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아 블루팀 로봇이 밀려났습니다. 그런데 아직 경기장 밖을 나가진 않았어요. 레드팀 로봇이 블루팀 로봇을 찾아다니고 있습니다. 로봇을 찾았는지 주변을 빙글뱅글 도는데 막상 다가가진 않고 있어요. 이대로라면 블루팀 로봇이 이길 가능성이 더 큽니다” 지난 10월 10일부터 4일간 킨텍스에서 열린 ‘2018 로보월드’에서 진행된 국제 로봇 콘테스트에서는 로봇들의 씨름 경기가 펼쳐졌다. 참가자들은 불도저 모양의 로봇을 직접 제작해 경기에 참여했다. ▲ 2018 로보월드에서 직접 제작한 로봇으로 대결하는 씨름 대회가 열렸다. <사진 : 김동원 기자> 경기는 시간 안에 상대방 로봇을 경기장 밖으로 밀어내면 승리하는 방식이었다. 얼핏 듣기는 쉬워 보이지만, 경기 내용은 그러지 못했다. 경기 중 로봇을 따로 조종하는 이가 없었기 때문이다. 로봇을 만든 참가자는 로봇을 경기장에 올려두는 순간 아무런 행동도 하지 못했다. 단지 로봇을 응원할 뿐이었다. 로봇은 스스로 준비장소인 원 안을 벗어나 상대방 로봇을 찾았다. 찾은 후에는 있는 힘껏 경기장 밖으로 밀어냈다. 시간 안에 준비장소인 원을 벗어나지 못하면,
[첨단 헬로티] “아 A팀 로봇이 쓰러졌습니다. 심판 카운트 들어갑니다. 네, A팀 로봇 다시 일어섰습니다. 지금, A팀 로봇이 승기를 잡으려면 B팀 로봇과 간격을 두며 큰 움직임 없이 펀치를 날려야 합니다. 남은 배터리도 생각해야 하거든요.” 땡땡땡. UFC 경기를 연상케 하는 로봇 격투 경기가 펼쳐졌다. 지난 10월 10일부터 4일간 킨텍스에서 열린 ‘2018 로보월드’에서 진행된 국제 로봇 콘테스트에서는 로봇들로 대결하는 각종 스포츠 경기가 진행됐다. 그중 격투 경기는 많은 관람객의 응원을 받는 인기 종목 중 하나였다. 경기는 우리가 흔히 아는 UFC보단 K1과 가까웠다. 타격과 넘어뜨리는 등의 기술은 가능했지만, 넘어졌을 때 공격하는 그라운드 기술은 허용되지 않았다. 다만, 로봇이 넘어지면 심판은 바로 카운트를 셌고, 시간 안에 로봇이 일어나지 못하면 그대로 경기는 종료됐다. 참가자들은 경기에 출전하기 위해 로봇을 직접 만들었다. 모양은 비슷했지만, 만든 기술에 따라 주특기 기술이 달랐고, 넘어졌을 때 일어서는 속도도 달랐다. 무엇보다 승리를 위해 필요한 내구성도 차이가 났다. 로봇의 경기였기 때문에 배터리도
[첨단 헬로티] 가을을 맞아 농구대잔치가 열렸다. 다만, 이 경기에는 사람이 직접 뛰지 않는다. 경기에 나선 선수는 다름 아닌 로봇이다. 지난 10월 10일부터 4일간 킨텍스에서 열린 ‘2018 로보월드’에서 진행된 국제 로봇 콘테스트에서는 로봇들의 농구 경기가 펼쳐졌다. 참가자들은 농구하는 로봇을 직접 만들어 경기에 참여했다. ▲ 두 참가자가 로봇 농구 경기에 참여했다. 바닥에 있는 다섯 개의 공을 먼저 넣는 로봇이 이기는 경기였다. <사진 : 김동원 기자> 경기는 시간 안에 더 많은 공을 넣는 로봇이 이기는 경기였다. 조종사는 땅에 떨어진 공을 로봇이 주을 수 있도록 신중하게 조종해야 했고, 골대 거리와 각도도 맞춰 공을 던져야 했다. 공을 던지는 위치에 맞춰 2점슛과 3점슛도 있었다. 어떤 로봇은 공을 빨리 주어 3점슛을 연달아 터뜨리는가 하면, 어떤 로봇은 자꾸 공을 떨어뜨리기도 했다. 로봇 경기인 만큼, 조종도 중요했지만, 로봇을 만드는 일도 중요했다. 대회장 옆에서는 조금 더 빨리 움직이고, 세밀하게 조종할 수 있는 로봇을 만들기 위한 참가자들의 손놀림이 바빴다. ▲ 참가 선수들이 경기 전 직접 만든 로봇으로 농구
