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가포톤 우라나카 카쓰미는 본사 옥상에 첫 번째 태양광 패널을 설치했다고 발표했다. 기가포톤은 2023년 2월 본사 건물 옥상에 1100개의 태양광 패널을 설치했으며, 5월부터 발전을 시작할 예정이다. 설치된 태양광 패널의 연간 예상 발전량은 연간 약 460MWh(기가포톤이 소비하는 연간 전력의 약 4%에 해당)로 CO2 배출량으로 따지면 약 210t-CO2에 해당한다. 기가포톤은 또한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 재생에너지 사용 비율을 높이는 신규 생산 건물을 설계했고, 현재 건설 중이다(2023년 말 완공 예정). 기가포톤은 2030년까지 자체 온실가스(GHG) 배출을 사실상 제거하는 탄소 중립을 목표로 한다. 탄소 중립을 위한 노력 중 하나로서 2030년에 재생에너지 사용률 30% 달성이 목표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가포톤은 태양광 패널 설치를 포함한 에너지 생성과 병행해 생산 공정 및 기타 영역의 절전을 촉진할 것이라 밝혔다. 기가포톤의 사장 겸 최고경영자인 우라나카 카쓰미는 "기가포톤은 당사의 지속 가능성 정책을 기반으로 제품 작동 중 전력 소비 절감을 더욱 가속하는 동시에, 생산 중 전력 소비를 줄이고 재생 가능 에너지를 활용해 생산 중 발생하는
헬로티 조상록 기자 | 울산과학기술원(이하 UNIST)은 태양열로 바닷물을 증류해 먹는 물로 바꿔내는 새로운 해수 담수화 장치를 개발했다고 8월 22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에너지화학공학과 장지현 교수 연구팀은 기존보다 태양열을 더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광 증기 증발 장치(Solar Evaporator)를 개발했다. 이 장치를 1㎡ 크기로 만들 경우 1시간에 1.6㎏ 이상의 담수를 얻을 수 있다. 광 증기 증발 장치는 태양열로 물을 증발시키는 장치다. 바닷물이 장치에 빨려 들어가면 순수한 물은 증기 상태로 나오고, 소금과 같은 염 찌꺼기는 증발 장치에 남게 된다. 증발한 물을 다시 응결시키면 식수로 쓸 수 있다. 연구팀은 다중 반사로 빛의 흡수를 최대화할 수 있도록 장치를 설계하고, 이를 3D 프린팅 기술로 제작했다. 이를 통해 장치의 광 흡수체가 더 많은 빛을 흡수할 수 있게 되면서 얻을 수 있는 담수의 양이 기존보다 10% 정도 증가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광 흡수체의 위쪽은 바닷물을 튕겨 내는 소수성 물질로, 바닷물과 직접 닿는 하부는 친수성 물질로 각각 만들어 염이 쌓이는 것을 방지해 장치 수명도 3배 이상 늘렸다. 개발된 장치
[첨단 헬로티] 충북도는 도내 2893개소에 태양광 1만7459㎾, 태양열 2297㎡, 지열1461㎾, 연료전지 60㎾ 등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확대 보급한다고 밝혔다. 도는 지난해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한 ‘2020년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 공모사업’에 도내 8개 시군이 선정돼 그동안 도에서 추진해온 융복합지원사업에서 최다액인 국비 122억 원(전국 3위)을 확보했다. ▲ 충북도청은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확대 보급한다고 밝혔다. (사진 : 충북도청) 8개 시·군은 청주시, 충주시, 제천시, 보은군, 진천군, 괴산군, 음성군, 단양군 등이다.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 사업은 신재생에너지 보급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건축물 등 같은 장소에 2종 이상 신재생에너지원 설비를 동시에 설치하거나 건물, 주택 등이 있는 특정지역에 1종 이상 신재생에너지원 설비를 동시에 설치하는 사업이다. 올해 국비 122억 원을 포함해 지방비 94억 원 및 민간부담금 36억 원 등 총 252억 원을 투입해 1691개소에 태양광(8229㎾), 태양열(2297㎡), 지열(1461㎾), 연료전지(60㎾) 등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총 태양광 1
