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S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은 히타치 밴타라와 레드햇의 오픈시프트 가상화를 자사의 차세대 스토리지 플랫폼 ‘VSP(Virtual Storage Platform) One’과 결합한 새로운 솔루션을 발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솔루션은 기업이 독점 하이퍼바이저 의존도를 줄이고 통합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에서 노후화된 가상화 인프라를 현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100% 데이터 가용성과 엔터프라이즈급 회복력을 제공해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IT 운영을 가능하게 한다. 히타치 밴타라의 솔루션은 레드햇 오픈시프트의 가상화 기능을 통합하고, 사전 검증된 참조 아키텍처와 가상머신(VM) 마이그레이션 도구를 제공해 전환 과정을 단순화하고 속도를 높인다. VSP One은 다중 사이트 회복력과 페일오버(failover) 기능을 갖춰 장애 발생 시에도 연속적인 운영을 지원하며, VM과 컨테이너를 단일 플랫폼에서 실행할 수 있어 인프라 중복을 줄이고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비용 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번 솔루션은 이중화된 레드햇 오픈시프트 클러스터를 기반으로 고가용성을 구현하며, 히타치 밴타라의 VSP One Block과 GAD(Global Active Device)
레드햇이 AWS 마켓플레이스에서 관리형 서비스인 레드햇 앤서블 오토메이션 플랫폼 온 AWS를 정식 출시했다. 레드햇 앤서블 오토메이션 플랫폼 온 AWS는 고객이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인프라를 보다 쉽게 관리하도록 지원하고, 온프레미스 및 AWS에 레드햇 오픈 기술 포트폴리오를 배포하는 방법과 위치에 대한 고객의 선택권과 유연성을 확장한다. 앤서블 오토메이션 플랫폼은 AWS 마켓플레이스에서 제공되는 관리형 서비스로 IT팀이 첫날부터 자동화를 시작하도록 지원한다. 새로운 툴을 배우거나 추가 기술을 운영에 통합할 필요 없이 클라우드 최적화 솔루션으로 자동화를 대규모로 배포 가능하다. 또한 레드햇 앤서블 오토메이션 플랫폼 온 AWS는 관리형 및 자체 관리형 옵션을 모두 제공한다. 자체 관리형 서비스의 강화된 사용자 정의와 환경 설정으로 규제 대상 산업 또는 해당 관리형 서비스 파트너는 향상된 보안이 요구되는 클라우드 배포를 위한 자체 툴을 관리한다. 레드햇의 관리 및 모니터링 솔루션을 추가하면 조직은 확장, 업그레이드 같은 플랫폼 관리 대신 자동화로 전환 가능하다. 데이비드 테퍼 IDC 아웃소싱 및 관리형 클라우드 서비스 부문 부사장은 “관리형 서비스 제공을 통한 가
시스코가 기업들의 AI 대비 수준을 조사한 ‘2024 시스코 AI 준비지수(Cisco 2024 AI Readiness Index)’를 13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 오직 3%만이 AI 기술을 배포 및 활용할 충분한 준비가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작년의 5%에서 감소한 수치로 기업들이 AI 도입, 배포, 활용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과 AI가 비즈니스 운영에 미치는 큰 영향력을 고려할 때 이와 같은 준비도 격차는 사업에 매우 치명적이다. 이번 보고서는 한국을 포함한 APJC(아시아태평양·일본·중국) 지역의 14개 국가에서 500명 이상의 직원을 보유한 기업의 고위 비즈니스 리더 366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이중맹검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한다. 조사에 참여한 리더들은 기업 내 AI 통합 및 배포를 담당하고 있으며, 본 조사에서는 기업들의 AI 준비지수를 전략, 인프라, 데이터, 거버넌스, 인재, 문화 등 여섯 가지 주요 요소에 걸쳐 평가했다. AI는 비즈니스 전략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았으며 국내 기업들 사이에서는 AI 도입의 시급성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지난 1년간 97%의 기업
