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실습 플랫폼 기업 엘리스그룹의 공교육 특화 AI 교육 브랜드 엘리스스쿨이 지난 3일부터 4일까지 일산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열린 '2023 대한민국 SW교육 페스티벌'에 참가했다. 대한민국 SW교육 페스티벌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교육부가 주최하고 한국과학창의재단, 정보통신기획평가원, SW중심대학협의회가 주관하는 SW∙AI 교육 행사다. 교육부 AI 디지털교과서 프로토타입 및 서비스 모델 개발사로서 엘리스그룹은 '엘리스스쿨 AI코스웨어'와 함께 다양한 코딩 교육 콘텐츠를 체험하며 디지털 교육의 미래를 만날 수 있는 공간을 선보였다. 엘리스그룹 대표 캐릭터 '헬로빗' 대형 조형물이 세워진 엘리스스쿨 공간에서는 학생들이 SW∙AI 교육 콘텐츠를 체험했다. 텍스트코딩, 블록코딩, AI 미션 등 연령대 별로 참여 가능한 코딩 게임이 제공돼 많은 학생들의 이목을 끌었다고 회사측은 전했다. 이와 함께 전시된 엘리스스쿨 AI코스웨어는 학생에게는 학습 역량에 맞는 초개인화된 맞춤형 학습 경험을, 교사에게는 학습 데이터 분석과 AI 대시보드 기능을 통한 맞춤형 피드백을 가능케 한다. 또한 8년간 학습된 프로그래밍 질문 데이터를 바탕으로 개발된 'AI헬피'로 각 학생의 학
교육안내로봇 포미 활용해 울산특성화고서 시범수업 마로솔은 코딩 교육에 로봇을 활용하는 로봇 코딩 교육 과정을 완성해 지난 11일 울산광역시 울산특성화고등학교에서 코딩 교육에 관심이 있는 학생을 상대로 시범교육을 실시했다. 울산특성화고 교사를 상대로 한 시범교육도 7월 중 실시할 계획이다. 2023년부터 초·중학교에서 코딩 교육이 의무화됨에 따라 일선 학교에서도 코딩 교육 방법에 대한 고민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마로솔의 로봇 코딩 교육은 안내·교육로봇 포미(FOME)를 이용해 학생들의 코딩을 로봇에 입력하면 실제 작동을 하는지를 테스트하는 커리큘럼으로 구성됐다. 여기에는 로봇 앱 개발, 코딩 교육부터 자율주행 실습까지 경험할 수 있는 과정으로 구성됐다. 학생들은 파이썬, 다트 등 등의 언어에 대한 개념과 활용 방법을 익히고, 작성한 코드가 실제로 작동하는지를 로봇의 행동을 통해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초등학교 교육 과정에서는 블록코딩을 이용해 저학년 학생들도 손쉽게 로봇 코딩을 배울 수 있고 중고등학교 교육 커리큘럼에서는 실제로 현업에 적용할 수 있는 수준의 로봇 앱 개발과 코딩 교육, 자율주행 관련 학습을 할 수 있다. 시범교육 이후에는 교사들이 직접 1주~
AI 코디니 모듈화해 고객사가 사용하도록 지원 KT가 5일 AI 코디니의 기능 중 고객사가 원하는 기능만 선택해서 AI 코디니를 변경해 사용할 수 있는 코딩 스페이스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KT AI 코디니는 AI 시대에 맞춰 블록코딩부터 AI 모델링 기능까지 탑재한 AI 코딩 교육 플랫폼이다. AI 코디니는 대한민국 학교에 보급되는 크롬북, 안드로이드 태블릿에서도 교구 연동을 지원하며 학교 코딩 교육 수업의 품질을 높이는 다양한 체크리스트 기능도 포함돼 있다. KT는 AI 코디니를 사용하는 고객사가 그들만의 블록코딩 서비스를 제공하고 싶어하는 니즈를 기반으로 코딩 스페이스 기능을 출시했다. 즉, KT는 AI 코디니를 모듈화해 고객사들이 사용하도록 지원했다. 코딩 스페이스에서 변경 가능한 기능은 블록코딩 영역의 여섯 가지 기능이다. 타이틀, 에뮬레이터, 블록 카테고리, 블록 코딩, 블록 디자인, 전용 도메인 등의 기능은 고객이 필요에 따라 맞춤 제작해서 활용한다. 이와 별개로 고객은 AI 코디니의 AI 기능, 멀티 OS 지원 기능 등 주요 기능을 기존처럼 사용한다. 아울러 KT는 고객사에 코딩 스페이스 전용 진입 페이지도 제공한다. 코딩 스페이스는 출시 시점부