[첨단 헬로티] 시급한 글로벌 지속가능성 과제에 대한 실질적인 대책 마련 에너지 관리 및 자동화 분야 글로벌 기업 슈나이더일렉트릭은 프랑스 에마뉘엘 마크롱(Emmanuel Macron) 대통령이 케냐 나이로비에서 케냐 우후루 무이가이 케냐타(Uhuru Muigai Kenyatt) 대통령과 지구의 기후를 지키기 위해 공동으로 주관한 정상회의 '원 플래닛 서밋(One Planet Summit)' 에서 실시되는 행사에 참가했다. 이 회의는 신재생 에너지 활성화와 회복력, 적응력, 다양성 조성의 두 가지 중심 주제에 대해서 다뤘다. 에너지 접근성이 없는 전 세계 10억 인구에게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한 전기를 공급하면 양질의 일자리 수백 만개를 창출할 수 있다. 그러나 전기 접근성 공급에 필요한 노동 부족 현상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슈나이더일렉트릭은 행사에서 리더들과 협력 및 기업과 취약계층을 위한 저탄소 경제 실현 방안 제시했다. 실제로 6억7400만 인구가 2030년에도 여전히 에너지에 대한 접근성 없이 살아갈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유엔은 2030년까지 모든 사람에게 저렴하고 안정적이면서 지속 가능한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7(SDG
[첨단 헬로티] 태양광과 태양열의 장점을 한 제품이 가지고 있다면 어떨까? 장한기술은 이번 World Smart Energy Week에 참가해 태양광 발전과 태양열 집열이 융합된 하이브리드 솔라 패널 Cool PV를 선보였다. 이 태양광+태양열 융합패널(PVT)은 전기와 온수를 동시에 생산하므로 최대 4배 많은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온수를 사용이 많은 일본 시장에 맞춰 Cool PV를 선보인 장한기술의 조경제 팀장을 만나보았다. ▲ 왼쪽부터 조경제 장한기술 팀장, 류경호 본부장 <사진 : 김동원 기자> 태양에너지 효율 극대화 한 태양광+태양열 융합패널(PVT) 장한기술이 지난해에 이어 World Smart Energy Week에 두 번째 참가했다. PV EXPO에 전시장을 마련한 장한기술은 전기와 온수를 동시에 생산하는 태양광+태양열 융합패널(PVT) 제품을 선보였다. 이 제품은 전면부의 태양전지(PV) 패널에서 전기를 생산하고, 후면부의 태양열 집열기에서 온수를 생산해 태양에너지의 효율을 극대화했다. 또, 기존에 각각 설치되던 시스템을 일체화하여 공간 및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품의 원리는 태양광에서 전기를 생
[첨단 헬로티] 가든프로젝트(대표 박경복)가 지난 12월 10일, 한국전력공사 서울지역본부 동대문중랑지사 본관 옥상에 설치된 태양열 집열판을 이용해 빗물을 모아서 활용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한국전력공사(사장 김종갑)는 창립 120주년인 2018년을 기점으로 향후 120년을 위해 ‘에너지전환’으로 국민을 이롭게 하는 방향을 찾아 나가고, 4차 산업혁명의 새로운 축이 될 에너지 분야의 ‘디지털변환’으로 신성장 동력을 만들고자 노력해 왔다. 특히 한국전력 서울지역본부에서는 한국전력공사 소유의 기존건축물을 대상으로 빗물이용시스템을 적극 반영하여 시행할 목적으로 시범사업을 진행했다. 이번 사업은 공공기관인 한국전력공사가 빗물분야 사회적기업인 가든프로젝트와 협력하여 대체 에너지인 태양에너지를 모으기 위해 설치한 태양열 집열판을 활용하여 빗물집수 및 활용시스템을 구축한 것이 특징이다. 상식수준에서 생각해보면 물과 전기는 상극인 요소이다. 발상의 전환으로 태양열을 모으기 위해 만든 집열판을 빗물을 모으는 도구로 활용한 생활 속의 의미 있는 발견이다. 기존의 빗물이용시설은 옥상 면에 내리는 빗물이 홈통을 따라 내려가는 것
[첨단 헬로티] 지난 7월 31일, 광발전(photovoltaic, PV) 제조업체 Trina Solar Limited(이하 Trina Solar)가 베트남 최대의 민간 태양광 PV 프로젝트에 258MW 단결정 PERC 이중유리 모듈을 공급한다고 발표했다. 닌 투언 주의 수도 Phan Rang-Thap Cham에 있는 이 발전소는 베트남 굴지의 투자업체 Trung Nam Group으로부터 투자를 유치했다. 발전소 건설은 내년 6월 30일에 완료될 예정이다. 이 발전소는 면적은 264헥타르이며, 총투자금은 미화 약 2억2천만 달러에 달한다. PV 제품에 대한 높은 수요가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이 발전소는 베트남 최초의 풍력+태양광 혼합 발전소로서 베트남이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모듈 공급업체 Trina Solar는 인정받는 품질의 제품, 공급망 관리 역량 및 APAC 시장에서 핵심적인 경쟁력을 기반으로 경쟁업체와 차별화를 도모하고 있다. 계약 체결식에서 Trung Nam Group의 한 임원은 “이 발전소가 자사의 첫 PV 발전소 투자인 만큼, 기술, 제품 및 원료 부문의 선두주자를 공급업체 파트너로 선정하