소프트웨어 품질 및 신뢰도↑...공공기관 우선 구매 대상 포함돼 “디지털플랫폼 정부 실현에 기여할 것” 에스티씨랩은 자사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트래픽 제어 솔루션 ‘API 넷퍼넬(API NetFUNNEL)’이 GS인증 1등급을 획득했다고 전했다. GS(Good Software)인증은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KTC)이 소프트웨어 품질을 평가한 후 검증하는 제도다. 1등급은 제품 식별성, 성능 효율성, 신뢰성, 보안성 등 10가지 기준을 만족하는 소프트웨어 제품에 부여된다. API는 응용프로그램이 운영체제(OS)의 기능을 활용하도록 징검다리 역할을 하는 인터페이스다. API 장애 발생 시 주요 요인으로 대용량 트래픽이 꼽힌다. API 넷퍼넬은 실시간 상태, 요청 우선순위 등을 반영해 최적의 트래픽 처리를 결정하는 적응형 API 트래픽 제어 솔루션이다. 해당 솔루션은 설정된 업무 중요도에 따라 트래픽을 우선 처리해 트래픽에 의한 충돌을 방지한다. 여기에 서비스 리소스 상황과 사용자가 설정한 트래픽 임계치를 감안해 API 요청에 대한 처리를 유연하게 관리·수행한다. 이를 통해 과도한 트래픽 상황에서도 IT 인프라 보
버티브가 230V 애플리케이션용 온라인 이중 변환 단상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PS)인 버티브 리버트 GXE(Vertiv Liebert GXE)를 출시했다. 이번 모델 추가로 Liebert GXE 제품군은 1kVA~10kVA 용량 모델로 아시아 지역에서 즉시 출고가 가능하다. Liebert GXE 1~3kVA UPS는 소형 타워 전용 모델 또는 랙/타워 컨버터블 디자인으로 제공된다. 온라인 모드에서 최대 91%, ECO모드에서는 최대 96% 효율을 제공해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고 교체 필요성을 최소화한다. 출력 역률은 0.9로 더 많은 활성 부하를 연결할 수 있으며, 온라인 이중 변환 기술로 전력 장애로부터 장비를 보호한다. Liebert GXE 랙/타워 모델은 최대 4개의 외부 배터리 캐비닛을 추가해 더 긴 백업 시간을 제공하며, 6A 내부 충전기로 빠른 재충전이 가능하다. 핫스왑 가능한 VRLA 배터리는 부하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교체할 수 있어 유지관리비 절감과 원활한 작동을 보장한다. Liebert GXE는 직관적인 LCD 디스플레이로 UPS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설치와 운용이 용이하다. 원격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해, 옵션으로 제공되는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가 케이엠파워(KM POWER)와 오는 17일부터 19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4 월드IT쇼(WIS 2024)’에 공동으로 참가한다고 9일 밝혔다. 월드IT쇼는 국내 최대 규모 정보통신기술(ICT) 전시회로, 올해는 ‘혁신과 연결, 디지털 세상의 모든 가능성’을 주제로 ICT 최신 트렌드 및 미래 기술 동향을 소개한다. 매년 국내외 10만 명 이상의 ICT 종사자가 방문하고 있으며 참관객의 70%가 국내외 바이어로 구성돼 있어 참가 업체의 실질적인 비즈니스 확대를 목표로 한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코엑스 1층 A홀에 케이엠파워와 공동으로 부스를 운영한다. 양사는 대형·엔터프라이즈 데이터센터부터 엣지, 소규모 환경에 맞는 전력 및 IT 인프라 핵심 제품들을 선보일 예정이다. 중소규모 기업을 위한 데이터센터는 물론 일반 상업용 건물 및 산업 시설에서도 사용 가능한 다양한 규모의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UPS)를 소개한다. 먼저 양사는 모듈형 배터리를 제공하는 고효율 및 고가용성 전원보호용 UPS로 데이터센터에 활용가능한 ‘갤럭시 VS(Galaxy VS)’를 선보인다. 갤럭시 VS UPS는 전력범위를 10kW에서 100kW까지 확