[첨단 헬로티] 컬링으로 희망을 보여주었던 팀킴의 새로운 라이벌이 등장했다. 그런데 사람이 아니다. 로봇이다. 지난 10월 10일부터 4일간 킨텍스에서 열린 ‘2018 로보월드’에서는 로봇들의 컬링 경기가 펼쳐졌다. 참가자들은 컬링하는 로봇을 직접 만들어 경기에 참여했다. ▲ 2018 로보월드에서 로봇 컬링 경기가 진행되고 있다. <사진 : 김동원 기자> 이기는 방법은 컬링과 똑같았다. 원안에 스톤을 더 정확하고 많이 넣으면 되었다. 다른 점이 있다면, 축구처럼 스톤을 발로 차서 움직인다는 점이었다. 출발선과 원이 거리가 비교적 멀었기에 로봇은 시간 안에 스톤을 여러 번 찰 수 있었다. 컬링이 선수가 모두 힘을 합쳐 경기를 펼친 것처럼, 로봇 컬링도 로봇과 조종사가 하나가 돼야 했다. 조종사는 로봇이 스톤을 원하는 방향대로 정확히 찰 수 있도록 각도 등을 계산하며 로봇을 조종했다. 상대방 스톤이 원안에 접근하지 못하게 하는 전략도 필요했다. 한 참가자는 “로봇을 조정하고, 각도를 계산하고, 상대방 스톤까지 고려하느라 머리가 아팠다”며 “실제 컬링도 머리 싸움인 것 같다”고 말했다. 경
[첨단 헬로티] 삼성기공이 10월 10일부터 13일까지 킨텍스에서 개최하는 ‘2018 로보월드’에 참가해 직교로봇, 반도체 장비용 커플링 및 기어 부품 등을 선보였다. 삼성기공은 자동화 설비, 직교로봇, 정밀기기 등에 적용되는 동력전달 장치를 공급하는 기업이다. 주 품목은 기어, 스크류잭, 체인, 기어드 모터, 커플링 등이다. ▲삼성기공이 공급하는 일본 아사(ASA)의 볼 커플링 이번 전시회에는 일본의 커플링 전문 기업 아사(ASA), 기어부품 전문 기업 케이지(KG) 등의 제품을 선보였다. 아사의 커플링은 디스크형, 쿠션형, 볼, 플라스틱 몰드 커플링 등으로 구분된다. 이 가운데 삼성기공이 강점으로 내세우는 볼 커플링은 허브의 홈에 포지되어 있는 볼로 동력을 전달하는 커플링으로 신축 흡수에 강하며 더블 타임의 경우 큰 편심에 사용할 수 있다. 케이지의 기어부품은 치 연삭 평기어, 노백래쉬 기어, 소형 모듈랙, 웜기어, 기어 박스 등이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고정밀 기술이 요구되는 초소형 기어를 중점적으로 소개했다. 이 제품은 정교한 로봇이나 정밀기기에 적용돼 정확한 움직임을 구현시켜주는 제품이다. ▲삼성기공이 공급하는 일본 케이지(K
[첨단 헬로티] 로비텍(ROVITEK)이 10월 10일부터 13일까지 킨텍스에서 개최하는 ‘2018 로보월드’에 참가해 거리 센서, 바이오 센서 등 다양한 산업용 센서 모듈을 선보였다. 로비텍은 산업 및 서비스용 로봇에 필요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센서 모듈을 공급하는 업체이다. 주 공급 제품은 CAN 센서(거리센서, 자세센서, 환경센서, 바이오센서 등), CAN 모션, 컨트롤러 등이다. 이번 전시회에는 자동화 및 로봇에 적용되는 다양한 센서를 전시했다. 이 센서들은 크기가 작고, 인식률이 높아 자동화 설비, 로봇 분야 외에 다양한 환경에 적용할 수 있다. 로비텍은 자사의 센서가 적용된 ‘UAV 기반 스마트 물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도 함께 소개했다. 이 시스템은 드론이 채수 시설까지 비행해 센서로 물의 상태를 파악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운영된다. 여기에는 로비텍의 pH센서(산성도), DO센서(용존산소량), EC센서(전기전도도), 탁도센서, 온도센서가 적용되었다. ▲로비텍의 거리센서 및 환경센서 한편, 올해로 13번째를 맞이한 ‘2018 로보월드’는 ‘Smart Industry,
