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기업 ADI의 6세대 최신 BMS 솔루션을 소개하는 웨비나가 다음달 17일, 오후 2시 개최된다. ADI의 6세대 BMS 솔루션은 마일드 하이브리드 제품에서 2휠, 3휠과 같은 저속으로 운행하는 차량들이나 냉동탑차의 냉동기, 가정에서의 ESS 등에 적용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솔루션이다. 무엇보다 이번 6세대 제품은 정밀도와 신뢰성을 기반으로 업계 최초로 모든 셀을 패러럴 방식과 이중화 방식으로 측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업계의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웨비나에서는 ADI의 솔루션을 국내에 소개하고 있는 WT Korea의 김대중 매니저가 ADI의 6세대 BMS 솔루션에 대한 소개와 함께 주요 제품 및 솔루션을 중심으로 한 발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배터리 관리가 산업 전반의 미션으로 부상하고 있는 요즘, 더욱 관심을 끌 것으로 전망되는 이번 웨비나는 첨단 두비즈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등록할 수 있다. 헬로티 김재황 기자 |
글로벌 기업 ADI의 6세대 최신 BMS 솔루션을 소개하는 웨비나가 다음달 17일, 오후 2시 개최된다. ADI의 6세대 BMS 솔루션은 마일드 하이브리드 제품에서 2휠, 3휠과 같은 저속으로 운행하는 차량들이나 냉동탑차의 냉동기, 가정에서의 ESS 등에 적용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솔루션이다. 무엇보다 이번 6세대 제품은 정밀도와 신뢰성을 기반으로 업계 최초로 모든 셀을 패러럴 방식과 이중화 방식으로 측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업계의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웨비나에서는 ADI의 솔루션을 국내에 소개하고 있는 WT Korea의 김대중 매니저가 ADI의 6세대 BMS 솔루션에 대한 소개와 함께 주요 제품 및 솔루션을 중심으로 한 발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배터리 관리가 산업 전반의 미션으로 부상하고 있는 요즘, 더욱 관심을 끌 것으로 전망되는 이번 웨비나는 첨단 두비즈 홈페이지(https://dubiz.co.kr/Event/252)를 통해 사전등록할 수 있다. 헬로티 김재황 기자 |
한화솔루션 큐셀부문(이하 한화큐셀)이 중국 태양광 제조사 트리나솔라(Trina Solar)와 태양광 셀 기술 특허를 둘러싼 법적 분쟁을 중단하는 데 합의하고 라이선스 및 특허 양도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으로 한화큐셀은 트리나솔라의 특허를 양도받고, 트리나솔라는 한화큐셀의 특허 기술이 적용된 제품을 생산하고 판매할 수 있게 된다. 한화큐셀의 해당 특허는 태양광 셀에 반사막을 형성해 빛이 셀 내부에서 한 번 더 반사되도록 만들어 발전 효율을 높이는 퍼크(PERC) 기술 특허다. 퍼크 셀은 현재 전 세계에 유통되고 있는 태양광 제품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제품으로, 한화큐셀은 자체 개발한 퍼크 기술을 적용해 고효율, 고품질의 태양광 모듈을 양산하고 있다. 이번 계약으로 양 사는 독일과 중국에서 진행하던 해당 특허와 관련된 법적 분쟁과 행정 절차 일체를 중단한다. 한화큐셀은 지난해 12월 독일에서 트리나솔라를 상대로 특허침해소송을 제기해 판매금지 가처분신청 인용 결정을 받았다. 이에 트리나솔라는 1월 중국에서 한화큐셀을 상대로 특허침해소송을 제기해 행정 절차가 진행되고 있었다. 양 사는 해당 특허와 관련된 모든 조치를 취하하고 원활한 제품 공급에 나선다. 한편
전송속도 최대 2.4Gbps 지원…7세대 대비 1.2배 향상 삼성전자는 세계 최고 용량의 '1Tb(테라비트) 8세대 V낸드' 양산을 시작했다고 7일 밝혔다. '1Tb TLC(Triple Level Cell·1개 셀에 3개 비트 저장) 8세대 V낸드'는 단위 면적당 저장되는 비트 수(비트 밀도)가 업계 최고 수준인 고용량 제품이다. 웨이퍼당 비트 집적도가 이전 세대보다 대폭 향상됐다. 8세대 V낸드에는 최신 낸드플래시 인터페이스 '토글 DDR 5.0'을 적용했다. 이에 따라 7세대 낸드보다 약 1.2배 빠른 최대 2.4Gbps(초당 기가비트)의 데이터 입출력 속도를 지원한다. 아울러 PCIe(고속 입출력 인터페이스) 4.0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며, 향후 PCIe 5.0까지 지원할 계획이다. 허성회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플래시개발실 부사장은 "고집적·고용량에 대한 시장의 요구로 V낸드의 단수가 높아짐에 따라 3차원 스케일링 기술로 셀의 평면적과 높이를 모두 감소시키고, 셀의 체적을 줄이면서 생기는 간섭 현상을 제어하는 기반 기술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8세대 V낸드를 앞세워 차세대 엔터프라이즈 서버 시장의 고용량화를 주도하고, 높은 신뢰성이 필요한 전
