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제주도 내 잉여전력 육지로 보내 재생에너지 수용능력 최대 342MW까지 끌어올린다 ▲산업부는 ‘지역이 주도하는 분산에너지 시스템 구축’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대책으로 지역 주도의 에너지 시스템 실현, 분산형 에너지 인프라 구축, 제주지역 재생에너지 출력 최소화 방안을 마련했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가 3일 제주도 신재생에너지 홍보관에서 ‘지역 주도의 분산에너지 활성화 대책’을 발표했다. 분산에너지는 중소규모의 재생에너지, 열병합발전, 자가발전, ESS, 수요자원 등으로 수요지 인근에서 생산되어 해당 지역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다. 최근 대규모 발전소 및 송전선로 건설 관련 사회적 갈등 증가로 수요지 인근에서 생산·소비되는 분산에너지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대됐고, 이에 정부는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통해 분산형 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목표로 제시한 바 있다. 현재 산업부는 분산에너지 포럼 개최, 지자체·업계 설명회 등을 통해 의견을 수렴하고 협의를 거쳐 ‘분산
[첨단 헬로티]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030년까지 20%로 높이겠다는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 이후 국내 재생에너지 발전은 어떤 방향으로 갈까?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과 관련, 국민의견 수렴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했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이날 정부는 204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30~35%로 확대하고, 석탄 발전은 과감하게 감축한다고 밝혔다. 또, 원전해체와 방사선 등은 원자력 미래 유망분야로 육성한다고 밝혔다. 이날 시행된 에너지기본계획은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에 따라 5년 주기로 수립하는 에너지 분야 최상위 법정 계획이다. 이번에는 2019~2040년까지 향후 20년간의 중장기 에너지 정책의 비전, 목표와 추진전략을 제시했다.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에서는 ‘에너지 전환을 통한 지속가능한 성장과 국민 삶의 질 제고’를 비전으로 5대 중점 추진과제를 제시했다. 5대 중점 추진과제는 ▲소비구조 혁신 중심으로 정책 패러다임 전환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믹스로 전환 ▲분산형·참여형 에너지시스템 확대 ▲에너지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