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스트라타시스는 솔리드이엔지 및 포엠아이와 공식 파트너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스트라타시스는 보다 확장된 국내 파트너 네트워크를 통해 기존 하이엔드 프로토타이핑 시장뿐만 아니라 스마트 제조 분야에서도 지속적으로 비즈니스를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솔리드이엔지는 3DPLM, ICT 솔루션 분야의 업계 선도기업으로, 2003년 대전에서 설립됐다. 글로벌 3D 솔루션 기업인 다쏘시스템의 주요 파트너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전국 9곳의 지역에 거점을 두고 공공, 자동차, 항공, 조선, 산업기계, 하이테크, 소비재, 에너지, 생명과학 등 다양한 사업군의 고객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솔리드이엔지의 3D 소프트웨어 및 PLM 분야의 전문성과 역량에 스트라타시스의 첨단 3D 프린팅 솔루션을 결합하여 국내 스마트제조 분야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포엠아이는 2016년부터 메이커봇 공인 총판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애플, 오토데스크를 비롯해 다양한 IT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메이커봇 비즈니스에 이어 스트라타시스의 산업용 3D 프린팅 솔루션을 포트폴리오에 추가함으로써 고객에게 보다 통합적인 솔루션 및 한층 강화된 기술 지원을 제공
스트라타시스는 소규모 및 연속 생산을 위한 혁신적인 적층 제조 기술인 ‘컨티뉴어스 빌드 3D 데몬스트레이터’를 발표했다. 새로운 플랫폼은 모듈 유닛으로 구성되며, 중앙의 클라우드 기반 아키텍처로 구동되고 동시에 작동하는 다수의 3D 프린트 셀을 갖추고 있다. 적층 제조 스루풋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는 스트라타시스의 컨티뉴어스 빌드 3D 데몬스트레이터는 운영자의 최소한의 개입으로도 연속적으로 파트를 생산하도록 고안됐으며, 자동으로 완성된 파트를 배출하고 새로운 파트 제작을 시작한다. 개별 3D 프린트 셀은 각기 다른 출력 작업을 수행해 대량 맞춤 생산(매스커스터마이제이션)이 가능하며, 확장 가능한 플랫폼에 자유롭게 셀을 추가해 시장 수요에 대응하여 생산량을 늘릴 수 있다. 자동 대기열 관리, 부하 분산과 아키텍처 중복 기능으로 출력작업이 자동으로 가용 프린트 셀에 전송되어 처리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 만약 프린트 셀 하나에서 오류가 발생할 경우, 해당 작업은 다음 가용 셀에 자동으로 전송된다. 주요 수요처로는 대학 등 교육기관의 RP 센터 및 툴링 제작이나 재고 공급망을 갖추기 어려운 환경에서 특히 각광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스트라타시스의
[첨단 헬로티] 스트라타시스가 두 가지의 최신 3D 프린팅 소재인 FDM Nylon(나일론) 12CF 및 폴리젯 시스템을 위한 Agilus(애질러스)30 재료를 출시했다. FDM Nylon 12CF는 카본 파이버가 충전된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다양한 산업군에서 금속 부품을 대체할 수 있을 만큼 뛰어난 강도가 특징이다. Agilus30은 높은 내구성의 플렉시블 재료로, 반복적으로 접히는 부품에서 파손이나 변형 없이 견딜 수 있다. FDM Nylon 12CF 재료는 스트라타시스 FDM 기술을 위한 최초의 고성능 복합소재 재료로, 기존 금속 부품을 대체할 수 있는 높은 무게 대비 강성 비율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다양한 산업군의 프로토타입, 경량화 툴링 및 최종 사용 파트 제작 용도에 이상적이다. 35퍼센트의 분쇄 카본 파이버를 함유하고 있는 FDM Nylon 12CF는 스트라타시스 FDM 재료군 중 최고의 무게 대비 강성 비율을 제공하며 자동차, 항공우주, 레저산업 및 중공업 분야의 높은 기능성 테스트 요건을 충족한다. 스트라타시스 래피드 프로토타이핑 부문 총괄 VP인 제하빗 레젱은 “FDM Nylon 12CF 재료가 제공하는 뛰어난 강성을 통해 소
1. 개요 최근 3D 프린팅이 차세대 생산 기술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세계경제포럼에서는 2013년 10대 유망기술 중 하나로 선정하기도 했다. 3D 프린팅은 플라스틱 액체 또는 분말과 같은 원료를 사출해 3차원 모양의 고체 물질을 자유롭게 찍어내는 기술을 말한다. 즉, 대상 물체를 3D 그래픽 설계 프로그램으로 생성한 후에 3D프린터를 통해 분말(Powder), 액체(Photo-polymer), 선(Polymer Wire) 형태의 원료로 사출해서 소재를 무수히 층층이 쌓아 만드는 부가가공(Additive Manu-facturing) 기술이다. 지금까지 3D 프린팅 기술은 시제품 제작을 목적으로 1980년대부터 연구가 계속되어 왔다. 미국에서 개발된 쾌속조형(RP : Rapid Prototype) 기술은 제품의 CAD 데이터로부터 수지, 종이, 광경화성 수지, 금속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제품을 직접 만들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공정으로, 광조형법(SLA : StereoLithography)이란 이름으로 개발된 공정을 비롯하여 현재는 수많은 공정이 이미 상용화되어 있다. 적층조형 기술은 크게 RP와 RT으로 분류할 수 있다. RT(Rapid Too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