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핀글로벌은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HPE)와 함께 지난 27일 양재 엘타워에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전환 전략 세미나’를 공동 개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 속에서 성공적인 클라우드 전환의 방향과 전략을 모색하는 기업들을 위해 마련됐다. 양사는 이번 행사를 통해 최신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전략은 물론, 비즈니스 성공을 위한 실제 구축 사례와 인사이트를 공유했다. 행사는 베스핀글로벌과 HPE의 클라우드 전문가들이 참여한 전문 세션 중심으로 진행됐다. 주요 프로그램은 ▲멀티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시대의 전략(베스핀글로벌) ▲HPE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전략과 지능형 프라이빗 클라우드(HPE) ▲HPE 모피어스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소개(HPE) ▲AI 기반 클라우드 운영 관리 자동화 AutoMSP(베스핀글로벌) 등으로 구성됐다. 참석자들은 멀티·하이브리드 클라우드의 최신 동향부터 HPE의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AI 기반 운영 자동화 전략까지 성공적인 클라우드 전환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김동규 베스핀글로벌 사업전략실장은 “복잡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의 효율적인 구축과 운영을 고민하는 기업 담당자들에게 실
산업별 특화 AI 모델 구축하는 ‘Bottom-up 방식의 Vertical AI Agent’ 전략 내세워 세이지(SAIGE)의 박종우 대표가 지난 26일 열린 ‘마이크로소프트 AI 투어 인 서울(Microsoft AI Tour in Seoul)’에서 제조업의 AI 혁신 전략을 주제로 키노트 발표를 진행했다. 발표에서 박 대표는 제조 산업에 AI 기술을 적용할 때 발생하는 구조적 문제를 짚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해법으로 'Vertical AI Agent' 기반 접근법을 제안해 눈길을 끌었다. 박 대표는 현재 제조 현장에서 AI 도입이 어려운 이유로 크게 세 가지를 꼽았다. 첫째는 높은 정확도와 빠른 처리 속도를 동시에 요구하는 제조 현장의 특수성이다. 일반적인 AI 솔루션으로는 이같은 ‘엄격한 기준’을 만족시키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둘째는 AI 학습에 필요한 유의미한 데이터, 즉 결함이나 사고 사례가 전체 데이터의 1% 미만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셋째는 AI 모델의 개발, 운영, 모니터링 등 전 과정에서 여전히 전문 인력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높은 운영 비용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이지가 제시한 전략은 산업별 특화 AI 모델을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