슈나이더 일렉트릭-케이엠파워 공동부스 운영 ‘상생 파트너십’ IT 인프라 솔루션·데이터센터 등 규모 막론한 IT 술루션 제시 슈나이더 일렉트릭과 케이엠파워가 이달 19일부터 사흘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하는 ‘World IT Show 2023(이하 WIS 2023)’에 참가해 IT 핵심 제품 소개 및 양사 파트너십 유지 등 활동을 수행한다. WIS 2023은 정보통신기술(ITC) 분야 최신 트렌드 및 기술 산업 동향·전망을 선보이는 전시회로, ‘세계의 일상을 바꾸는 K-디지털(Changing our life, K-Digital)’을 올해 슬로건으로 설정했다. 해당 전시회는 참가사의 비즈니스 및 네트워크 확장 기회의 장이다. 슈나이더 일렉트릭과 케이엠파워는 이번 전시회에서 공동으로 부스를 운영해 IT 핵심 제품 및 IT 인프라 솔루션 등을 참관객에게 소개한다. 대형·엔터프라이즈 데이터센터, 엣지·소규모 환경 전용 전력 및 IT 인프라 제품 등을 전시한다. 특히 중소규모 기업을 타깃으로 한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UPS)인 스마트 UPS 리튬이온은 리튬이온 배터리를 탑재해 크기가 작고 무게가 가벼워 활용 부담이 적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스마트 물류를 위해서는 장애가 발생했을 때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효과적인 초기 대응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복제된 패킷에 대한 고성능 심층 패킷 분석 기술이 요구된다. 즉, 네트워크 수준에서의 성능과 보안적 측면에서의 장애 감지 기능을 제공하고 IT 장애(성능/보안)에 대한 효과적인 초기 대응이 가능해야 한다. 그렇다면 스마트물류 시스템은 어떻게 구성해야 할 것인가? 이에 대한 솔루션으로 맥데이타의 스마트물류 장애 모니터링을 소개한다. 맥데이타는 IT 비즈니스 구성 요소에 대한 효과적인 장애 모니터링 솔루션을 개발하는 회사다. 5G 망, 스마트시티, 스마트팩토리 등 다양한 곳에서 맥데이타 제품을 적용하거 도입, 컨소시엄을 진행하고 있다. 국내 다양한 모니터링 관련 특허 30여 가지를 보유하고 있다. 2017년에 시작해 2018년 퀄컴과 IoT 스마트시티 파트너십을 체결해 국내 퀄컴 파트너 중 하나며, 다양한 세미나를 퀄컴과 같이 진행하고 있다. 2020년부터는 5G 보안 포럼 창립 멤버로 활동하고 있다. 제안 배경 스마트물류 시스템이 다양하게 발전하면서 지능형 통합 플랫폼이 갖춰지고 있다. 운송, 보관, 하역, 포장 등 물류 전 분야에 걸쳐
클라우드는 필요에 따라 제약 없이 확장되는 IT 인프라이며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플랫폼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따라서 기업이 클라우드를 쓴다는 것은 매년 출시되는 수천 개의 신규 서비스와 기능(Feature)을 사용하는 것과 같다. 그러면 클라우드의 활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2020 스마트제조 대전망 온라인 컨퍼런스’에서 AWS(아마존웹서비스) 강명구 파트너가 그 방법을 제시한 내용을 정리했다. 스마트 제조와 클라우드 스마트 제조는 제조가 디지털 전환이 된다는 의미이다. 여기서 디지털 전환은 데이터, 분석, 기계 학습을 기반으로 새로운 통찰력과 가치를 창출하여 사업을 혁신하는 것을 말하는데, 좀 더 알기 쉽게 설명하면 사람으로 일하는 회사가 데이터와 기계 학습을 통해 시스템으로 일하는 회사가 된다고 하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국내 제조업 현황을 보면 98% 이상이 스마트공장 중간1 이하로 조사됐다. 그러다 보니 공장이 시스템에서 다양한 생산 계획이나 영업 계획, SCM 계획들이 나오지만 그런 시스템이 제공하는 플래닝 대로 돌아가는 회사들은 아직 많지 않고, 회의나 조정을 통해서 이런 시스템에 있는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와고(WAGO)는 글로벌 전기·전자 및 오토메이션 산업의 전반적인 경제 성장과 업계 수요를 활용하여 올해 11월 초에 1조원 이상의 매출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 대비 20% 이상 증가한 수치이다. 