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디링크 테크놀로지는 새로운 3.5인치 싱글 보드 컴퓨터(SBC)를 출시했다. 이번에 선보이는 SBC35-MTL은 통합 NPU를 탑재한 인텔 코어 울트라 프로세서 기반이며, SBC35-ASL은 저전력 인텔 아톰 x7000RE 시리즈를 기반으로 설계됐다. 에이디링크의 SBC35 시리즈에 새롭게 추가된 이 두 제품은 컴팩트한 AI 작업부터 산업용 임베디드 제어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엣지 컴퓨팅 수요를 충족한다. SBC35-MTL은 인텔의 차세대 코어 울트라 플랫폼과 인텔 AI 부스트(NPU)를 통합해 엣지에서 실시간 AI 추론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최대 96GB DDR5 메모리, 4개의 독립 디스플레이 출력, 2개의 2.5GbE LAN 포트, 그리고 USB 3.2와 같은 고속 I/O를 지원하며 AI 카메라 연결을 위한 MIPI-CSI 인터페이스도 탑재돼 있다. SBC35-MTL은 AMR(자율 이동 로봇), AI 기반 검사, 스마트 리테일, 로보틱스 등 비전 중심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설계를 갖췄다. SBC35-ASL은 열악하고 열 환경이 까다로운 환경에 배치되도록 설계됐으며 인텔 아톰 x7835RE/x7433RE 프로세서를 탑재하고 팬리스 구성으로도
롯데이노베이트가 투썸플레이스와 IT 시스템 통합관리 운영 사업 계약을 체결했다. 롯데이노베이트는 2022년부터 3년간 투썸플레이스의 IT 시스템 운영을 진행, 데이터 안정성을 위한 솔루션 도입과 시스템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컨설팅을 진행하는 등 투썸플레이스의 점진적인 고도화를 이끌어왔다. 롯데이노베이트는 이번 계약을 바탕으로 2028년까지 3년 간 투썸플레이스의 ▲전사적자원관리(ERP) ▲포스(POS) ▲웹(Web)·앱(App) 서비스 등 시스템과 인프라 관련 IT 운영 전반을 담당한다. 특히 롯데이노베이트는 IT 서비스 및 솔루션 분야에서 오랜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시스템 운영을 넘어 AI(인공지능), 스마트 리테일, 빅데이터 분석 등 새로운 기술을 활용한 산업(Biz) 컨설팅도 적극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롯데이노베이트는 투썸플레이스의 디지털 경쟁력을 강화하고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운영 효율성을 높여 나간다는 계획이다. 김경엽 롯데이노베이트 대표이사는 “앞으로도 금융, 화학, 식품, 유통 등 전 사업군에 걸친 롯데이노베이트만의 우수한 IT 노하우와 기술력을 기반으로 새로운 기술을 접목하는 등 고객의 비즈니스 경쟁력을 높
스마트시티는 정보통신기술(ICT)·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 등이 총망라된 최신 기술 혁신의 총체다. 에너지·교통·안전·보안·서비스 등 인간의 주거 환경 및 인프라를 최적화·효율화한 도시로 모든 산업이 주목하는 분야다. 수많은 기술이 집중되는 만큼 다양한 산업 및 기업에서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업계는 스마트시티를 구현할 핵심요소로 스마트 리테일, 스마트 복지, 스마트 오피스 등을 강조한다. 스마트 리테일은 재화 및 서비스를 다루는 쇼핑 밸류체인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는 영역이다. 판매자는 소비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한 데이터를 통해 소비자에게 맞춤형 쇼핑 경험을 제공한다. 여기에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oT 등 기술을 활용해 상품 재고관리가 한층 수월해지며, 데이터화된 각종 지표를 통해 비즈니스 환경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스마트 복지는 복지 수혜자가 더 나은 복지 서비스를 경험하도록 기반을 마련한 시스템이고, 스마트 오피스도 같은 맥락에서 차세대 오피스 환경을 누리기 위한 오피스 인프라다. 이달 28일 웨비나(온라인 세미나) 플랫폼 ‘MTV(Manufacturing TV)’에서
스마트시티는 정보통신기술(ICT)·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 등이 총망라된 최신 기술 혁신의 총체다. 에너지·교통·안전·보안·서비스 등 인간의 주거 환경 및 인프라를 최적화·효율화한 도시로 모든 산업이 주목하는 분야다. 수많은 기술이 집중되는 만큼 다양한 산업 및 기업에서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업계는 스마트시티를 구현할 핵심요소로 스마트 리테일, 스마트 복지, 스마트 오피스 등을 강조한다. 스마트 리테일은 재화 및 서비스를 다루는 쇼핑 밸류체인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는 영역이다. 판매자는 소비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한 데이터를 통해 소비자에게 맞춤형 쇼핑 경험을 제공한다. 여기에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oT 등 기술을 활용해 상품 재고관리가 한층 수월해지며, 데이터화된 각종 지표를 통해 비즈니스 환경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스마트 복지는 복지 수혜자가 더 나은 복지 서비스를 경험하도록 기반을 마련한 시스템이고, 스마트 오피스도 같은 맥락에서 차세대 오피스 환경을 누리기 위한 오피스 인프라다. 이달 28일 웨비나(온라인 세미나) 플랫폼 ‘MTV(Manufacturing TV)’에서
