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콤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각종 스위치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지콤이 전시한 스위치 제품에는 푸시버튼, 시그널 램프, 셀렉터 스위치, 비상 정지 버튼 등의 휴먼 인터페이스 컴포넌트가 포함됐다. 지콤은 그밖에도 전자, 전기부분에서부터 중공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목적에 적합한 특수 윤활유와 PCB 테스트에 사용되는 ICT/FCT 프로브와 고전류 프로브, 와이어 하네스 테스트에 필요한 스위치 프로브와 스텝 프로브, RF 테스트에 필요한 RF 프로브 등도 선보였다. 지콤은 독일 Feinmetall사의 프로브를 15년 이상 한국에서 독점 공급해왔다. 또한 자동화 관련 제품인 독일 Rafi 스위치, 장비, 로봇 윤활 솔루션 노르웨이 Biral, 온ㆍ습도, 압력 계측 장비, 모션 센서 등의 독일 GHM과 B+B 제품도 제공한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
헬로티 조상록 기자 | 독일 RAFI의 스위치, 푸쉬버튼, 컨트롤 컴포넌트, 시그널 램프 등을 선보였다. 지콤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스위치, 프로브, 푸쉬버튼, 컨트롤 컴포넌트, 시그널 램프 등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지콤은 전자 및 자동화 전문기업으로, 독일 Feinmetall사의 프로브를 독점 공급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자동화 관련 제품인 독일 RAFI 스위치, 장비, 로봇 윤활 솔루션 노르웨이 Biral, 온·습도, 압력 계측 장비, 모션 센서 등을 국내 공급하고 있다. 독일 RAFI의 스위치 및 푸쉬버튼은 기계공학, 신호구성, 측정, 제어 기술 분야에서 사용하기에 이상적이며 환경적 영향에도 강하다. 이번에 선보인 Feinmetall사의 프로브는 PCB 테스트에 사용되는 ICT/FCT 프로브와 고전류 프로브, 와이어 하네스 테스트에 필요한 스위치 프로브와 스텝 프로브, RF 테스트에 필요한 RF 프로브 등이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
[첨단 헬로티] 키엔스코리아가 치수 측정 및 검사를 더욱 빠르고, 정확하고,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이미지 치수 측정 시스템 'IM시리즈' 신제품을 출시했다. 기존 치수 측정은 측정 및 결과 저장에 시간이 걸리고, 사용자에 따라 측정 결과가 달라지고, 조작 가능한 사람이 한정돼 있는 등의 과제를 안고 있었다. 키엔스코리아에 따르면, IM-7000은 ▲놓고 누르기만 하면 치수 측정 ▲최대 99포인트를 한번에 측정 ▲최대 100개까지 한번에 측정 ▲통계값을 자동 집계함으로써 공정 능려 관리 편리성 ▲측정 포인트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가변 조명 유닛 장착 ▲누구나 동일한 측정 결과 등의 특장점을 갖고 있다. 특히, IM-7000을 통해 폭넓은 측정 대상물체에 대응이 가능해졌다. 측정 에어리어가 200x200mm로 널어져 대형 대상물체도 측정이 가능하고, 기존에는 이미지 측정기로는 측정하기 어려웠던 높이와 두께가 있는 대상물체도 측정가능해졌다는 것이 키엔스의 설명이다. 이와함께 IM-7000은 이미지 측정 뿐만 아니라 라이트 프로브 탑재로 접촉 측정도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접촉식만으로는 측정되지 않는다', '도면에 지시가 있어서' 등의 이유로 결국 여러 측정기를
고려대 물리학과 박홍규 교수 연구팀이 오직 빛으로만 전기 신호를 제어하고 효율적으로 전류를 증폭할 수 있는 새로운 나노선 트랜지스터를 최초로 개발했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초연구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빛으로 전기적 특정을 제어 트랜지스터는 현대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 부품 중 하나로, 전류나 전압흐름을 조절해 전기 신호의 증폭 작용과 스위치 역할을 한다. 최근 기존 트랜지스터의 동작 효율을 높이기 위해 나노 크기로 제작하거나 빛을 쪼여주는 등의 연구가 진행중이지만, 복잡한 공정과 낮은 수율로 인해 상용화가 어려운 상황이었다. 업계의 이러한 고민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연구팀은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특성에 주목했다. 이 특성을 제어하게 되면 기존의 복잡한 반도체 공정과정을 없앨 수 있어 비용적, 기술적 노력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그리하여 연구팀은 실리콘 나노선에 다공성 실리콘을 부분적으로 삽입했다. 다공성 실리콘은 내부에 수 나노미터(1 나노미터는 10억분의 1미터)의 수많은 작은 구멍을 가지고 있는 실리콘을 칭하는 말이다. 연구팀은 이 다공성 실리콘을 통해 빛만으로 전기 신호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새
[헬로티] 계측기 전문업체인 텍트로닉스가 ONFI(Open NAND Flash Interface) 표준을 위한 테스트 솔루션 TEK-PGY-ONFI을 발표했다. ONFI 4.0 테스트 솔루션은 고성능 오실로스코프에서 사용 가능하며, ONFI 버스에서 DDR2/3 모드를 분석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고, 인터포저 기반의 효과적인 프로브 솔루션과 결합된다. ONFI 표준은 ONFI 작업 그룹이 가전제품 및 컴퓨팅 플랫폼에 NAND 플래시 메모리를 통합하는 과정을 간소화하기 위해 발표한 표준이다. ONFI 4.0 사양은 성능 증대와 전력 효율성 향상을 위해 VccQ = 1.2V로 작동하는 최신 NV-DDR3 인터페이스를 도입했으며, NV-DDR2 및 NV-DDR3 I/O 속도를 667MT/s 및 800MT/s까지 확장하고 ZQ 캘리브레이션 기능을 추가했다. 속도가 높아지고 전압 레벨이 낮아진 만큼 ONFI 버스를 다루는 설계자들은 적합성 테스트 및 타이밍 문제에 대한 해결과 신호에 대한 액세스를 확보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했다. 텍트로닉스 관계자는 “설계 및 테스트 엔지니어는 TEK-PGY-ONFI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ONFI 인터페이스의 ONFI
[헬로티] 텔레다인르크로이는 7일 RP4030 능동 전압 레일 프로브와 시리얼 디코더 MIPI 시스템 Power Management Interface(SPMI) 디코더를 발표했다. RP4030 프로브는 DC 전원/전압 레일에서 작은 신호 변화를 측정하며, SPMI 디코더는 DC 전원/전압 레일 변화와 SPMI 시리얼 버스 메시지와의 연관성을 파악하고 모니터링 기능을 한다. RP4030은 ±30V의 넓은 내장 오프셋 범위와 1.2x의 낮은 감쇠율과 50kΩ의 높은 DC 입력 임피던스 사양을 제공한다. 이러한 사양의 조합으로 오프셋을 가진 DC 전원/전압 레일에서 DC 레일 전압을 포착해 그 파형을 오실로스코프 화면의 중앙에서 DC 신호를 위치시키고, 5mV/div와 같은 오실로스코프의 게인 설정에서 DC 레일 전압 신호위의 노이즈와 낮은 AC 변동을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다. RP4030은 다양한 팁과 리드로 구성되어 있다. 4GHz MCX Solder-in, 3GHz U.FL Coax Cable 또는 4GHz U.FL Coax Cable, U.FL PCB 마운트와, 4GHz MCX 솔더-리드와 연결할 수 있는 표준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