[헬로티] SW중심대학협의회는 'SW중심대학 공동해커톤' 행사를 성황리에 마쳤다고 9일 밝혔다. ▲출처 : SW중심대학 이번 해커톤 대회는 SW중심대학(39개교) 학생들에게 오픈소스 프로젝트 기획, 개발, 구현, 협업 등의 프로젝트 경험을 통해 SW역량 증진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개최된 행사다. 특히 이번 대회는 코로나19 확산 방지와 사회적 거리두기 준수를 위해 참가 신청부터 프로젝트 기획 및 개발, 심사평가까지 전 과정이 온라인으로 진행됐다. ‘디지털 뉴딜을 위한 소프트웨어의 도전’을 주제로 진행된 이번 해커톤에는 SW중심대학 SW전공·융합연계전공자 및 디자이너 멘토 및 운영진 등 총 250명 내외, 총 38개팀이 참여했다. 개발자 및 디자이너들이 팀을 구성하여 앱, 서비스, 라이브러리 등을 구현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으며 멘토링과 특강, 질의응답을 통해 프로젝트 참여자들의 역량증진 기회도 제공했다. 이번 대회에서는 SW중심대학 교수, 산업체 전문가, 학생 참가자의 온라인 투표를 통해 대상(1팀), 최우수상(2팀), 우수상(3팀), 특별상(2팀), 후원기업상(2팀) 총 8개팀(2개팀 중복수상)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과
[헬로티] 로보로보는 코딩스토리의 새로운 시리즈 '로이(RO-E)'를 출시한다고 28일 밝혔다. 로보로보는 교육용 로봇을 제조, 판매와 교육까지 전문으로 하는 로봇교육 종합기업이다. ▲코딩스토리의 새로운 시리즈 '로이(RO-E)' 로이(RO-E)는 기존 로봇의 블록코딩과 카드코딩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몰입하도록 로봇캐릭터들이 미션형 스토리로 구성된 제품이다. 로이는 학생 혼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비대면 교육에 맞춰서 교재와 교구를 구성했다. 네이버 스토어 및 로보로보 홈페이지에서 판매될 예정이다. 로이 개발자인 박정상 팀장은 "로이를 통해 코딩실력 향상과 더불어 이야기를 통한 몰입의 즐거움을 느끼는데 주력한 제품이다. 로이를 통해 AI교육 도구로의 활용을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첨단 헬로티] 코딩 교육 기업 마르시스는 미국에서 진행되는 가장 큰 규모의 교육 기술 어워드인 'Edtech Digest Award'에서 국내 독점 공급하는 '코딩 로봇 큐(Cue)'가 'Cool Tool 2019 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올해로 9년째를 맞은 Edtech Digest Award는 매년 미국에서 선정되는 가장 규모가 크고 경쟁력 있는 교육 기술 분야의 상이다. ▲코딩 로봇 큐와 큐 앱을 이용해 코딩을 하고 있는 아이들 2011년부터 창의성과 혁신이 돋보이는 교육 프로그램과 제품 및 서비스, 교육 기술 분야의 트렌드를 이끌어가는 회사 및 인물 등에 상을 수여하고 있다. 교육 프로그램 및 제품(Cool Tool Awards), 리더(Leadership Awards), 혁신 트렌드 세터(Trendsetter Awards) 총 3가지 부문에 대해 수상이 이뤄진다. 2019 교육 프로그램 및 제품 부문(Cool Tool Awards) 상을 수상한 코딩 로봇 큐는 블록 코딩은 물론 텍스트 코딩까지 가능해 아동과 성인이 모두 활용할 수 있는 로봇이다. 특히 4개의 아바타와 이모티콘으로 친구와 채팅하듯 이야기하고 다양한 명령을 코딩할 수 있는 것이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