SDT는 엔터프라이즈 데이터를 위한 IoT 및 엣지 컴퓨팅 솔루션으로 고객의 성공적인 디지털 혁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 팩토리부터 스마트 제조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통합 서비스 제공은 물론, 스마트 팩토리와 스마트 제조 구축 및 제조·검수 프로세스 자동화를 위한 디바이스와 인프라를 제공한다. 이번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에는 하드웨어 부문 신제품인 SDT ECN을 소개할 예정이다. Q. 지난해 비즈니스 성과는 어땠으며, 올해 기대는. A. 2021년에는 대기업 제조사, 리테일 기업, 모빌리티 기업, 지자체 등을 대상으로 머신 비전, 영상처리, 딥러닝, 인공지능 등을 이용한 고도의 자동화 기술을 구현했을 뿐만 아니라 고객이 예전에 해결할 수 없던 문제에 해답을 제공했다. 또한, 디바이스나 설비의 제조사 또는 산업용 프로토콜에 국한하지 않고 제조 현장에 도입할 수 있는 산업용 IoT 플랫폼을 개발했다. 2022년에는 독자적으로 개발한 엣지 컴퓨팅 하드웨어와 디지털 트윈 솔루션을 현장에 도입하여 고객의 비용 절감, 타임 투 마켓 단축 및 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예정이다. Q. 디지털 전환 시대 SDT의 비즈니스 경쟁력은. A. 크게 3가
[첨단 헬로티] "RFID는 이제 성숙단계에 접어들었고, 다양한 산업에서 폭발적인 RFID 도입이 진행될 것이다" RFID전문매체인 RFID저널 편집장인 마크 로베르티(Mark Roberti)가 한 말이다. 그의 이같은 주장은 2000년대 초반 RFID저널을 창간해 그동안 RFID 분야를 전문적으로 취재하면서 내린 결론이다. 그는 특히, RFID가 로봇, 비전, 데이터 분석과 결합해 제조 및 유통, 물류부문을 혁신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러한 배경에는 바코드 시스템보다 신뢰성이 높고, 효율성과 다기능성이 검증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의류업계에서는 그동안 RFID 실효성 검증을 통해 명확한 ROI 창출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렸고, RFID 도입이 가장 활발한 분야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매년 발표되는 IDTechTx 보고서에 따르면,2017년도 전세계적으로 약 90억개의 RFID 태그 중 대다수가 의류산업에 적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RFID 시스템은 패션 업계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을까? 소위 말하는 '짝퉁'을 없애기 위한 도구로 활용하기도 하고, 대다수 브랜드는 효율적인 재고관리를 목적으로 RFID를 도입한다. 이와함께 유니클로 등은 고객의
[첨단 헬로티] 지능형 보안 솔루션 분야 글로벌 기업 엑시스커뮤니케이션즈가 6월 19일 서울 금천구 엑시스커뮤니케이션즈코리아 사무실에서 리테일 업계 관계자를 대상으로 ‘엑시스 리테일 포럼 2018(Axis Retail Forum 2018)’을 개최한다. 이번 행사에서 엑시스는 엑시스 네트워크 카메라와 지능형 솔루션을 활용하여 더욱 스마트하고 효율적인 매장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더 스마트한 리테일 비즈니스를 위한 새로운 추진력’을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 세미나에서는 매장운영에 필요한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카메라와 리테일 업계를 위한 지능형 솔루션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소개한다. 매장은 네트워크 카메라와 리테일 지능형 솔루션을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객의 구매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판매를 촉진할 수 있는 캠페인 및 운영 전략을 수립, 실행할 수 있다. 그 외에도 △글로벌 유통혁신 방향과 디지털이 오프라인 유통업계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한 리테일 솔루션을 통한 매장 최적화 전략 및 글로벌 고객사례, △음악이 리테일 고객 경험에 미치는 영향, △리테일 업계에서 사이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