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연결 매출, 상장 이후 역대 최대 분기 실적 달성해 KT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2023년도 3분기 매출이 연결 기준 전년 대비 3.4% 증가한 6조6974억 원, 별도 기준 1.8% 증가한 4조6730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3분기 연결 매출은 상장 이후 역대 최대 분기 실적을 달성했다. 영업이익은 ‘임금 및 단체협상’ 3분기 조기 타결과 콘텐츠 소싱 비용 평활화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해 연결 기준 3219억 원, 별도 기준 1935억 원으로 집계됐다. 다만, 임금 협상과 콘텐츠 소싱 비용이 작년에는 4분기에 반영됐던 것을 감안하면 연결 및 별도 영업이익 모두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갔다. 무선 사업은 5G 가입자가 전체 핸드셋 가입자 중 70%인 951만 명을 돌파하고, 국내외 여행객 증가에 따른 로밍사업 매출 확대, 알뜰폰 사업의 견조한 성장세로 전년 동기 대비 1.6% 성장했다. 유선 사업은 프리미엄 요금제 가입자가 확대되며 전년 동기 대비 1.8% 성장했다. 이 중 인터넷 사업은 고품질 서비스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 증가로 가입자 중 기가인터넷 비중이 68%로 확대되며 매출이 전년 대비 3.2% 증가했다. 미디어 사업은 OTT∙VOD 결
두 자릿수 가입자 성장률, 해지율 개선 등 고객 경험 혁신 활동 성과가 실적 견인 LG유플러스는 무선 사업의 질적 성장에 힘입어 2023년 1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영업수익(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9% 증가한 3조 5,413억원을 달성했다고 11일 밝혔다. 영업수익에서 단말수익을 제외한 서비스수익도 2조 8,24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8% 늘어났다. 업계 최초 5G 온라인 전용 요금제 출시, 알뜰폰을 포함한 가족 결합 상품 구축, 멤버십 제휴·경쟁력 확대 등 고객 경험 혁신 활동이 두 자릿수 무선 가입자 증가율과 해지율 개선 등 무선 사업 부문의 질적 성장으로 이어지며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 영업이익은 정보유출 및 디도스 장애에 따른 소비자 피해 보상과 정보 보호 강화를 위한 일회성 비용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0.4% 감소한 2,602억원을 기록했다. 올해 1분기 마케팅 비용은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9.2% 줄어든 5,343억원으로 안정화 기조를 이어갔다. 같은 기간 CAPEX는 5G 유무선 네트워크 투자에 집중하며 전년 동기 대비 43.6% 증가한 5,192억원을 집행했다. LG유플러스는 올해 5G 인빌딩 인프라 구축 및 오픈랜
[첨단 헬로티] 연결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각각 2.2%, 1.3% 증가 KT(회장 황창규)는 1분기 연결기준 매출 5조8344억원, 영업이익 402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매출은 2.2%, 영업이익은 1.3% 증가했다. 무선사업 매출이 소폭 감소했으나 미디어·콘텐츠 사업에서 두 자리수 성장률을 이어가고 초고속인터넷 사업이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며 매출을 견인했다. 무선사업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0.5% 감소한 1조7325억원이었다. 하지만 무선서비스 매출은 선택약정할인액 증가에도 우량 가입자 확대로 전년동기 대비 0.2% 성장한 1조6266억원을 기록했다. MNO 순증은 16만9000명으로 전년동기 대비 4.7% 증가했고 휴대전화 가입자는 5만6000명 증가했다. 유선사업 매출은 유선전화 사용량 감소로 전년동기 대비 2.7% 감소한 1조1670억원이었다. 초고속인터넷 가입자가 878만명을 기록했고 이 중 기가 인터넷 가입자가 500만명을 돌파하며 전체 인터넷 가입자의 58% 수준으로 성장했다. 우량 가입자 증가로 초고속인터넷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1.3% 성장한 4795억원을 달성했다. 미디어&midd
▲ KT 2016년 3분기 매출실적 [자료=KT] [헬로티] KT는 2016년 3분기 영업실적 발표에서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7% 증가한 5조 5299억 원,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한 4016억 원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특히, 유선전화 가입자 감소와 실적 하락에도 불구하고 무선 가입자 확대 및 미디어사업의 확장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4000억 원을 돌파한 것은 특기할 만한 부분이다. 또한, 지난 2분기에 이어 2개 분기 연속으로 영업이익 4000억 원을 돌파한 것은 2011년 이후 5년만에 처음이다. 사업부문별로 살펴보면, 무선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한 1조 8841억 원을 기록했으나 무선기타 매출은 가입비 페지의 여파로 전년보다 7.8% 감소했다. 유선사업 매출은 계속되는 유선전화 이용 감소로 인해 전년 동기 대비 2.3% 감소한 1조 2550억 원을 기록했다. 특히, 유선전화 매출은 5051억 원으로 전년 대비 11.5%가 감소했다. 반면 KT의 초고속인터넷 기가인터넷은 24.1%의 비중을 차지한 데 힘입어 지난해보다 11.4% 증가한 4844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미디어·콘텐츠 부문 매출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