 비즈니스 맥락에 최적화된 AI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웹 기반 비주얼 캔버스 에디터도 제공돼 개발 편의성이 강화됐다. 사용자는
아시아나IDT는 9월 17일부터 19일까지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2025 한국건설·안전박람회’에 참가해 산업안전보건 플랫폼 ‘Plan2Do(플랜투두)’의 최신 버전을 공개한다고 17일 밝혔다. ‘Plan2Do’는 2024년 시행된 중대재해처벌법에 따라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과 이행을 지원하기 위해 아시아나IDT가 자체 개발한 클라우드(A-Cloud) 기반 AI 산업안전보건 플랫폼이다. 이 플랫폼은 중소사업장도 초기 투자 부담 없이 활용할 수 있도록 구독형 서비스(SaaS) 형태로 제공된다. 제조, 건설, 공공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작업자들이 모바일 기기를 통해 맞춤형 안전점검을 수행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아시아나IDT는 AI 기반 이미지 안전분석, 질의응답(Q&A) 기능 등 Plan2Do의 최신 기능을 현장 시연할 예정이다. 또한 박람회 기간 신규 계약이나 가입을 진행하는 기관·기업을 대상으로 특별 프로모션도 마련했다. 전해돈 아시아나IDT 상무는 “Plan2Do의 AI 분석 기능을 지속 고도화해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사용자 편의성을 강화하고, 산업안전 향상과 중대재해 예방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헬로티 이
몽고DB가 기업들의 레거시 애플리케이션을 신속하고 확장 가능한 서비스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AI 기반 애플리케이션 현대화 플랫폼(Application Modernization Platform, AMP)을 출시했다. 몽고DB AMP는 도구와 기술, 인력을 결합한 솔루션으로 AI 기반 소프트웨어 플랫폼과 딜리버리 프레임워크, 전문 엔지니어의 실행 경험을 통해 기업의 현대화를 지원한다. 코드 변환 속도는 최대 10배, 전체 프로젝트 속도는 2~3배까지 향상되는 성과가 보고됐다. 기업들은 유지 비용이 크고 최신 활용 사례 대응이 어려운 레거시 애플리케이션 때문에 혁신에 제약을 받고 있다. 정보 및 소프트웨어 품질 컨소시엄은 미국 내 기술 부채로 인한 경제적 비용이 약 4조 달러에 달한다고 추산했다. 이처럼 복잡한 구조와 노후화된 기술 스택은 기업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레이첼 스티븐스 레드몽크 리서치 디렉터는 “기업들은 점점 더 복잡한 레거시 애플리케이션의 부담에 직면하고 있으며 경직된 데이터 기반과 노후화된 아키텍처가 혁신을 가로막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몽고DB가 강력한 데이터베이스 역량을 기반으로 AI 기반 애플리케이션 현대화 플
클라우데라가 IDC 마켓스케이프 ‘2025년 아태지역 통합 AI 플랫폼 평가’에서 리더로 선정됐다. IDC는 이번 평가에서 기업들의 전략과 역량을 종합적으로 분석했으며, 클라우데라의 생성형 AI·에이전틱 워크플로우 역량과 엔터프라이즈급 거버넌스, 보안, 운영 기능을 높이 평가했다. 리무스 림 클라우데라 아시아태평양 및 일본 지역 수석 부사장은 “리더로 인정받은 것은 모든 데이터 위치에서 AI를 실현하겠다는 클라우데라의 비전을 입증하는 것”이라며 “보안과 규제 준수라는 과제를 해결하면서 기업이 AI를 대규모로 책임 있게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클라우데라 플랫폼은 금융, 통신, 헬스케어, 공공기관 등 규제가 엄격한 산업에서도 책임감 있는 AI 확장을 지원하도록 설계됐다. IDC는 클라우데라의 강점으로 ▲세분화된 정책과 감사 추적 기반 거버넌스 ▲데이터 엔지니어링, MLOps, LLMOps, 생성형 AI 오케스트레이션을 포함한 에이전틱 워크플로우 ▲글로벌 AI 기업들과의 협력 및 인수합병을 통한 기능 확장 ▲로우코드·노코드 AI 스튜디오 제공 등을 꼽았다. 클라우데라는 AI 워크벤치, AI 인퍼런스, 컴플라이언스 거버넌스 기능 등으로 AI 에이전
래블업이 미국에서 열리는 ‘AI Infra Summit 2025’에 참가해 AI 인프라 운영의 미래를 제시했다. 이번 행사는 전 세계 3500여 명의 AI 전문가와 100여 개 파트너사가 모이는 글로벌 최대 규모의 AI 인프라 컨퍼런스로, 하드웨어부터 데이터센터, 엣지 컴퓨팅까지 최신 기술 동향이 집중적으로 다뤄졌다. 래블업은 이번 행사에서 자사의 AI 네이티브 플랫폼 ‘AI:DOL(AI Deployable Omnimedia Lab)’ 베타 버전을 첫 공개했다. AI:DOL은 Backend.AI Core와 PALI 기반 백엔드 서비스를 결합한 생성형 AI 개발 플랫폼으로, 웹 브라우저만으로 접근이 가능해 초보자부터 숙련된 개발자까지 손쉽게 다양한 오픈모델을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특히 AI:DOL은 Backend.AI Continuum을 통해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자원을 완전히 통합해 사용자가 직접 서빙하는 모델을 기반으로 내부 및 외부 클라이언트 대상 AI 애플리케이션을 개발·배포할 수 있다. 현재는 채팅 중심의 기능을 제공하지만, 향후 이미지와 비디오 생성, AI 코딩까지 확장해 포괄적 AI 개발 생태계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래블업은 또한 Backe
EDB가 2일 서울 서초구 양재엘타워에서 ‘EDB Postgres AI Day Seoul 2025’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국내 최대 규모의 PostgreSQL 컨퍼런스로, 200여 명의 CIO, DBA, IT 의사결정권자와 업계 전문가들이 참석해 AI와 데이터 주권 전략을 바탕으로 한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의 미래를 논의했다. 올해 주제는 ‘오픈소스를 활용한 기업을 위한 AI-우선, 주권-우선 전략(AI-First, Sovereign-First Strategies for the Modern Enterprise - Powered by Open Source)’으로, AI 전환 로드맵과 데이터 혁신 전략 및 성공 사례가 공유됐다. 참가자들은 기존 상용 DBMS 중심의 질서를 넘어 오픈소스 기반 새로운 데이터 생태계를 구축할 혁신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김희배 EDB 코리아 지사장은 환영사에서 “포스트그레스는 단순한 데이터베이스가 아니라 AI 시대에 기업이 데이터를 통제하고 혁신을 이끌어갈 핵심 인프라”라며 “기업 경쟁력은 데이터 통제권을 유지하며 AI를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데 달려 있으며, PostgreSQL과 EDB가 그 해답을 제시한다”고 강조했다.
