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티넷 코리아가 최신 G 시리즈 차세대 방화벽(NGFW) ▲포티게이트 70G(FortiGate 70G), ▲포티게이트 50G(FortiGate 50G), ▲포티게이트 30G(FortiGate 30G) 3종을 선보였다. 이번 솔루션은 분산된 기업 환경에서 보안과 네트워크 성능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도록 지원한다. 포티게이트 G 시리즈는 포티넷 ASIC 기술과 통합 운영체제인 FortiOS를 기반으로 네트워킹 지원 및 포티가드 AI 기반 보안 서비스와 결합해 사이버 공격 위험을 줄이고, 고객이 운영 비용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한다. 포티게이트 G 시리즈는 성능 저하 없는 보호 기능을 제공한다. 포티게이트 70G는 IPsec VPN 처리량 Gbps당 62배, 방화벽 처리량 Gbps당 42배 적은 전력을 소비하면서도, 업계 평균 대비 최대 11배 많은 IPsec VPN 및 7배 많은 방화벽 처리량을 제공한다. 더불어 포티가드 AI 기반 보안 서비스는 실시간 자동 위협 탐지 및 대응으로 지능형 랜섬웨어, 멀웨어, 제로데이 익스플로잇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포티넷 생성형 AI 어시스턴트인 FortiAI는 작업을 자동화하고 실행 가능한 인사이트를 제공함으로써 위협 탐
팔로알토 네트웍스 ‘랜섬웨어 공격 분석 보고서’ 공개 팔로알토 네트웍스는 위협 연구 기관 유닛42의 조사를 바탕으로, 2023년 랜섬웨어 유출 사이트에 등록된 기업이 총 3998개로 전년 대비 49% 증가하며 전세계가 랜섬웨어 대응에 상당한 도전과제를 경험했다고 3일 밝혔다. 팔로알토 네트웍스는 랜섬웨어의 급증이 MOVEit 및 GoAnywhere MFT 서비스의 SQL 인젝션 결함을 비롯해 널리 알려진 취약점들을 악용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러한 취약점을 노린 제로데이 익스플로잇으로 인해 조직에서 취약한 소프트웨어를 패치하기 전에 CL0P, LockBit, ALPHV(BlackCat) 등의 악성 그룹에 의한 랜섬웨어 감염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팀이 검토한 전체 유출 사이트 게시물 중 928개 조직에서 데이터를 게시하고 전체 게시물의 23%를 차지하며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는 랜섬웨어는 여전히 록빗(LockBit)인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별 분석에 따르면 최소 120개 국가의 조직이 랜섬웨어의 영향을 받았다. 가장 높은 비중은 미국으로, 미국에 기반을 둔 조직이 2023년 유출 사이트의 절반(47.6%)을 차지했으며 영국(6.
