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산하 전기전문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전기연구원(KERI, 원장 최규하)의 과학문화 온라인 콘텐츠가 2년 연속 조회수 100만 뷰를 돌파하며 과학기술 분야 국민 소통의 최고 기관임을 다시 한 번 증명했다. 한국전기연구원(이하 KERI)은 2018년 과학 콘텐츠 조회수 100만 뷰를 돌파한 데 이어, 지난해 132만 뷰를 기록하며 30%가 넘는 성장률을 달성했다. 올해도 1월 기준 20만 뷰를 돌파하며 연말 목표치인 170만 뷰 이상을 향해 순조롭게 달려가고 있다. KERI는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기관 중 가장 많은 7개의 SNS 채널(블로그, 포스트, 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네이버TV, 트위터)을 보유하고 있다. 언제 어디서나 다양하게 접할 수 있는 채널 운영을 통해, 국민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과학적 궁금증을 해소하는 소통 공간을 마련했다. 주요 주제로는 국민 생활 밀접형 콘텐츠가 큰 인기를 차지하고 있다. ▲100% 충전된 스마트폰, 계속 꽂아 두는 것이 좋을까? ▲우리집 지킴이 ‘디지털 도어락’의 고장 원인은? ▲전기 감전 피하려면 ‘오른손’과 &
[첨단 헬로티] 전류는 전위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흐른다 ▲ 그림 1. 물은 수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른다. 전기의 흐름을 물의 흐름에 비유해 보자. <그림 1>과 같이 수조 A에 물을 채우면 높은 위치에 있는 물은 낮은 위치에 있는 물보다 위치 에너지가 크기 때문에, 수위가 높은 수조 A에서 수위가 낮은 수조 B를 향하여 물이 흐른다. ▲ 그림 2. 전류는 전위가 높은 곳에서 낮은 쪽으로 흐른다. 전기의 흐름인 전류도 이와 같다. 수위에 해당하는 것이 전위이고, <그림 2>와 같이 A·B 양 대전체 사이에 전위 차이가 있으면, 이것을 전선으로 연결하면 전류는 전위가 높은 +의 대전체 A에서 전위가 낮은 – 대전체 B쪽으로 흐른다. 이 + 대전체 A와 – 대전체 B 사이에 있는 전위의 차, 즉 전위차를 전압이라고 한다. 즉 전기의 압력에 의해 물질을 형성하는 원자 내의 자유 전자가 이동하여 전류가 흐르는 것이다. 이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전기의 압력을 전압이라 할 수 있다. 전압의 단위는 ‘볼트’이다 전압이란 두 점간의 전우치ㅏ를 말하며, 1쿨롬의 + 전기가 갖는 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