다올티에스는 지난 8월 29일 역삼동 본사에서 모코엠시스, 애자일소다와 지능형 문서중앙화 기반 AI 시스템 구축을 위한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기업들의 최대 관심사인 AI 도입과 문서 보안 강화를 동시에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협약에 따라 다올티에스는 AI 플랫폼을 공급해 고객사가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AI 환경을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델 테크놀로지스 고성능 GPU 서버를 기반으로, 모코엠시스와 애자일소다의 솔루션을 통합한 Daol Fusion AI 플랫폼은 안정적인 AI 서비스 운영을 지원하는 것이 목표다. 구체적으로 모코엠시스의 지능형 문서중앙화 솔루션 ‘Mpower EZis-C’는 기업 내부 문서의 안전한 수집, 접근 권한 통제, 다양한 보안 기능을 제공한다. 애자일소다는 ETL with LLM과 Chat SAM 솔루션을 통해 문서 전처리, 벡터 DB 구성, RAG 기반 검색, sLLM 연동 등 AI 처리 과정을 담당한다. 다올티에스는 이번 협약으로 문서중앙화와 AI 연동이라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고객은 기존 문서관리 시스템에 AI 기능을 결합해
온프레미스와 보안 강화로 국내 기업 맞춤형 AI 자동화 제공 단순 자동화 넘어 생성형 AI와 지능형 워크플로우 지원 AX 솔루션 전문기업 코세나가 글로벌 AI 에이전트 자동화 플랫폼 기업 액티브피시즈와 한국 내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번 협력을 통해 코세나는 액티브피시즈의 온프레미스 엔터프라이즈 버전을 국내 기업과 기관에 공급하고, 현지화된 기술지원과 유지보수를 제공할 계획이다. 액티브피시즈는 최근 전 세계에서 주목받는 AI 기반 워크플로우 자동화 플랫폼으로, 구글, 슬랙, 허브스팟, 오픈AI 등 300개 이상의 글로벌 서비스와 연동이 가능하다. 별도의 코드 작성 없이도 업무 프로세스를 손쉽게 자동화할 수 있으며, AI 기능이 플랫폼 전반에 내재화돼 단순 자동화를 넘어 생성형 AI 연계, 데이터 처리 고도화, AI 에이전트 운영까지 지원한다. 특히 엔터프라이즈 버전은 보안과 안정성을 핵심으로 설계됐다. 클라우드 SaaS 방식은 물론, 자체 서버 구축이 필요한 기업과 공공기관을 위해 온프레미스 배포를 지원한다. 이를 통해 데이터 유출 위험을 최소화하며, 단일 로그인(SSO), 감사 로그, 권한 관리, 프라이빗 커넥터, AI 모델 연계 등 대규모 기업 환경에 최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26일 서울 aT센터에서 열린 오픈인프라 한국 사용자 모임 주최 연례 컨퍼런스 ‘오픈인프라데이즈코리아 2025’에서 카카오클라우드 기반의 가상머신(VM) 마이그레이션 전략과 머신러닝 자동화 방안을 발표했다. 오픈인프라데이즈는 오픈스택을 비롯한 다양한 오픈 인프라 및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을 주제로 국내외 전문가들이 최신 기술 트렌드와 경험을 공유하는 자리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VM 마이그레이션 전략 및 사례 분석’, ‘쿠브플로우 생태계에서 완성하는 머신러닝 워크플로우’ 등 두 개 세션을 통해 기술 역량을 소개했다. 국민기 카카오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솔루션팀 매니저는 VM 마이그레이션 준비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5R 전략 ▲재호스팅(Rehost) ▲재구성(Replatform) ▲재설계(Refactor) ▲재구축(Rebuild) ▲교체(Replace)를 소개했다. 특히 애플리케이션 변경 없이 클라우드로 이전하는 재호스팅과 일부 설정 최적화만을 적용하는 재구성 사례를 비교하며 상황별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국민기 매니저는 “VM 마이그레이션 준비 시 하이퍼바이저·가상 디스크 포맷 호환성, OS 및 애플리케이션 지원 여부를 점검하고, 데이터 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