팔로알토 네트웍스는 AI 기반 제로트러스트 관리 및 운영 솔루션 '스트라타 클라우드 매니저'를 출시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신제품과 함께 4400개 이상의 머신러닝 모델을 갖춘 팔로알토 네트웍스는 AI와 제로 트러스트의 결합이 최신 보안 요구 사항을 가장 잘 보호할 수 있음을 입증하는 유리한 입지에 서게 됐다. 이와 더불어 현대적인 환경의 사용 사례에 맞춰 고급 보안 기능을 더한 차세대 방화벽 신제품 5종을 출시했다. 예측 및 실행이 가능한 인사이트가 불충분하고 보안 도구들이 서로 원활하게 통합되지 않으면 보안 공백이 발생하는 것은 물론 일관성 없는 정책으로 인해 보호 및 운영 환경이 저하될 수 있다. 스트라타 클라우드 매니저는 네트워크 보안 관리 및 운영을 혁신하여 보안 태세를 강화하고 모든 적용 지점에서의 네트워크 중단을 사전에 방지한다. 팔로알토 네트웍스는 이와 함께 데이터 센터 및 대규모 캠퍼스 보안을 위한 PA-5445와 PoE(Power over Ethernet) 기능이 요구되는 지사 보안을 위한 PA-455도 함께 출시했다. 아난드 오스왈 팔로알토 네트웍스 네트워크 보안 수석 부사장은 "스트라타 클라우드 매니저는 고객의 전체 네트워크 보안 자
HPE는 테크 및 비즈니스 리더들이 2024년 주목해야 할 네트워킹 트렌드 전망을 18일 발표했다. 데이비드 휴즈 HPE 아루바 네트워킹 최고 제품 및 기술 책임자는 올해 다가올 네트워킹 산업에 대한 인사이트를 다음과 같이 공유했다. 독립형 방화벽의 종말 하이브리드 IT 환경의 증가와 IoT 기기 사용이 광범위하게 늘어나면서 네트워크의 경계가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무너졌고, 독립형 방화벽도 함께 사라지고 있다. 더 이상 방화벽만으로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내부를 안전하게 보호하기는 어렵다. 보안을 위해 기업 내부에 더 많은 방화벽을 배포하는 것은 오히려 복잡성을 키우고, 에러발생의 가능성을 비즈니스의 속도를 늦추는 결과를 낳게 된다. 결과적으로 차세대 방화벽 어플라이언스는 결국 방화벽 어플라이언스의 마지막 세대가 되고 있다. 보안 서비스 엣지(Secure service edge, SSE)가 클라우드로 제공되는 보안 웹 게이트웨이, 클라우드 접근 보안 중개 서비스, 제로 트러스트 네트워크 액세스 등으로 방화벽과 프록시를 대체하고 있다. SSE는 사용자가 어디서든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보안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을 제공하고 있다. 동시
클라우드플레어가 2023년 4분기 DDoS 위협 보고서를 18일 발표했다. 클라우드플레어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초반에는 암호화폐 분야가 가장 많은 HTTP DDoS 공격을 받았으나 이후 환경 서비스 업계를 겨냥한 공격이 전례 없이 급증했다. 이러한 공격은 전체 HTTP 트래픽의 절반을 차지했다. 보고서를 살펴보면, 네트워크 계층 DDoS 공격이 전년 동기 대비 117% 증가했으며 블랙 프라이데이와 연말연시를 전후해 소매, 배송, 홍보 웹 사이트를 겨냥한 DDoS 활동이 전반적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4분기 대만 총선이 다가오고 중국과의 긴장이 고조된 가운데 대만을 겨냥한 DDoS 공격 트래픽이 전년 대비 3370% 증가했다.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군사적 갈등이 지속됨에 따라 이스라엘 웹사이트를 겨냥한 DDoS 공격 트래픽의 비율은 전 분기 대비 27% 늘었다. 팔레스타인 웹사이트를 겨냥한 DDoS 공격 트래픽의 비율은 전 분기 대비 1126% 증가했다. 특히 제28차 유엔 기후변화회의가 열린 시기와 맞물려 환경 서비스 웹사이트를 겨냥한 DDoS 공격 트래픽이 전년 대비 무려 61839%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네트워크 계층 DDoS 공격의 증가도