[첨단 헬로티] 중국 태양 전지판 제조업체 Risen Energy Co., Ltd.가 5월 10일, 요르단에서 열린 제27회 연례 EBRD(European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회의에서 카자흐스탄의 63MW 태양열 프로젝트 건설 자금을 조달하고자 EBRD와 위임장에 서명했다. 이 그린필드 63MW 태양열 프로젝트의 건설은 올 9월에 시작되며, 내년 6월에 완공될 예정이다. 운영 개시 후 평균 연간 발전용량은 108,719MWh로 예상된다. 올해 초 EBRD와 Risen Energy는 Risen Energy가 카자흐스탄에서 추진한 또 다른 프로젝트인 40MW 태양열 프로젝트 자금 조달을 위한 위임장에도 서명한 바 있다. EBRD와의 협력은 Risen Energy가 카자흐스탄 시장에 진출하고, 카자흐스탄에 태양열 발전소를 건설하는 중국 최초의 PV 업체가 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Risen Energy 프로젝트 파이낸스 및 투자 이사 Zhang Jieling은 "EBRD와의 파트너십은 자사의 국제 프로젝트 파이낸싱 계획을 위한 새로운 장을 열었다"라며 "이 파트너십은 자사의 국제 확장 전략을 위한 질적인
[첨단 헬로티] 한국에너지공단(이사장 강남훈)은 신재생에너지 대규모 융합 프로젝트인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의 올해 지원대상으로 67개 컨소시엄을 최종 선정하고, 오는 18일(수)까지 각 컨소시엄과 협약 체결을 완료할 계획이다.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고 한국에너지공단이 추진, 마을이나 개별가구에 태양광, 태양열, 지열 등 2종 이상의 에너지원을 설치해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자립마을 구축 사업이다. 67개 컨소시엄의 총사업비는 1,217억원으로, 이중 575억원을 국고보조금으로 지원한다. 에너지원별로는 태양광 9,914개소(25.6㎿), 태양열 1,413개소(12,839㎡), 지열 864개소(17.3㎿), 연료전지 5개소(57㎾), 풍력 17개소(80㎾), 소수력 2개소(40㎾), 에너지저장장치(ESS) 8개소(1,550㎾) 등 총 12,223개소에 신재생에너지설비가 설치될 예정이다. 공단은 구역형 에너지자립화를 위해 마을단위 또는 구역중심으로 사업대상지를 선정하였으며, 향후 에너지자립마을 자율인증제와 연계하여 에너지자립률을 제고해나갈 계획이다. 특히, 올해부터 신재생에너지 통합모니터링시스템(Renewable Energy M
BNEF의 ‘새로운 에너지 전망 2016’에 따르면 2040년까지 발전부문에서 저탄소 에너지원(혹은 탄소 중립적 에너지원)이 세계 발전설비 총용량의 6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풍력과 태양광이 향후 25년간 세계 신규 발전설비용량 8.6TW의 64%를 차지할 것이다. 그리고 총 투자액 11.4조 달러의 거의 60%가 풍력과 태양광에 투자될 것이다. 재생에너지 현황 REN21이 펴낸 ‘재생에너지 2016 세계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많은 국가에서 재생에너지가 경쟁력 있는 주류 에너지원으로 확고히 자리를 잡았음을 보여준다. 2015년은 재생에너지 설치 면에서 기록적인 한 해였다. 재생에너지 발전용량은 기록적으로 늘어나서 147GW 용량이 신규로 설치되었다. 현대적인 재생에너지 열용량도 지속해서 증가하였고, 수송부문에서도 재생에너지 사용이 확대되었다. 분산형 재생에너지는 세계적으로 에너지 부유층과 빈곤층 간의 격차를 점차 좁혀 가고 있다. 2014년 기준 세계 최종 에너지 소비 중 재생에너지 비중은 19.2%에 달한다. 현대적인 재생에너지는 세계 최종 에너지 소비의 10.3%를 차지하였고 재래식 바이오매
“새로운 에너지 문명이 삶의 질을 혁신할 것” <태양광 등 신재생 에너지> “기존 피라미드식 발전∙송전∙배전 패러다임에서 ‘퍼스널 에너지’, 즉 분산화된 독립적 에너지 시스템으로 변환해야할 시기가 도래했습니다.” 지난 12월10일 국회의원 회관에서 만난 새누리당 전하진 의원(국회 산업위)은 국내 에너지 산업의 피라미드식 구조는 전혀 효율적이지도 미래지향적이지도 않다고 지적하며, 태양광과 같은 청정에너지를 활용한 ‘분산화된 새로운 에너지 문명’이 우리에게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전하진 의원과의 일문일답이다. Q. 안녕하십니까. 바쁘신 중에 시간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국내서 손꼽히는 IT 전문가에서 에너지 등 전기산업으로 관심을 바꾸게 된 계기는 무엇인지요. A. IT산업은 혁신에 학습이 되어 있는 분야라고 생각합니다. 아시는 것처럼 저 역시도 혁신의 한 축을 담당했고요. 다시 말하면 IT는 무엇을 어떻게 혁신하면 되는지를 아는 분야이지요. 하지만 에너지 분야 안에 계신 분들은 그렇지 못한 것 같더군요. 특히나 공기, 물, 날씨처럼 인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