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기 다른 상품 정보 필드를 특정 양식에 맞게끔 추출하고 재배치해 달파가 여행 플랫폼 마이리얼트립에 수작업 자동화 AI 솔루션을 제공했다고 8일 밝혔다. 마이리얼트립은 달파의 AI 솔루션 도입으로 작업 속도가 대폭 향상됐다. 대부분의 플랫폼은 상품을 업로드하기 위해 다양한 공급사로부터 상품을 공급해오게 된다. 그러나, 제각각인 공급사의 정보를 플랫폼의 형식에 맞게 업로드하는 데에 많은 수작업이 소요된다. 달파 AI는 각기 다른 상품 정보 필드를 특정 양식에 맞게끔 추출하고 재배치한다. 이번 달파의 AI 솔루션 도입으로 작업자의 작업시간을 비약적으로 줄이게 된다. 절약된 시간을 통해 다양한 상품을 공급할 뿐 아니라, 수작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휴먼 에러를 줄일 것으로 기대된다. 마이리얼트립 관계자는 “달파와의 작업을 통해 기존 대비 신규 상품 등록 과정이 30~50% 가량 빨라져 같은 기간 내 더 많은 상품을 고객에게 선보일 수 있게 돼 고무적이며, 이외에도 효율화가 필요한 영역에 대해 달파 팀과 계속해서 기회를 발굴해갈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달파 관계자는 “많은 기업에서 고객에게 더욱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많은 수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헬로티]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오는 2월 26일(금)까지 ‘2021년도 스마트공방 기술보급’ 사업에 참여할 소공인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게티이미지뱅크 ‘스마트공방’은 소공인(10인 미만 제조업)의 수작업 위주 제조공정에 기초 단계 스마트기술(기기 자동화, IoT, AI 등)을 접목하고 데이터를 활용해 소공인의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토록 디지털화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중기부는 지난해 뉴딜사업에 반영된 스마트공방 기술을 시범 보급(40억 원, 82개사)했고, 올해는 대폭 확대한 예산 294억 원으로 600개사 내외 소공인에게 기업당 최대 4,900만 원(국비 70%)을 지원할 예정이다. 주요 지원내용은 스마트공방 구축 비용 지원, 전문가의 진단을 통한 과제기획, 스마트 역량교육 등 소공인 디지털 전환에 필요한 필수과정을 일괄 지원해 소공인의 스마트역량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올해부터 3개사 이상의 소공인이 협업해 공동생산, 데이터 활용이 가능한 ’컨소시엄형 스마트공방‘, 신제품 개발에 스마트기술을 접목한 ’제품·기술혁신형 스마트공방‘ 과제를 추가하는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