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시점 인공지능(AI)·로보틱스가 연결된 혁신은 연구실의 실험이나 스타트업의 아이디어 차원에 머물지 않는다. 물리적 세계에서 작동하는 지능형 시스템은 산업 경쟁력의 생존 조건이 되고 있다. 서울 삼성동 전시장 코엑스에서 열린 ‘오픈 로보틱스 AI 포럼 코리아(Open Robotics AI Forum Korea)’ 좌담회 무대는 이를 집약적으로 보여줬다. 여기서는 금융시장, 벤처캐피털(VC), 블록체인, 로봇 기업 등 서로 다른 언어를 쓰는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이들은 로봇 혁신을 현실에 안착시키기 위한 자본·데이터·안전·오픈소스 네 축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자본시장의 눈으로 본 로보틱스...“투자 가능한 자산군” 브렌던 아헌(Brendan Ahern) 크레인셰어즈(KraneShares) 최고투자책임자(CIO)는 로보틱스를 상장지수펀드(ETF)와 지수화 전략으로 금융시장에서 인정받아야 할 “새로운 자산군(New asset class)”이라고 규정했다. 그는 “투자자에게는 투명한 지표가 절대적이다(Transparency of metrics is paramount to investors)”이라며, 하드웨어 설비 투자비(CAPEX), 구독형 소프트웨어, 서
[첨단 헬로티] 부산, 경남지역이 영하 10도 이하로 떨어지는 등 기록적인 한파를 기록한 가운데 한국남부발전(주)(사장직무대행 이종식, 이하 ‘남부발전’)이 한파대비 전사 경영간부회의를 개최, 안정적 전력공급에 만전을 기할 것을 당부했다. 전사 경영간부가 모두 참여한 가운데 본사 비전룸에 마련된 ‘KOSPO-비상경영대책회의’에서는 한파 대비 동계수급관리, 동절기 현장 작업시 안전관리에 대한 계획 발표에 이어 사업소별로 전력공급 안정을 위한 점검이 이뤄졌다. 남부발전은 동계기간 전력수급 안정을 위하여 비상상황실을 2월말까지 운영하고, 한파 대비 사전점검을 시행하여 동파 취약개소에 대한 일체 점검을 추진한다. 또한 예측진단시스템을 활용하여 설비 이상을 조기에 발견하는 등 피크기간 전호기 무고장을 위해 고장예방활동을 강화한다. 이종식 사장직무대행은 “최근 연일 전국이 영하의 한파가 계속되고 전력 최대수요를 경신(1월11일 8,561만kW) 하는 등 어느 때보다 전력공급 안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한 후, “동파 대비 취약개소와 폭설관련 방재설비를 점검하고 동절기 현장 작업시 안전관리를 철저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