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회 국제 운송·공급망관리 산업전(Supply Chain Management Fair 2025, SCM FAIR 2025)’이 지난 9월 10일부터 경기 고양 소재 전시장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사흘간 열렸다. ‘공급망을 재설계하다(Rebuild the Supply Chain)’를 슬로건으로 열린 올해 박람회는 공급망관리(SCM)를 축으로, 제조·운송·유통·물류의 최신 기술과 트렌드를 한데 묶은 콘셉트로 기획됐다. 올해는 총 400여 개 부스가 마련됐고, 동시 개최 행사까지 합쳐 약 3만 명의 참관객이 현장을 찾았다. 이 가운데 ‘제1회 대한민국 산업단지 수출박람회(KICEF 2025)’, ‘제2회 특화망 기술 산업전(PNT FAIR 2025)’, ‘제4회 이차전지 소재·부품 및 장비전(K-Battery Show 2025)와 함께 진행됐다. 이는 ‘연결된 공급망’의 의제를 입체적으로 다룬다는 기획으로 설계됐다. 올해 SCM FAIR 전시장에는 국제 운송 및 디지털 포워딩, 창고관리시스템(WMS)·운송관리시스템(TMS) 등 SCM IT 기술부터 물류·협동 로봇, 창고 자동화 시스템, 스마트 모빌리티, 친환경 포장 솔루션까지 공급망 전 과정을 아우르는 솔루션이
와따에이아이가 오는 10일부터 12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SCM FAIR 2025’에 참가해 차세대 AI 물류 재고실사 플랫폼을 공개한다. 이번에 선보이는 AI 기반 재고실사 플랫폼은 랙, 선반, 평치 등 다양한 창고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으며 OCR, 바코드, PCD(Point Cloud Data)를 기반으로 물류의 적재 유무와 형상, 물류 ID, 타입을 정밀하게 인식한다. 동시에 로봇의 위치를 관제해 재고 현황을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하고 관리자는 대시보드를 통해 즉각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 주요 기능은 시간별·영역별 스케줄 기반 자동 실사, 재고 데이터 시각화와 모니터링, 전체 통계 제공 등이다. 이를 통해 물류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기존 재고 실사 인력 의존도를 줄여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운영 혁신이 가능한 점이 특징이다. 와따에이아이 관계자는 “이번 전시를 통해 고객들이 AI 기반 자동화 재고 관리의 효율성과 현장 적용성을 직접 체험하실 수 있기를 바란다”며 “SCM FAIR 2025 부스에서 실제 시연을 준비했으니 많은 관심과 방문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헬로티 구서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