비전 알고리즘 및 AI 검사기술로 검사공정 자동화 및 불량품 검출 품질 향상 영우디에스피가 2일인 오늘 삼성디스플레이와 OLED 검사장비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공시에 따르면 계약기간은 2022년 8월 1일부터 2022년 11월 17일까지다. 계약금액은 회사 측에 영업비밀을 요청함으로서 밝혀지지 않았다. 영우디에스피가 삼성디스플레이에 공급할 OLED 검사장비는 OLED를 구성하는 셀과 모듈, 패널의 불량여부를 판별하는 장비다. 비전 알고리즘 및 AI 검사기술이 적용돼 있어 장비 도입 시 검사공정의 자동화 및 불량품 검출 품질 향상이 가능하다. 시장조사기업 옴디아에 따르면, 지난 1분기 국가별 LCD 패널 점유율의 51.8%를 중국이 차지했다. 중국이 LCD 시장 내 점유율을 빠른 속도로 확대해나가자 국내 디스플레이 기업들은 OLED 전환에 속도를 내는 추세다. 영우디에스피 관계자는 "OLED 전환 흐름에 따라 당사의 디스플레이 검사장비에 대한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AR, VR 구현 등 디스플레이 발전에 맞춰 OLED를 비롯해 QNED, QD OLED, 마이크로 OLED 등으로 검사장비 적용 범위를 적극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맥심인터그레이티드(Maxim Integrated)의 MAX17852 14채널 고전압 ASIL-D 등급 데이터 수집(DAQ) 시스템을 공급한다고 밝혔다. ▲출처 : 마우저 일렉트로닉스 오토모티브 배터리 관리 시스템 (BMS) 설계자들은 MAX17852를 통해 전압과 전류, 온도, 통신에 안전성을 구현함과 동시에 공간 및 솔루션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마우저에서 제공하는 맥심인터그레이티드 MAX17852는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및 기타 운송 시스템 내 고전압/저전압 배터리 모듈 관리를 위한 유연한 솔루션이다. MAX17852는 400V, 800V 이상의 전압에서 작동하는 스마트 정션박스, 48V 및 기타 오토모티브 배터리 시스템에 적합하다. 맥심은 MAX17852가 완전 이중화 측정 엔진으로 14개의 셀 전압, 1개의 전류, 4개의 온도 조합 또는 시스템 전압을 263μs 내에 측정하도록 설계했다. 덧붙여 마우저는 ADC(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측정 엔진만으로도 156µs 내에 모든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최대 32개의 장치를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해 448개의 셀을 관리하고
[첨단 헬로티] ABB는 세계 최대 화학 회사 중 하나인 LG화학의 폴란드 유럽 최대 전기차 배터리 공장의 변전소 공급사로 선정됐다. 변전소는 그리드와 공장의 전원 장치를 연결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의 핵심 요소이다. 특히 고도로 자동화된 설비의 경우, 에너지 안보를 위해 올바른 운영이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전력 공급에 문제 발생시 높은 비용을 수반하는 운영정지를 야기할 수 있다핵심 장비에는 안전하고 신뢰되는 전력 공급을 위한 변압기, 피뢰기, 가스 절연 개폐장치가 포함된다. 브로츠와프 인근 코비에르지체에 있는 신규 자동차 배터리 공장은 연간 250,000대 이상의 전기차 배터리 공급 가능 규모이며, 생산 능력을 지속적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LG화학의 폴란드 공장은 전극에서 셀, 모듈과 팩까지 모든 배터리 부품을 생산하는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최대 규모의 리튬 이온 배터리 공장이다. ABB 파워 그리드 사업본부 그리드 통합 사업부 총괄 패트릭 프래그만은 “해당 변전소 솔루션은 ABB 전문지식, 동종 최상의 제품 및 시스템 통합 역량을 종합적으로 아우르는 좋은 예시”라며, “ABB는 지속가능한 운송에 대해 헌신과 노력을 기