포티넷 코리아는 FortiOS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근무자들을 보다 원활히 지원하기 위해 유니버셜 SASE(Universal SASE) 솔루션을 확장했다고 6일 밝혔다. 포티넷의 설립자 겸 CEO인 켄 지는 "FortiOS는 포티넷 어플라이언스 또는 포티넷 클라우드 환경 어디에서나 방화벽, SD-WAN, 보안 웹 게이트웨이, 암호화/복호화, CASB, DLP, ZTNA 등 모든 SASE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업계 유일의 엔터프라이즈급 통합 운영체제이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이 접근방식은 단일 콘솔을 통해 30개 이상의 통합 네트워킹 및 보안 기능을 관리할 수 있다"며 "이 중14개 기능은 새로운 FortiASIC SP5(보안 프로세서 5) 기반 포티게이트 120G SASE 어플라이언스에서 더욱 가속화된 성능을 발휘한다"고 설명했다. 단일-벤더 SASE는 사용자 및 디바이스의 중요 리소스 및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유연한 액세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업들은 여러 벤더의 SASE 기능을 사용하면서 다양한 운영체제 기능 및 관리 콘솔을 제어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포티넷의 유니버셜 SASE는 기존의 단일-벤더 SASE를 한 단계 더 발전시켜 온
씨디네트웍스가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이 선정한 웹 애플리케이션 방화벽(WAF) 업계 ‘2023 아시아 태평양 고객 가치 리더십’ 어워즈를 수상했다고 밝혔다.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은 매년 서비스나 제품에 대한 고객의 투자 수익을 높이는데 중점을 두고, 고객을 위한 가치를 적극적으로 창출하는 전략을 구현하는 데 탁월한 능력을 입증한 기업에 이 상을 수여한다. 기업이 단순히 좋은 고객 서비스를 넘어 고객이 받는 가치를 증대해 고객 유지율을 높이고 고객 기반을 확대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는 점을 증명한다. 씨디네트웍스는 통합 애플리케이션 보안 솔루션, 유연하고 경쟁력 있는 가격, 현지 고객 지원 및 강력한 전반적인 성능 등을 인정받았다. 씨디네트웍스는 백엔드 인프라와 서비스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현지 PoP를 꾸준히 확장함으로써 중화권, 아세안, 일본 및 한국 등 많은 글로벌 고객의 서비스 제공 및 지원을 위해 힘쓰고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보안 솔루션은 WAF, 분산 서비스 거부 보호 및 봇 관리와 통합돼 고객이 광범위한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원스톱 웹 애플리케이션 및 API 보호 솔루션을 제공한다. 또 웹 위협에 노출되기 쉬운 기업
포티넷 코리아는 '포레스터 웨이브 : 2023년 3분기 제로 트러스트 엣지 솔루션 보고서'에서 리더 기업에 선정됐다고 4일 밝혔다. 32개 항목으로 구성된 이 보고서는 가장 중요한 벤더를 선정하고 그 벤더들의 제로 트러스트 엣지(ZTE) 솔루션을 평가했으며, 포티넷은 전략 부문 최고 점수를 받아 리더로 선정됐다. SASE(secure access service edge)라고도 하는 ZTE 아키텍처는 제로 트러스트 네트워크 액세스(ZTNA), 보안 웹 게이트웨이, 클라우드 보안 게이트웨이의 조합을 통해 보안 기능을 융합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포티넷 FortiSASE 플랫폼은 보안 웹 게이트웨이, 유니버설 ZTNA, 차세대 듀얼 모드 CASB, 서비스형 방화벽, 시큐어 SD-WAN 네트워킹을 포함해 클라우드 기반 보안을 하나로 통합한다. FortiSASE는 단일 운영체제인 FortiOS, 포티가드 AI 기반 침입 방지 보안 서비스, 통합 FortiClient 에이전트를 기반으로 효율성을 높이고 모든 곳에서 일관된 보안을 제공한다. 이는 네트워킹과 보안을 통합하는데 필요한 모든 구성요소를 제공함으로써 제로 트러스트를 구현하고, 하이브리드 인력을 보호하면서 조직의
