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양극재 소재 기술 공동 연구…"세계 시장 선도할 원천기술 확보" LG화학이 한양대학교와 손잡고 전지소재 우수 인재를 지원·육성하고 미래 기술 공동 개발에 나선다. LG화학은 지난 11일 서울 성동구 한양대 신본관에서 한양대와 전지소재 산학협력과 우수인재 육성을 위한 업무제휴 협약서(MOU)를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협력으로 LG화학과 한양대는 산학협력센터를 설립해 장학생을 선발하고, 차세대 기술의 선제적 확보를 위한 공동 연구를 진행한다. 한양대는 전지 산업에 기여한 다수의 연구 경험과 노하우, 우수한 인적 자원을 가지고 있어 전지 소재 기술력을 갖춘 LG화학과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LG화학은 오는 2025년까지 매년 10여명 규모의 한양대 산학장학생단을 선정한다. 배터리공학과뿐만 아니라 전지소재 관련 학과인 에너지공학과, 화학공학과, 신소재공학부, 유기나노공학과 소속 인재도 대상에 포함된다. 장학생으로 선발된 우수 인재에는 등록금과 논문 제작비 등을 지원한다. 이외에도 매월 별도 지원금을 전달해 우수 인재가 생활비 부담을 덜고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울 방침이다. 학위를 취득한 장학생은 LG화학 채용 기준상 결격사유가 없는 한
[헬로티 = 김동원 기자] 에너지 분야의 큰 줄기로 수소가 떠오르고 있다. 수소는 물을 전기로 분해해 만들어진다. 이 과정에는 촉매가 반드시 필요하다. 전기화학 반응이 일어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를 낮추는 역할을 촉매가 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이 촉매 역할은 귀금속인 백금(pt)이 했다. 그런데 이 백금은 수소 상용화에 발목을 잡았다. 비싼 가격과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서다. 백금을 대체할 촉매 연구가 활발한 가운데, 최근 저렴한 탄소화합물과 루테늄(Ru)금속을 이용해 우수한 안정성을 보이는 촉매를 개발한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되고 있다. ▲ 김건태·곽상규·백종범 교수팀은 물 전기 분해와 같은 전기화학 반응에서 산도(pH)를 가리지 않고 안정성이 뛰어난 루테늄 기반 촉매를 개발했다. (사진 : UNIST) UNIST 연구팀, 산도 가리지 않는 루테늄 기반 촉매 개발 김건태, 곽상규, 백종범 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팀은 물 전기 분해와 같은 전기화학 반응에서 산도(pH)를 가리지 않고 안정성이 뛰어난 루테늄 기반 촉매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백금 촉매의 경우 염기성 전해질에서 내구성이 떨어지기 마련이다. 이번에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