[첨단 헬로티] 미래 로봇 박사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2018 로보월드’에서는 초등학교 학생들부터 대학생까지 로봇전문가라 불리는 학생들이 직접 만든 로봇으로 서로 경쟁하고, 뜨거운 승부를 나눴다. 지난 10월 10일부터 4일간 킨텍스에서 개최한 로보월드에는 ‘2018 국제로봇콘테스트’가 부대행사로 진행됐다. 이 자리에서 학생들은 직접 로봇을 만들고, 만든 로봇끼리 농구와 격투, 씨름 등의 스포츠로 경쟁했다. ▲ 2018 로보월드의 부대행사로 국제로봇콘테스트가 개최했다. <사진 : 김동원 기자> 행사장 한편에서는 로봇을 만드는 학생들의 손이 분주했다. 직접 손으로 로봇을 설계하는 학생들이 있었고, 의견을 나누는 학생들의 모습도 보였다. 필리핀 등 외국 학생들도 서로 의견을 나누며 로봇을 만들고 있었다. ▲ 학생들이 로봇을 제작하며 제대로 작동하는지 시연해보고 있다. <사진 : 김동원 기자> 한 고등학생은 “어렸을 때부터 장난감 로봇을 조립하는 것을 좋아했다”며 “직접 로봇을 만들어 경쟁할 생각에 설렌다. 과연 이 로봇이 내 마음처럼 움직일지가 미지수다”
[첨단 헬로티] 한국FA산업이 10월 10일부터 13일까지 킨텍스에서 개최하는 ‘2018 로보월드’에 참가해 나브테스코(Nabtesco)의 정밀감속기 RV 시리즈와 AF 시리즈를 선보였다. 한국FA산업은 감속기를 비롯한 동력 전달용 부품, 기계 요소와 서보 모터 등을 국내에 공급하고 있는 자동화 시스템 공급 전문 기업이다. 주 공급 제품은 나브테스코의 정밀감속기, 심포(Shimpo)의 감속기, 파나소닉의 서보앰프 등이다. ▲한국FA산업이 공급하는 나브테스코의 정밀감속기 RV시리즈 이번 전시회에는 나브테스코의 정밀감속기 RV 시리즈, AF 시리즈를 주력으로 선보였다. RV 시리즈는 주축 베어링이 없는 정밀감속기 단일체 모델로, 플라노센트릭 반식의 감속기구를 채용한 것이 특징이다. 이 시리즈는 동시 맞물림 톱니 수가 많기 때문에 작고 가벼우면서 강성이 높으며 과부하에 강하다. 또 백래시, 회전 진동, 관성이 작기 때문에 가속 성능이 좋고 위치정밀도가 높다. 특히 이번 전시회에 소개한 RV-N 시리즈는 기존 성능에 크기와 무게를 한층 줄였다. AF 시리즈는 새로운 형태의 정밀감속기다. 기존 RV 시리즈에 파나소닉의 서보 모터를 컴팩트하게 융합
[첨단 헬로티] 위드로봇(WITHROBOT)이 10월 10일부터 13일까지 킨텍스에서 개최하는 ‘2018 로보월드’에 참가해 3차원 센서 모듈와 다양한 카메라를 선보였다. 위드로봇은 각종 설비, 로봇, 차량에 들어가는 센서 모듈과 카메라를 전문으로 제작하는 기업이다. 주 제품군은 카메라, 센서, 임베디드 보드, 생체인식 솔루션이다. 이번 전시회에서 소개한 제품은 3차원 자세 및 방위간 센서 모듈 ‘myAHRS+’와 USB 3.0 스테레오 카메라 ‘cCamS-1CGN-U’, 5MP USB 3.0 컬러 보드 카메라 ‘oCam-5CRO-U’, 1MP USB 3.0 글로벌 셔터 보드 카메라 ‘oCam-1MGN-U’ 등이다. ‘myAHRS+’은 안정적인 가속도 및 방위각을 제공하는 센서 모듈로, 그래픽 방식의 모니터링 소프트웨어를 제공하여 설정치, 자체 및 방위각, 그리고 센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으며 저장도 가능하다. ▲위드로봇의 USB 3.0 스테레오 카메라 ‘cCamS-1CGN-U’ USB 3.0 스테레오
