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술표준원(이하 국표원)은 진종욱 원장 주재로 지난 23일 ‘롯데호텔 서울’에서 첨단산업의 표준개발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민간표준전문가인 ‘국가표준코디네이터’와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국표원은 민간주도의 표준개발 활성화를 위해 2011년부터 국가표준코디네이터 제도를 운영해왔다. 국가표준코디네이터는 산업현장 경험 및 표준화 역량이 높은 민간전문가로서 정부의 표준화 계획수립을 지원하고, 표준개발사업 과제기획, 표준포럼 활동 등을 수행한다. 현재 초격차 경쟁력 확보가 필요한 인공지능, 에너지, 자율차, 저탄소기술, 전기전자시스템, 서비스산업 등 6개 분야에서 국가표준코디네이터가 활동 중이다. 이번 간담회는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이 표준으로 확산되는 분위기에서 국가표준화 전략을 점검하기 위해 마련됐다. 최근 세계 각국은 첨단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표준과 연계한 산업 정책을 발표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기술혁신 및 표준화를 통한 초격차 성장을 목표로 ‘산업대전환 초격차 프로젝트’를 수립했고, 미국도 ‘핵심 신기술 국가표준전략’을 발표하며 첨단산업의 표준 주도권 확보 방안을 마련한 바 있다. 이에 참석자들은 국내외 각 분야의 표준 동향과 함께 국가표준코디네이터가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19일 댄 테한(Dan Tehan) 호주 통상장관과 화상 회담을 가졌다. 양측은 세계 경제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대응하기 위한 글로벌 디지털 통상 규범의 확립 및 협력의 중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특히 아시아·태평양 지역 내 다자간 디지털 통상 규범의 형성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역내 주요국이 본격적으로 논의에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데 긴밀히 공조해 나가기로 했으며, WTO 개혁을 통한 다자주의 회복 등을 위해서도 노력하기로 했다. 또한 양측은 지난 6월 G7 계기 개최된 한-호 정상회담에서 양국 정상이 저탄소기술 관련 협력에 공감대를 형성한 점을 상기하면서, 탄소중립과 그린 이코노미로의 전환을 위해 수소, 이차전지(ESS), 탄소포집(CCUS), 저탄소 제철 등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해나가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