비즈니스 컨설팅 회사인 Munich Strategy의 ‘Top 100’ 순위에 따르면, 와고는 Handelsblatt 신문에서 보도한 독일의 기업들 중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100대 중견기업 중 하나로 발표했다. 와고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IT 인프라 및 유연한 작업 환경 적응을 포함한 디지털 전환을 통해 많은 인력이 짧은 기간 내에 모바일 환경으로 전환했다. 그 결과 어려운 상황에서도 성과를 개선할 수 있었다. 글로벌 브랜드인 와고는 원자재 수급 상황에 어려움을 직면해 왔다. 특히, 많은 주문량과 함께 생산 및 공급망의 모든 부문에서 당면한 과제이다. 그러나 신중한 계획과 부서 간의 탁월한 팀워크로 상황을 극복해가고 있다. 와고의 CEO인 Dr. Heiner Lang은 “와고의 모든 수치는 성장을 나타낸다. 우리는 또 다른 1조 매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와고는 성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와고 관계자는 엔지니어부터
[첨단 헬로티] IT 시장분석 및 컨설팅 기관인 인터내셔날 데이터 코퍼레이션 코리아(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 Korea, 이하 한국IDC)는 최근 발간한 2018년 국내 외장형 스토리지 시스템 시장 보고서에서 2018년 국내 외장형 스토리지 시스템 시장이 4천649억원 규모로 전년 대비 3.8% 성장 했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기업의 데이터 용량 증가와 AFA(All Flash Array)의 보급이 시장 성장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했다. IDC는 기업형 스토리지 시스템을 외장형 스토리지 시스템, 내장형 스토리지 시스템 그리고 ODM Direct로 구분했다. 기업형 스토리지의 전체 시장 매출을 살펴보면 전년 대비 5.4% 성장한 1조 78억원을 기록했다. 시장 성장은 글로벌 반도체 경기의 호황으로 국내 반도체 제조사가 사상 최대 매출을 달성하며 IT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늘린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공공 기관이 데이터 관리의 효율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스토리지 투자를 늘리고 있는 상황도 성장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장형 스토리지 시스템 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내장형 스토리지 시스템도 서버와 HCI 시장 성장에 따른 디스
[첨단 헬로티] 한전KDN은 17(수)일 본관 3층 다목적실에서 “사내 중장기 정보화전략, ISP 수립 설명회”를 개최했다. 지난해 8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됐던 ISP 수립 결과를 공유하고 이행과제수행에 대한 로드맵을 설명하기 위해 진행된 이번 설명회는 본사 팀장과 관심 있는 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ISP는 IT 관리체계, IT 인프라, 정보시스템 운영 등의 사내 정보화 자원을 진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회사의 중장기 정보화 추진 이행계획을 세우기 위해 수립됐다. 본 전략의 수립 과정은 환경 및 현황분석, 이해관계자 인터뷰, 방향성 수립, 목표모델 수립, 최종 이행계획 순으로 진행됐다. 이번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한전KDN은 지난 4개월여 간 관련자들을 대상으로 총 43번의 인터뷰와 4번의 설문조사를 시행했으며, 남동발전, KT, 한국정보화진흥원, 한화S&C 등 선진사례를 가지고 있는 기업들을 직접 방문해 면담을 진행했다. 한전KDN은 그 결과, “변화와 혁신을 선도하는 ICT Creator”라는 정보화 비전 아래 총 7개의 전략과제와 22개의 이행과제가 선정됐으며, 앞으로 이를 기반으로 업무의 효율
