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 서팩턴트와 바스프 중간체 팀이 지속가능성과 인도 시장에서의 성장에 대해 논의했다. (출처 : 바스프) 바스프(BASF)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처음으로 바이오매스 밸런스 인증(BMBCert) 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DMAPA)을 갤럭시 서팩턴트(Galaxy Surfactants)에 공급했다고 15일 밝혔다. 스페셜티 케어 및 퍼포먼스 원료 분야 기업인 갤럭시 서팩턴트는 이번에 공급받은 바스프의 BMBCert DMAPA를 활용해 퍼스널 케어 원료인 양성 계면활성제 Galaxy CAPB SB를 생산, 기존 제품 대비 이산화탄소(CO₂) 배출 저감을 실현할 계획이다. 이번 협력은 갤럭시 서팩턴트의 ESG 로드맵과 저탄소 솔루션 중심의 비전과 맞닿아 있으며, 친환경 제형 수요가 증가하는 퍼스널 케어와 홈케어 분야에서 지속가능한 원료 및 그린 케미스트리(친환경 화학)를 적극 도입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바스프 아태지역 중간체 사업부문 아민·아세틸렌·카보닐 유도체 비즈니스 매니지먼트 부사장 요아힘 슈미트-라이토프는 “갤럭시 서팩턴트와의 지속가능성 파트너십을 통해 바스프가 이룬 진전을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는 고객에게 지속가능한 중간체 분야에서 선호
헬로티 조상록 기자 | 롯데케미칼의 바이오PET(Bio-PET) 소재가 친환경원료 사용 및 온실가스 저감 등 우수성을 인정받아 국내 PET 생산기업 중 최초로 환경표지 인증(EL727)을 획득했다고 10월 17일 밝혔다. 환경표지는 동일 용도의 다른 제품에 비해 제조·유통·소비·폐기 등 전 과정에서 자원·에너지 소비 절약 및 배출물 감소 등 '환경성' 개선이 인정되는 제품에 부여하는 환경부 공인 인증이다. 소비자를 대상으로 환경친화적인 제품을 비교 및 선택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기업의 친환경 제품 개발을 유도하는 취지로 시행하는 제도다. 환경표지를 인증을 획득한 롯데케미칼 바이오PET는 사탕수수에서 추출한 Bio-MEG(Mono-ethylene glycol)를 원료로 사용하여 석유화학 원료 기반의 기존 PET 대비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28% 절감한 것이 특징이다. 뛰어난 가공성과 열안정성, 투명성 등 기존 PET와 품질은 동일하면서도 100% 재활용∙재사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 제품이다. 2011년 국내 최초로 롯데케미칼이 생산한 바이오PET는 전 세계에서도 태국 Indorama Ventures, 대만 Far Eastern 과 함께 3개 업체만이 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