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와 자율제조의 융합이 본격화되면서 제조업의 혁신이 새로운 단계로 접어들고 있다. 수원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되는 스마트공장구축 및 생산자동화전(SMATEC 2025)과 함께 열리는 '2025 AI 자율제조혁신포럼 in 수원'은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서 제조 AI, 비전 AI, 엣지 AI, 로봇+AI 융합 등 자율제조의 핵심 기술과 미래 전략을 논의하는 자리다. 이번 포럼은 기계 및 제조업의 지속가능한 자율제조 구현을 목표로 산업 현장의 실질적인 데이터 활용과 AI 기술 적용 사례를 공유하는 국내 대표 컨퍼런스로 마련됐다. 특히 지역 제조업 관계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현장의 디지털 전환과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는 것이 특징이다. 행사는 오는 6일부터 7일까지 양일간 수원컨벤션센터 컨퍼런스룸 101·102호에서 오후 1시 30분부터 열린다. 첫째 날에는 엣지크로스 백훈 CEO가 ‘산업 데이터 중심 Field AI 플랫폼 Accelerating Machine AX - MachineGPT’를 주제로 포문을 연다. 이어 코그넥스코리아 김창모 차장이 ‘코그넥스 AI로 그려내는 완전한 머신비전의 미래’를, 이비엠팝스트코리아 윤창선 수석이 ‘레트로핏 솔루션: 공장 에너지 절감 및
포티투마루가 지난 12일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된 ‘AI 자율제조혁신 포럼’에서 ‘산업현장에서의 생성형 AI 활용’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 2025 AI 자율제조혁신 포럼은 산업 AI, 로봇 융합 기술, 디지털 트윈, ESG, 스마트 물류 등 제조업의 미래를 주도할 AI 기술과 자율 제조 혁신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다. 이번 행사는 ㈜첨단이 주관하며,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삼성동 코엑스 컨퍼런스룸에서 열린다. 포티투마루 김동환 대표는 포럼 첫날인 12일 진행된 첫 번째 세션에서 ‘산업현장에서의 생성형 AI 활용’을 주제로 발표했다. 강연에서는 최신 생성형 AI 기술 동향과 함께, 이를 실제 산업 현장에서 적용한 사례가 공유됐다. 특히 포티투마루가 개발한 ‘RAG42’(검색증강생성)와 ‘LLM42’(산업 특화 경량화 AI 모델)의 실무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AI 기술이 제조업의 효율성을 어떻게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설명했다. 생성형 AI 도입부터 실제 현장 적용까지의 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술적·운영적 과제와 해결 전략도 제시했다. 김동환 대표는 "AI는 전 산업 분야를 걸쳐 긍정적인 효과를 만들고 있지만, 기업의 대부분은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