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코가 기업들의 AI 대비 수준을 조사한 ‘2024 시스코 AI 준비지수(Cisco 2024 AI Readiness Index)’를 13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 오직 3%만이 AI 기술을 배포 및 활용할 충분한 준비가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작년의 5%에서 감소한 수치로 기업들이 AI 도입, 배포, 활용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과 AI가 비즈니스 운영에 미치는 큰 영향력을 고려할 때 이와 같은 준비도 격차는 사업에 매우 치명적이다.
이번 보고서는 한국을 포함한 APJC(아시아태평양·일본·중국) 지역의 14개 국가에서 500명 이상의 직원을 보유한 기업의 고위 비즈니스 리더 366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이중맹검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한다. 조사에 참여한 리더들은 기업 내 AI 통합 및 배포를 담당하고 있으며, 본 조사에서는 기업들의 AI 준비지수를 전략, 인프라, 데이터, 거버넌스, 인재, 문화 등 여섯 가지 주요 요소에 걸쳐 평가했다.
AI는 비즈니스 전략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았으며 국내 기업들 사이에서는 AI 도입의 시급성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지난 1년간 97%의 기업이 최고경영자(CEO)와 경영진을 중심으로 작년 대비 AI 도입의 필요성이 증가했다고 응답했으며, 43%는 기업이 IT 예산의 10~30%를 AI 도입에 할애하는 등 상당한 자원을 AI에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사이버 보안, IT 인프라, 데이터 분석 및 관리와 같은 전략적 영역에 AI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기업들이 기대한 성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브 웨스트 시스코 APJC 지역 총괄 사장은 “기업들이 AI 여정을 가속화함에 따라 AI 목표와 준비도 간의 격차를 줄이는 종합적인 접근 방식을 채택하는 게 중요하다”며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AI의 잠재력을 최대치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AI 워크로드 증가로 인해 변화하는 전력 요구 사항과 네트워크 지연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현대적인 디지털 인프라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기업들은 특히 인프라 준비 관련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컴퓨팅,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성능, 사이버 보안 영역에서 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기업의 14%만이 현재와 미래의 AI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GPU를 보유하고 있으며 12%는 엔드-투-엔드 암호화, 보안 감사, 모니터링, 위협 대응을 통해 AI 모델의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1년간 국내 기업은 AI에 우선적으로 투자를 단행했으며 43%는 IT 예산의 10~30%를 AI 프로젝트에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투자 영역은 사이버 보안(23%), 데이터 관리(22%), 그리고 데이터 분석(20%)이며, 기업이 목표로 하는 상위 3가지 성과로는 ▲시스템, 프로세스, 운영 및 수익성 향상 ▲인프라 회복력 강화 ▲혁신 및 경쟁력 유지 등으로 조사됐다.
다만 AI 투자 증가에도 불구하고 평균적으로 절반 이상의 기업이 현재 프로세스나 운영을 보강, 지원 또는 자동화하는 데 있어 이득을 보지 못했거나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고 답했다.
아울러 최고경영자와 리더십 팀으로부터의 AI 기술 도입 관련 압박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거의 절반에 가까운 국내 기업(44%)이 최고경영자와 경영진이 AI 도입을 주도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이사회 및 투자자, 주주(25%)가 그 뒤를 이었다.
많은 국내 기업이 AI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로서는 응답한 국내 기업의 1%만이 IT 예산의 40% 이상을 AI에 투자하고 있지만 이번 조사에서 기업의 22%는 향후 4~5년 내 IT 예산의 40% 이상을 AI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힌 것으로 확인됐다.
기업들은 AI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더 많은 준비가 필요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으며 한국 기업의 43%는 IT 인프라의 확장성, 유연성, 관리 가능성 개선을 최우선 과제로 설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누팜 트레한 시스코 APJC 지역 피플 및 커뮤니티 부문 부사장은 “AI 도입 경쟁이 가속화됨에 따라 인재는 기업의 중요한 차별화 요소가 될 것”이라며 “기업들은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인재 풀에 투자를 단행함과 동시에 민간 및 공공 부문, 교육 기관, 정부 등 이해관계자들이 협력해 지역 인재를 육성해야만 AI의 거대한 잠재력을 누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