[첨단 헬로티] 서비스 로봇 전문기업 유진로봇이 10월 10일부터 13일까지 킨텍스에서 개최하는 ‘2018 로보월드’에서 참가해 가정용 청소로봇, 자율 주행 물류 배송 시스템, 3D 라이다 센서 기술까지 개발해 온 서비스 로봇 기술력을 선보였다. 특히 이번 전시회에서는 그동안 여러 전시회를 통해 선보이며 화제가 됐던 자율주행 물류 배송 시스템 고카트(GoCart)의 사용화 버전인 ‘고카트 120(GoCart 120)’을 최초로 공개하며 집중 조명을 받았다. ▲ 자율주행 물류 배송 시스템 '고카트(GoCart)' 고카트(GoCart)는 유진로봇의 독자적인 기술력이 집약된 ‘자율주행 솔루션’을 탑재하고 있으며, 전시회에서는 공장이나 물류 창고 등 실제 산업 현장에서 활용되는 모습을 재현해 보였다. 고카트는 스테레오 카메라, 3D센서, 초음파 센서 등을 활용해 공간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장애물을 인식해 충돌을 피할 뿐 아니라, 엘리베이터 호출, 탑승 및 층간 이동, 자동문 통과 등이 가능해 복잡한 동선이 형성되는 대형 병원이나 호텔, 공장이나 공간의 폭이 좁은 시설 등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
[첨단 헬로티] 두산로보틱스가 10월 10일부터 13일까지 킨텍스에서 개최하는 ‘2018 로보월드’에 참가해 다양한 협동로봇 제품군을 선보이며 글로벌 로봇 선도업체임을 과시했다. 두산로보틱스는 지난해 12월 수원산업단지에 협동로봇 공장을 준공하고 4개 모델을 양산하면서 국내는 물론 해외에도 진출해 2022년에는 연간 9,000대 이상을 판매한다는 계힉이다. ▲ 작업자와 로봇이 함께 협업하며 일하는 모습을 시연해 보이고 있다. 두산의 협동로봇은 작업자와 안전한 협업을 보장하는 업계 최고 수준의 충돌 감지력을 자랑한다. 또한 오차 범위 0.1mm의 반복 정밀도와 각 축에 탑재된 고성능 토크센서를 통해 사람의 손재주가 필요한 섬세한 작업도 가능하다. 모델에 따라 최대 15kg까지 들어올릴 수 있으며, 최대 작업반경은 1.7m이다. 이번 전시회에서 두산로보틱스가 선보인 제품은 ‘M0609' 'M1509' 'M1013' 'M0617' 모델이다. ▲ 협동로봇 'M1013'으로 전자기판 조립을 시현하는 모습 M0609는 가반중량 6kg, 작업반경 0.9m 로봇으로서 좁은 공간에서의 빠른 반복 작업에 최적화되어 있다. M1509는 가반중량
[첨단 헬로티] 로봇공학을 이용해 사람의 신체적 능력을 강화하는 기술을 연구하는 SG로보틱스가 10월 10일부터 13일까지 킨텍스에서 개최하는 ‘2018 로보월드’에 참가해 하지 부분마비 환자를 위한 ‘엔젤렉스(ANGELEGS)’를 공개했다. 엔젤렉스는 하지 부분 마비 환자의 재활치료 보조 또는 노약자의 일상생활 보행 보조 로봇이다. ▲ SG로보틱스가 '2018 로보월드'에서 부분마비 환자를 위한 ‘엔젤렉스(ANGELEGS)’를 전시했다. 엔젤렉스의 가장 큰 특징은 ‘입는 로봇’이라는 점이다. SG로보틱스는 착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무저항 구동기 기술을 채택했다. 따라서 별도로 센서를 부착할 필요 없이 보행의 의도 파악이 가능하다. 센서가 포함된 스마트 슈즈는 운동 데이터를 측정하고 실시간 보행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SG로보틱스 관계자는 “엔젤렉스는 개발자의 시각 아닌 철저하게 사용자의 입장에서 생각하여 만들어졌다”며 “앞으로 로봇은 신기한 미래 기술이 아니라 생활에 필요한 필수 제품이어야 하기 때문이다”라고 강조했