[첨단 헬로티] KT가 기업 고객이 IT 인프라를 ‘KT 유클라우드 비즈’로 쉽게 이전(Migration,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도록 'IT 인프라 이전 무상 프로모션'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기업 고객들은 IT 인프라 확장시 추가 공간 확보 및 운영 비용 증가 등으로 어려움을 겪어 왔다. 하지만 클라우드로 IT 인프라를 이전할 경우 운영 비용의 약 40% 정도를 절감할 수 있다. 이에 많은 기업들이 IT 인프라를 클라우드로 옮기는 것을 고민해 왔으나 ‘복잡한 인프라 인전 과정 및 기술 부족, 이전 비용 부담’ 등의 문제로 주저해 왔다. 국내 1위 클라우드 사업자 KT는 기업 고객들의 이러한 고민을 덜어주고자 클라우드 이전 컨설팅부터 이전 완료까지 무상으로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올해 말까지 진행되는 이번 프로모션은 선착순 100개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진행한다. 이 기간에 'KT 유클라우드 비즈'로 IT 인프라 이전을 신청한 기업들은 이전 컨설팅부터 작업 매니지드, 이전 솔루션, 이전 기간 동안 클라우드 인프라 무상 지원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KT 기업서비스본부장 이선우 상무는 "IT 인프라를 클라우드
[첨단 헬로티] 한국 IBM이 기존 IT 인프라를 클라우드로 이전하는 데 있어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을 위해 'IBM 클라우드 프라이빗(IBM Colud Private)'을 출시했다. 기업들은 IBM의 클라우드 프라이빗을 통해 사내 IT 인프라를 그대로 유지하는 동시에 퍼블릭 클라우드 환경에서 누릴 수 있는 다양한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다. IBM 클라우드 프라이빗은 퍼블릭 클라우드와 유사한 IT 환경을 기업에게 제공하여, 기업들이 스스로 통제 가능한 사내 IT 인프라에서 컨테이너, 마이크로서비스, 오픈소스 등의 클라우드 기술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클라우드 기반의 신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기존의 애플리케이션을 클라우드로 이전하고 트렌드에 맞춰 재설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픈소스 쿠버네티스(Kubernetes)를 기반으로 도커(Docker) 컨테이너와 클라우드 파운드리(Cloud Foundry)를 동시에 지원하는 IBM 클라우드 프라이빗을 통해 기업들은 기존 워크로드를 IBM 클라우드를 포함한 모든 클라우드 환경으로 손쉽게 통합 및 이전할 수 있다. IBM은 전세계 기업들이 올해부터 연간 500억 달러 이상을 프
리탈은 3월 29일부터 31까지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Automation World 2017에 참가하여 인클로저, 배전, 공조 시스템 등을 전시하여 눈길을 끌었다. 독일 헤르본에 본사가 위치한 리탈은 인클로저, 배전, 공조, IT 인프라,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에 대해 세계적인 선두 시스템 공급 기업으로 손꼽힌다. 기계 및 설비 엔지니어링, IT와 텔레콤 등 산업 분야 전반의 세계 유수 고객사가 리탈이 만들어낸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폭넓은 리탈의 제품군에는 물리적 데이터와 시스템의 안전을 위한 혁신적인 컨셉의 모듈형이며 에너지 효율적인 데이터센터의 인프라 솔루션이 포함된다. 1961년에 설립된 리탈은 13개의 생산시설, 58개의 자회사를 보유하고 전세계를 무대로 활약하고 있다. 리탈 코리아는 100% 외국자본 투자를 통해 리탈이 소유한 자회사로, 1996년에 설립됐으며, 현재 90여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2014년 말에는 송도국제도시에 신사옥으로 서울과 안산의 수도권 사무실과 물류센터가 통합되면서 부산지사 사무실과 더불어 현재 리탈의 글로벌 확장 전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주)첨단, 코엑스,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공동 주최로 3월 29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