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엠디소프트는 미국 특허청(USPTO)으로부터 자사의 차세대 영상 기반 포렌식 기술에 대한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에 등록된 특허는 ‘시각 지도를 이용해 대용량 동영상 증거물의 복구 대상 영역을 검색하는 디지털 포렌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특허번호: US 12387492 B2)이다. 이번 특허 기술은 대용량 영상 데이터를 신속하게 분석하고 필요한 복구 대상을 정밀하게 식별할 수 있는 지엠디소프트의 독자 기술이다. 특히 영상 속 특정 장면을 자동으로 탐색해 복원하는 기능을 갖춰, 수사 과정에서 수 시간 분량의 CCTV나 스마트폰 영상을 일일이 확인하지 않아도 된다. 사용자는 원하는 시간대의 장면을 ‘시각 지도’로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시간에 기록된 장면을 자동으로 찾아 복원할 수 있다. 이 기술은 지엠디소프트의 AI 기반 영상 포렌식 솔루션 ‘MD-VIDEO AI’에 적용돼 실제 수사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다. 지엠디소프트는 이번 미국 특허 등록으로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에서 기술 경쟁력을 공식 인정받았다. 국내에서는 임베디드 영상 데이터 처리, 디지털 포렌식 기반 데이터 수집 장치 및 방법 등 핵심 기술을 포함해 14건 이상의 특허를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건수 5.6% 감소…통신제한조치는 5% 증가 지난해 하반기 통신업체가 검찰 등 수사기관에 제출한 '통신자료'가 약 248만건으로 전년(재작년) 동기보다 약간 감소했다. 그러나 국가정보원 등이 실시한 '통신제한조치' 건수는 증가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78개 전기통신사업자가 작년 하반기 검찰, 경찰,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국정원 등에 제공한 통신자료 건수가 전화번호 수 기준 248만1,017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8만1,518건(3.2%) 줄었다고 3일 밝혔다. 통신자료는 이용자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가입 및 해지일자, 전화번호, 아이디(ID) 등 통신서비스 이용자의 기본 인적사항이다. 수사기관 등은 보이스피싱이나 납치 피해자 확인 등 신속한 범죄수사를 위해 통신자료를 공문으로 요청해 전기통신사업자로부터 받을 수 있다. 요청 기관별로 보면 경찰은 163만870건으로 1만764건 감소했으며 검찰은 75만8,229건으로 7만9,575건 줄었다. 국정원은 3,945건 줄어든 1만6,514건이었다. 다만 작년 상반기 출범한 공수처는 하반기에 6,330건을 제공받아 상반기(135건)보다 크게 늘었다. 수사기관 등이 법원의 허가를 받아야만 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