[첨단 헬로티] ‘인간과 로봇의 공생’을 경영 이념으로 하는 NT로봇은 식사보조 로봇 ‘케어밀(CareMeal)’과 척추손상 환자를 위한 웨어러블 보행 로봇 ‘리워크(ReWalk)’를 선보였다. 케어밀은 근력이 부족하여 혼자 식사가 어려운 환자를 위한 로봇이다. ▲ 이번 전시회에서 NT로봇은 식사보조 로봇 ‘케어밀’을 선보였다. <사진 : 김동원 기자> 밥과 반찬을 집어주는 팔(그랩 암)과 입에 음식을 넣어주는 팔(스푼 암)으로 구성된 이 로봇은 조이스틱으로 식사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휴대전화에서 전용 앱을 이용해 식사 속도와 순서, 일 회 식사량도 설정할 수 있다. NT로봇 관계자는 “케어밀은 숟가락의 교환이 쉬워 개인뿐 아니라 요양 시설에서도 교대로 사용할 수 있는 로봇”이라고 설명했다. NT로봇이 케어밀과 함꼐 전시한 리워크는 환자들의 보행을 위한 웨어러블 로봇이다. 척추 손상 등으로 하반신이 불편한 환자의 재활과 이동을 돕는다. ▲ NT로봇이 전시한 척추손상 환자를 위한 웨어러블 보행 로봇 ‘리워크(ReWalk)&rsq
[첨단 헬로티] 고령화 시대에 필요한 서비스·정책·솔루션을 연구하는 시니어 감동 디자인 연구소를 운영하며 노년층의 건강에 이바지하는 스튜디오크로스컬쳐가 10월 10일부터 13일까지 킨텍스에서 개최하는 ‘2018 로보월드’에 참가해 치매와 우울증을 예방할 수 있는 ‘부모사랑 효돌’을 선보였다. 남자아이와 여자아이의 인형 모습을 한 부모사랑 효돌은 독거노인 등을 위한 새로운 플랫폼이다. 이 인형에는 IoT 기술이 탑재돼 있어 사용자의 외로움과 인지, 생활 건강을 보살핀다. ▲ 스튜디오크로스컬쳐가 치매와 우울증을 예방할 수 있는 ‘부모사랑 효돌’을 선보였다. <사진 : 김동원 기자> 부모사랑 효돌은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움직임과 활동을 감지할 수 있고, 복약 식약 등 30여 가지 일상생활을 알람으로 알려준다. 또, 안부와 애교, 외출 후 반김 인사 등을 통해 사용자와 교감한다. 치매 예방 퀴즈 등 시니어 콘텐츠와 움직임이 없을 때 보호자에게 즉시 연락해주는 안전 관리 기능도 갖추고 있다. 스튜디오크로스컬쳐 관계자는 “작년 12월부터 올해 8월까지 42가구를
[첨단 헬로티] 고령친화 산업 전문 기업 큐라코가 10월 10일부터 13일까지 킨텍스에서 개최하는 ‘2018 로보월드’에 참가해 환자와 가족, 간병인을 위한 ‘케어비데(Carebidet)’을 선보였다. 케어비데는 누워서 생활해야 하는 환자들의 배설물을 처리해주는 ‘자동대소변처리기’다. ▲ 큐라코가 ‘2018 로보월드’에 참가해 환자와 가족, 간병인을 위한 ‘케어비데(Carebidet)’을 선보였다. <사진 : 김동원 기자> 내장된 센서를 통해 환자의 대소변을 감지하면 케어비데는 즉시 배설물을 처리해준다. 이후 비데로 청결하게 세정시킨 후 온풍건조까지 모든 과정을 자동으로 실행한다. 케어비데는 공기정화 및 살균처리가 가능해 환자와 간병인, 가족의 감염을 예방해준다. 남성 여성 별로 컵 모듈을 따로 구성했고, 배설물 누설 방지, 회전 노즐, 냄새 제거, 세정수 온도유지 등의 기능을 갖추었다. 한편, 올해 13번째를 맞이한 ‘2018 로보월드’는 ‘Smart Industry, Smart Life!’라는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