FORTINET ACCELERATE 2023 KOREA 내 기자간담회 개최 보안 트렌드 분석·보안 분야 솔루션 제시 코로나19 팬데믹은 기업 보안 측면에서 커다란 변혁의 계기를 만들었다. 그 중심에는 시간·공간에 제약을 두지 않는 근무 형태인 하이브리드 워크가 있다. 하이브리드 워크는 비즈니스 미래로 평가받고 있어, 기업은 하나 둘 해당 정책을 도입하고 있다. 포티넷이 이달 23일 FORTINET ACCELERATE 2023 KOREA를 통해 보안 운영 측면에서 보안 트렌드를 분석하고, 해당 배경에서의 솔루션을 제시했다. 포티넷과 IDC가 아태지역 9개 국가 사이버 보안 리더를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국내 응답자 74%가 하이브리드 및 완전 원격 근무 정책을 도입하고 있다고 답했다. 또 응답자 44%는 절반 이상의 직원이 하이브리드 워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에 포티넷은 해당 트렌드가 보안 침해 위험성과 복잡성을 증대시켜 보안 강화 방안이 강구돼야 하며, 이는 각 기업 IT 보안팀에 업무 부담을 가중시킬 것이라 우려했다. 기업 보안 측면에서 업무 시 미관리 상태의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 상황을 꼬집은 것으로 보인다. 미관리 디바이스는
복합 기능 솔루션, 자동화 보안 관제 플랫폼, 시큐리티 서비스 세 축으로 시장 공략 포티넷 코리아는 1일인 오늘 2023년 시장 전략을 발표하며 국내 네트워크 보안 시장 공략을 강화할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포티넷은 지난해 업그레이드된 운영체제 ‘FortiOS 7.2’를 비롯해 콤팩트형 하이퍼스케일 방화벽 ‘포티게이트 4800F’ 시리즈와 NP7 및 CP9 SPU(Security Processing Units) 기반의 'NGFW(차세대 방화벽) 포티게이트 3000F' 시리즈를 발표했다. 이와 함께 셀프 러닝 AI 기능을 적용한 NDR 솔루션 ’FortiNDR’, 디지털 리스크 보호 서비스(DRPS) ‘FortiRecon’, AWS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보호 솔루션 ‘FortiCNP’, 하이브리드 업무 환경에서 안전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포티넷 유니버설 ZTNA’ 등의 보안 솔루션을 발표하며 강력한 포트폴리오를 구축한 바 있다. 지난해 포티넷은 13년 연속 네트워크 방화벽 부문 ‘가트너 매직 쿼드런트’ 리더 기업 및 3년 연속 엔터프라이즈 유·무선 LAN 인프라 부문 가트너 매직 쿼드런트 비저너리 기업으로 선정됐고, IDC 조사에서 ‘보안 어플라이언스
"낮은 소비 전력, 향상된 냉각, 적합한 설치 요구 크기로 지속가능성 목표 위해 지원" 포티넷코리아는 최신 고성능 NGFW(차세대 방화벽)인 포티게이트 1000F 시리즈를 9일 발표했다. 포티게이트 1000F는 경쟁 제품 대비 7배 높은 방화벽 처리 속도와 83% 낮은 소비 전력을 구현하는 제품으로 기업들이 지속가능성 목표를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포티넷의 특수목적형 하드웨어 가속칩 SPU가 탑재된 포티게이트 1000F는 경쟁 제품 대비 평균 7.4배 빠른 방화벽 처리 속도를 구현했다. 또한, 업계 평균보다 약 7배 높은 IPsec VPN 처리 성능과 7배 높은 SSL 암호화 트래픽 검사 처리량을 통해 네트워크 사각지대를 제거하고, 병목현상 없이 일반 텍스트 및 암호화된 네트워크 흐름에 대한 완벽한 가시성을 제공한다. 이는 미션 크리티컬한 데이터를 보호하고 네트워크에 보안 위협이 침투하기 전에 신속하게 식별, 차단이 가능해 고성능 데이터센터 보안 아키텍처에 매우 중요한 요소다. 이와 함께 AI/ML 기반 보안 서비스를 적용해 업계 평균보다 2배 높은 통합 위협 보호 성능을 제공하고 IPS, 애플리케이션 제어, 멀웨어 보호와 같은 중요 보안 서비스를 다른
