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반도체 기반 클라우드 플랫폼 기술 확보…초거대 AI 모델 최적화 및 실증 본격화 오케스트로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 추진하는 ‘AI반도체를 활용한 K-클라우드 기술개발 R&D 사업’에서 총 220억 원 규모의 연구개발 과제 2건을 수주했다. 이번 수주는 국산 AI반도체 기반 클라우드 기술 상용화와 K-클라우드 생태계 조성을 위한 기반 마련을 목적으로 진행됐다. 오케스트로가 주관기관으로 참여하는 AI반도체 컴퓨팅 자원분해 및 자원풀링 기술 개발 과제는 총사업비 76억 원 규모로, 2025년부터 5년간 수행된다. 해당 과제는 거대언어모델(LLM) 기반 AI 환경에서 모노리식 서버 구조의 물리적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CPU, 메모리, 스토리지 등 서버 자원과 AI반도체를 분리하고 고속 인터커넥터를 통해 통합 제어하는 클러스터 환경을 구현하는 것이 핵심이다. 오케스트로는 자원의 유연한 확장·축소와 효율적인 자원 할당·회수 기능을 갖춘 제어 및 관리 소프트웨어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는 LLM 학습 및 추론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 역량 확보를 목표로 한다. 또한, 오케스트로는 144억 원 규모의 AI반도체 클라우드 플랫폼 구축
성공적인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 구축을 위한 GCP활용 사례 및 솔루션 정보 제공 클라우드메이트가 '고객 세미나, Discovery day'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1일 밝혔다. 구글코리아와 함께 개최한 이번 세미나는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을 활용한 고객 사례와 최신 구글 클라우드 솔루션 정보를 중심으로 진행됐다. 윤주현 클라우드메이트 대표의 인사말을 시작으로 김정환 매니저가 컨테이너와 쿠버네티스의 운영팁을 통해 실질적인 클라우드 네이티브가 어떻게 구축되고 실행되는지 설명했다. 최치영 매니저는 구글 클라우드 워크플로우를 통한 인프라 자동화를 주제로 서비스 및 특징을 소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성공 사례들을 소개했다. 이어 구글 클라우드의 손범수 매니저와 공대익 매니저는 각각 구글 클라우드의 데이터 분석과 AI/ML, 구글 워크스페이스 솔루션 정보를 제공했다. 윤주현 대표는 "고객들이 성공적인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 구축을 위해 필요한 컨테이너, 쿠버네티스 운영팁, 인프라 자동화 성공 사례 등을 한 곳에서 원스톱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회였다"면서 "앞으로도 클라우드메이트가 가진 기술력을 중심으로 고객 맞춤 클라우드 환경을 효율적으로 구축하는데 집중하겠다"고 말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