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센싱 이재은 대표 인터뷰 4D 이미징 레이더가 모빌리티 산업의 판도를 바꾸고 있다. 이 기술은 거리, 속도, 각도, 높이를 더욱 정밀하게 분석하며, 객체의 움직임 변화를 실시간으로 추적해 더욱 높은 해상도의 데이터를 제공한다. 비트센싱은 자율주행과 스마트 시티의 미래를 이끄는 핵심 기술로 부상한 4D 이미징 레이더를 개발하며 새로운 생태계를 만들어가고 있다. 이에 비트센싱 이재은 대표를 만나 비트센싱 고유의 레이더 기술과 기술 개발 및 사업 전략에 대해 이야기 나눠봤다. 인정받은 레이더 기술로 성과 달성하다 4D 이미징 레이더는 날씨나 조명 조건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는 것이 특징이다. 즉, 악천후 속에서도 안정적인 고해상도 환경 인식을 제공한다는 의미다. 기존 라이다 대비 제조 공정이 단순하며, 비용 효율성이 높아 상용화 가능성을 확대한다. 4D 이미징 레이더는 예상치 못한 도로 상황에서도 신속한 대응을 지원하며, 자율주행 센서 융합 시스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자율주행차는 여러 센서를 융합해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4D 이미징 레이더는 속도와 움직임의 방향과 같은 비시각적 정보를 보완하며 시스템 정밀도를 높인다. 또한,
트랙사이트, 실시간 교통 모니터링, 교통 빅데이터 분석 등으로 스마트 시티 구축 지원 비트센싱이 '트랙사이트' 솔루션으로 CES 2025 혁신상 스마트 시티 부문 수상자로 선정됐다고 발표했다. CES 혁신상은 산업 전문가들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출품작을 엔지니어링, 기능성, 디자인, 독창성 등을 기준으로 면밀히 평가해 수여된다. 심사는 제품의 목적 수행 능력, 시각적 매력과 사용 편의성, 그리고 시장에서의 차별성과 혁신성 등을 중점으로 진행된다. 이번 수상은 CES 2025 개막에 앞서 발표된 것으로, 비트센싱의 트랙사이트가 스마트 시티 부문에서 탁월한 평가를 받았다. CES 2025는 세계 최대 규모의 기술 전시회로, 2025년 1월 7일부터 10일까지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비트센싱의 트랙사이트는 카메라, 레이더, AI 융합 센서인 TIMOS와 최적의 호환성을 바탕으로 도시 교통 문제를 혁신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ITS 통합 솔루션이다. 실시간 교통 모니터링, 교통 빅데이터 분석, 주요 교통 통계화, 문제 진단 및 AI 시뮬레이션 기반 신호 최적화 컨설팅을 통해 스마트 트래픽 및 스마트 시티 구축을 지원한다. 올해 여름, 비트센싱
[헬로티] 만도가 스마트레이더시스템(이하 SRS)과 손잡고 2023년까지 초고해상도(UHR) 4D 이미징 레이더 제품 공동 개발에 나선다. 만도는 최근 SRS와 이 같은 내용의 공동 개발 협약을 맺었다고 4일 밝혔다. 만도와 SRS가 공동 개발하는 4D 이미징 레이더는 768개 채널로 설계됐다. 이는 글로벌 경쟁사 대비 4배 이상 초고해상도 사양이라고 만도는 전했다. 4D 이미징 레이더는 4차원(거리·속도·각도·높이)에서 포인트 클라우드(3차원 점들의 집합) 기반 공간 이미지를 딥러닝해 기존 레이더보다 정확하게 사물을 인식할 수 있다. 만도는 2014년 국내 최초로 '적응형 크루즈 컨트롤(ACC)' 장거리 레이더 국산화에 성공했으며 현재 '자동 비상 브레이크(AEB)' 중거리 레이더를 포함해 자율주행 레벨 3에 적용 가능한 3세대 레이더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4세대 레이더 개발의 필두가 4D 이미징 레이더라고 만도는 설명했다. 강형진 만도 ADAS BU R&D 센터장은 "이번 SRS와의 개방적 협력이 자율주행용 레이더 개발을 넘어 로봇 분야 등 사업 영역 확장에 획기적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만도와 SRS는 자율주행용 4D 이미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