[첨단 헬로티] 중국의 태양광 발전 제품 제조업체 LONGi Green Energy Technology Co., Ltd가 자사의 완전소유 자회사이자 세계 굴지의 단결정 셀 및 모듈 제조업체인 LONGi Solar와 더불어 인도 안드라 프라데시 지역에서 자사의 태양광 셀/모듈 공장을 확장하기로 했다고 공동 발표했다. 이번 공장 확장의 목적은 인도에서 빠르게 증가하는 태양 에너지의 수요를 충족하고, LONGi의 해외 매출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LONGi는 증가하는 시장 수요에 맞춰 3억900만 달러를 투자할 예정이다. 여기에는 건설 투자비 약 2억4천만 달러와 운전자본 약 6천800만 달러가 포함된다. 이는 안드라 프라데시에 있는 자사의 셀/모듈 공장의 생산용량을 500MW에서 1GW로 각각 두 배로 늘리기 위함이다. 확장된 모듈 공장 건설은 내년 4월 말에 완공돼 생산에 착수할 예정이고, 셀 공장은 2020년 1월부터 생산을 개시할 예정이다. LONGi Solar 사장 Wenxue Li는 “자사의 안드라 프라데시 공장 확장은 자사의 국제 성장 전략의 일환”이라며 “태양광 모듈에 대한 국제적 수요가 계속 증가하는 가운데, 자사는
[첨단 헬로티] 광발전(photovoltaic, PV) 모듈, 솔루션 및 서비스 분야의 글로벌 선도기업인 Trina Solar Limited (NYSE: TSL)("Trina Solar " 또는 "회사")는, 자회사의 State Key Laboratory (SKL) of PV Science and Technology (PVST)가 고효율 n타입 단결정 실리콘(c-Si) Interdigitated Back Contact (IBC) 태양전지 부문에서 대규모 면적(156x156mm2)에 대한 총 면적효율 24.13%라는 새로운 신기록을 세웠다고 밝혔다. 이번에 신기록을 수립한 n타입 단결정 실리콘(c-Si) IBC 태양전지는 저비용 산업용 IBC 과정을 통해 대량의 인(phosphorous)이 함유된 Cz 실리콘 기질 상에서 제작됐으며, 재래식 튜브투여 기술과 완전하게 스크린 인쇄된 금속화 특징을 가진다. 156x156mm2 크기의 태양전지는 일본전기안전환경연구소(Japan Electrical Safety & Environment Technology Laboratories, JET)가 독자적으로 측정한 결과, 24.13%의 총 면적효율을 달성했다. IBC
루비는 7년 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배터리 회사인 바르타 한국 지사를 인수하며 계속해서 배터리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공급하는 업체이다. ESS, BMS 관련 기술을 150여 개나 소유하고 있으며 모두 특허 출원이 완료된 기술이다. 최근에는 주로 BMS에 특화된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번 전시를 통해 루비의 4세대 BMS를 소개했다. Q. 전시 중인 기술에 대해 소개해주세요. 저희가 4세대 BMS를 가지고 있거든요. 4세대 BMS는 기존 active와 passive BMS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보호한 기술인데 기존에 셀 밸런싱보다는 CCCV 방식으로 셀 밸런싱을 해요. 그 기술을 일본에서 6년 전부터 선보였는데 일본에서 반응이 좋아요. 그래서 이번에 바이어도 그 기술을 가지고 일본 시장을 공략하자 그래서 4세대 BMS를 채용한 ESS를 출시하고 그것을 가지고 와서 전시하고 있습니다. ESS를 하는 데 가장 큰 문제가 바로 ‘셀 언밸런싱’이에요. 이를 없애야 배터리 수명도 길어지고 성능도 더 좋아지는데 기존의 ESS 방식은 밸런싱 잡기가 매우 힘든 단점이 있어요. 기존에는 높은 전압을 방전하는 방식인데 저희는 낮은 전압을 CCCV로 충
BiCS FLASHTM는 세계 최초로 256-기가비트 48층 BiCS 기기로 현재 업계를 선도하는 3비트/셀 (triple-level cell, TLC) 기술을 사용한 3D 적층 셀 구조 플래시 메로리다. 이 제품은 최첨단의 48층 적층 공정에 기반해 기존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는 2차원 NAND 플래시 메모리의 용량을 초월하는 한편, 쓰기/지우기 기능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쓰기 속도가 개선됐다. 김연주 기자 (npnted@hellot.net)
완전 통합형 5A 단일 셀 리튬이온(Li-ion) 배터리 충전 IC는 보다 빠르게 낮은 온도에서 충전할 수 있는 고유의 MaxCharge 기술을 적용해 충전 시간을 기존 배터리 충전 IC 대비 최대 60%까지 단축시켰다. MaxCharge 기술은 더욱 빠른 충전 시간과 낮은 온도의 충전을 구현함으로써 많은 리튬이온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 전자기기의 전체 수명을 연장시킨다. 김혜숙 기자 (eltred@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