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1인 가구가 800만 세대를 넘어 전체의 36%를 차지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서울시 조사에 따르면 1인 가구의 62%가 ‘외로움’을 느끼는 등 고립감과 정신건강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KAIST 연구진이 스마트폰이나 웨어러블 기기의 한계를 넘어, 가정 내 사물인터넷(IoT) 센서 데이터를 활용해 개인의 정신건강 상태를 정밀하게 추적할 수 있는 가능성을 입증했다. 이번 연구는 개인 맞춤형 정신건강 관리 시스템 개발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는 전산학부 이의진 교수 연구팀이 청년층 1인 가구를 대상으로 IoT 기반 정신건강 추적 실증 연구를 진행한 결과를 21일 발표했다. 정신건강을 관리하기 위해선 자신의 상태를 꾸준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기존의 스마트폰이나 웨어러블 기반 추적 방식은 사용자가 기기를 착용하거나 소지하지 않는 집 안에서는 데이터가 누락되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가정 내 환경 데이터에 주목했다. 청년층 1인 가구 20세대를 대상으로 4주간 실증 연구를 진행하며 가전제품과 수면 매트, 움직임 센서 등을 설치해 IoT 데이터를 수집하고, 스마트폰·웨어러블 데이터와 함께 분석했다. 그 결과 IoT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정부가 오는 9월 6일부터 본인부담 건강보험료 가구별 합산액을 기준으로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이하 ‘국민지원금’)을 1인당 25만 씩 지급한다. 고규창 행정안전부 차관은 30일 정부서울청사 별관 브리핑실에서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시행계획을 발표하며 “보다 두터운 지원을 위해 1인가구와 맞벌이 가구에 대해서는 우대 기준을 적용해 대상을 확대하는 것으로 결정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가구별 지원 금액의 상한을 폐지해 1인당 25만원을 지급할 계획”이라며 “올해에는 4인 가구 100만원, 5인 가구는 125만원, 6인 가구는 150만원으로 가구원 수에 따라 비례해 지급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해당자는 오는 9월 6일부터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고, 이어 같은 달 13일부터는 읍면동 주민센터나 카드와 연계된 은행창구 방문을 통해 오프라인으로도 지원금 신청이 가능하다. 국민지원금은 2021년 6월 부과 본인부담 건강보험료 가구별 합산액이 선정기준 이하인 경우를 지원대상으로 한다. 또한 1인 가구와 맞벌이 가구는 가구별 특성을 고려해 특례를 적용, 1인 가구의 경우 고령자와 비경제활동 인구가 많은 특성을 고려해 직장가입자
[헬로티] SKT·SH공사·ADT캡스, 최신 ICT 기반 ‘원스톱 위기 대응 시스템 구축’ 협력 SK텔레콤은 2일인 오늘 서울주택도시공사(이하 SH공사), ADT캡스와 'ICT 기반 1인 가구 위기대응 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왼쪽부터) SH공사 김세용 사장, SKT 유웅환 SV이노베이션 센터장, ADT캡스 한은석 전략기획 본부장 3사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독거 어르신 등 1인 가구의 사회적 고립이 사회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고독감, 우울감 등에 노출되기 쉬운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최신 ICT를 기반으로 한 1인 가구 맞춤형 위기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1인 가구 숫자는 600만 명을 돌파, 전체 가구 중 차지하는 비중이 30%를 넘어섰다. 특히 1인 가구 중 절반이 50대 이상으로 중장년 · 노년층 대상 사회적 연결망 확대, 고독사 예방 등 맞춤형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3사는 SKT와 ADT캡스가 제공하는 ICT 서비스를 기반으로 1인 가구의 통신·IoT 센서 등 다양한 생활 서비스 이용 데이터를 통합적으
ⓒ동부대우전자 [헬로티] 최근 1인 가구 숫자가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150ℓ 이하 소형 김치냉장고 판매가 급증하고 있다. 동부대우전자는 25일 클라쎄 다목적 소형 김치냉장고 누적판매가 5만 대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클라쎄 다목적 김치냉장고는 102ℓ 용량으로 기존 대용량 김치냉장고 대비 1/4보다 작은 크기로 출시된 스탠드형 소형 김치냉장고 제품이다. 김치냉장고 시장은 전통적으로 대용량이 주류를 형성하고 있지만 소형 김치냉장고 역시 급성장세에 있으며 업계 추정 시장규모는 이미 10만 대를 넘어선 상황이다. 동부대우전자 측은 "냉기 제어기술과 냉동고용 고효율 단열재 기술을 적용해 월간소비전력을 월당 11.50kWh까지 줄였다"며 "연간 에너지비용이 동급 뚜껑형 제품 대비 50% 이상 절감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지난 2013년 말 출시된 클라쎄 다목적 김치냉장고는 차별화된 크기와 실용성·다목적성 등의 장점으로 월평균 1500대 이상 판매고를 올리며 이번에 누적판매 5만 대를 돌파했다. 클라쎄 다목적 냉장고는 지난 5월부터 미주 수출을 시작했으며 최근 세계 4대 디자인 어워드 중 하나로 꼽히는 일본 '굿 디자인 어워드'에서 본상을 수상, 디자인
ⓒLG전자 [헬로티] 1인 가구가 최근 더욱 급증하면서 싱글족을 위한 가전 출시도 이어지고 있다. LG전자는 21일 상냉장∙하냉동 타입의 유럽 스타일 냉장고 신제품 2종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320리터 용량, 에너지 소비효율 1등급은 물론 슬림하고 깔끔한 디자인을 특징으로 하는 이번 신제품은 깊이와 가로가 각각 650mm, 595mm로 주방 조리대 깊이에 맞춰 설치할 수 있다. 새로운 냉장고(모델명: M326SW)는 냉장실 맨 아래칸에 식재료별로 맞춤 보관할 수 있는 '신선멀티실', 바로 위 칸에는 습도를 적절히 조절해 주는 '신선보관야채실+'를 각각 적용했다. LG전자에 따르면 이달 판매된 일반 냉장고 가운데 상냉장·하냉동 타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배로 커지면서 냉장고 시장의 프리미엄 제품으로 자리잡고 있다는 설명이다. 제품 가격은 출고가는 99만원(모델명: M326SW), 95만원(모델명: M326SE)이다. LG전자 냉장고사업부장 박영일 부사장은 "유럽에서 좋은 평가를 받은 상냉장∙하냉동 타입 냉장고 신제품을 앞세워 국내 프리미엄 냉장고 시장을 지속 선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수미 기자 (s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