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산업통상자원부는 21일 국무회의에서 ‘원전해체 연구소’를 2021년 하반기에 착공하기로 결정했다고 보고했다. 정부는 지난 2017년 6월 ‘고리1호기 영구정지 선포식’을 계기로 원전해체 산업 육성과 해체기술 실증을 위한 인프라로 동남권에 원전해체연구소 설립 방침을 발표했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산업부는 원전해체연구소 설립 방안 연구를 거쳐, 부지 선정 및 재원분담방안 협의 등을 진행해 왔다. 원전해체연구소 설립 추진계획에 따라 경수로 해체를 연구하는 본원은 부산과 울산 접경지역에 약 7만3000m² 규모로, 중수로 해체를 연구하는 본원은 경주시 나아산업단지에 약 2만4000m² 규모로 건설될 예정이다. 총 사업비는 3223억원이 투입될 계획이다. 한수원 등 공공기관 출연 1934억원을 통해 법인을 설립하고, 정부, 지자체 1289억원을 투입해 연구개발 사업, 장비구축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450기 원전이 운영 중이며 이중 30년 이상된 원전은 305기(68%)로 2020년 중반 이후부터 글로벌 원전해체시장이 본격 확대될 전망이다. 현재 전 세계 원전 해체시
[첨단 헬로티] 한국수력원자력(사장 정재훈, 이하 한수원)이 15일 고리원자력본부에서 부산시, 울산시, 경상북도, 경주시와 ‘원전해체연구소 설립 및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성윤모 산업부 장관을 비롯해 정재훈 사장, 관련 지자체장과 국회의원 등이 참석했다. ▲ 한수원은 부산시, 울산시, 경상북도, 경주시와 ‘원전해체연구소 설립 및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사진 : 한수원> 한수원과 지자체들은 업무협약을 통해 앞으로 연구소 설립과 운영이 효율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원전해체연구소는 미래 먹거리로 떠오른 원전 해체기술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해체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설립될 계획으로, 부산·울산 지역에 원전해체연구소가, 중수로 원전이 위치한 경북 경주에는 중수로해체기술원이 자리할 예정이다. 정재훈 한수원 사장은 “해체연구소는 지역의 원전해체산업 생태계 기반구축은 물론, 고용창출 등을 통해 지역의 동반성장을 크게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하며, 정부와 지자체, 국회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