시장 제품 대비 최대 34배 높은 성능의 보안 컴퓨팅 등급 구현 포티넷코리아(이하 포티넷)는 23일인 오늘 하이퍼스케일급 고객 및 5G 이동통신사업자(MNO)의 대용량 트래픽 처리 요구사항을 충족하도록 탁월한 성능, 확장성, 보안 기능을 탑재한 하이퍼스케일 방화벽 ‘포티게이트 4800F’ 시리즈를 발표했다. 포티넷 7세대 네트워크 프로세서(NP7)를 16개 장착한 제품으로 평균 19배 많은 CPS 처리능력을 지원하는 등 경쟁사 대비 최대 34배 높은 성능의 보안 컴퓨팅 등급을 구현하며, 컴팩트형 방화벽 제품군 중 가장 높은 수치의 성능을 제공한다. 특히, 이 제품은 컴팩트형 방화벽으로 높은 공간차지 효율성과 동시에 뛰어난 보안 성능을 요구하는 대기업과 이동통신사업자에게 최적의 기능을 제공해 주요 산업 및 인프라 기업 고객이 새로운 유즈 케이스를 원활히 구축하도록 지원한다. 또한, 빠른 사업 진출이 필요한 e-리테일, 최첨단 연구 시설, 금융 기관, 클라우드 제공업체와 같은 엔터프라이즈 고객들의 증가하는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도록 높은 성능과 확장성, 보안을 제공하며, 컴팩트한 폼 팩터에서 공간, 냉각, 전력에 대한 비용 절감을 실현한다. 포티게이트
헬로티 조상록 기자 | 안랩이 하드웨어 성능을 한층 강화한 신규 하이엔드급 차세대 방화벽 모델 ‘AhnLab TrusGuard (이하 트러스가드) 20000B’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선보인 ‘트러스가드 20000B’는 안랩의 기존 하이엔드급 차세대 방화벽 ‘트러스가드 10000B’에서 하드웨어 성능을 업그레이드했다. ‘트러스가드 20000B’는 직전 모델 대비 △방화벽 트래픽 처리 성능 20% 증가 △최대 처리 세션 수 1.5배 향상 등 주요 성능을 강화해 엔터프라이즈급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고성능 차세대 방화벽 기능을 제공한다. 안랩은 이번 출시로 SMB 등 소규모 네트워크 환경부터 데이터센터·통신사·대형 금융사 등 대규모 네트워크 환경까지 지원하는 차세대 방화벽 포트폴리오를 더욱 확대하게 됐다. 이상국 안랩 마케팅본부장은 “최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비대면 업무환경 등이 본격화되며 대형 고객사를 중심으로 고성능 차세대 방화벽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며 “이번 트러스가드 20000B 출시로 고객의 선택 범위를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헬로티] 팔로알토 네트웍스 코리아가 비전테크와 공공총판 계약을 체결하고, 공공 조달 시장 공략 강화에 나선다고 밝혔다. ▲출처 : 팔로알토 네트웍스 정부기관 및 공공기관은 조달청 나라장터를 통해 팔로알토 네트웍스의 차세대 방화벽 솔루션을 손쉽게 도입할 수 있게 됐다. 팔로알토 네트웍스는 시장조사평가기관인 가트너 매직쿼드런트(Magic Quadrant) 보고서에 9년 연속 네트워크 방화벽 부문에서 선도 기업으로 평가되어 왔으며, 특히 세계 최초로 방화벽 핵심부에 머신러닝을 탑재해 네트워크 보안의 표준을 재정의하는 등 전 세계 방화벽 시장을 이끌어 오고 있다고 밝혔다. 조달청 나라장터 종합쇼핑몰에 ‘방화벽장치’ 다수공급계약물품으로 신규 등록된 팔로알토 네트웍스의 PA-3220과 PA-850 방화벽은 어플리케이션 레이어까지 상시로 들여다본다. 송수신되는 전체 트래픽을 제어하고, 정부 기관 및 공공기관에서 사용 중인 인증 솔루션과의 연동을 통해 디바이스 위치와 상관없이 사용자 또는 조직별로 보안정책을 부여한다. 원격근무 또는 무선네트워크 업무 환경에서 사이버 침해 및 위협을 차단하는 차세대 방화벽이다. 비전테크는 전국 161여 개의 보안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