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DT는 세미콘(SemiQon)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세미콘은 핀란드에 소재하고 있는 실리콘 기반 QPU를 개발·생산하는 양자기술 전문기업이다. 양사는 지난달 31일 핀란드 에스포에 위치한 세미콘 본사에서 업무협약식을 진행했다. 협약식에는 윤지원 SDT 대표, 히마드리 마줌다르 세미콘 대표 등 양사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이번 협약 이후 구체적 협력방안 등을 논의했다. SDT는 이번 업무협약과 함께 세미콘의 실리콘 기반 QPU 칩을 제공받으며 SDT가 개발, 상용화한 양자 정밀 측정 장비를 세미콘에 제공키로 했다. 안정성과 확장성이 강화된 양자 컴퓨팅 제조를 통해 전세계 양자 컴퓨팅 시장을 공략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반도체 산업에서 수십 년간 축적된 개발 노하우를 바탕으로 한 세미콘의 QPU는 기존 반도체 제조 기술을 활용한 실리콘 기반으로 개발돼 양자 컴퓨팅의 상용화를 가속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존 반도체 제조 인프라와의 호환성을 높여 생산 비용 절감과 함께 대량 생산 및 양산 체제를 보다 신속하게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물리적 플랫폼의 QPU 대비 뛰어난 내구성을 지니고 있는 점 역시 장점으로 꼽힌다
앤비젼은 오는 31일부터 2월 2일까지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세미콘 전시회에 참가한다고 9일 밝혔다. 앤비젼은 안정적인 광량 유지가 가능한 3만 시간 이상의 조명 라인업부터 공간 제약을 해소한 CIS 검사 솔루션, 고속 고해상도 BGA 검사를 위한 3D 동축타입 솔루션 등 반도체 향으로 특화된 다양한 머신비전 이미징 솔루션들을 시연할 예정이다. 앤비젼 관계자는 "이번 세미콘 전시회에서 앤비젼만의 노하우가 담긴 혁신적인 머신비전 이미징 솔루션들을 선보여 반도체 공정 내의 미해결 이미징 문제 해결을위해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세미콘에서 앤비젼의 부스 위치는 Coex 1층 Hall B BS11이며 관람객들은 부스에서 제공되는 솔루션들을 직접 체험할 수 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피에조 기술이 적용된 웨이퍼 핸들링 솔루션 전시 Festo Korea가 오는 2월 1일부터 3일까지 3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국내 최대 규모 반도체 장비 재료전시회 '세미콘 코리아 2023'에 참가한다. Festo는 반도체 산업 시장에 특화된 고객 맞춤형 토탈 솔루션 제공뿐만 아니라 자동화의 디지털라이제이션, 에너지 절감과 같은 고객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최적의 제안을 제공한다.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가 주최하는 글로벌 반도체 산업 전시회인 ‘세미콘 코리아 2023’은 매년 반도체 산업의 성장과 최신 반도체 제조 기술 등 다양한 반도체 산업의 변화와 주요 기업의 새로운 기술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다. Festo Korea는 세미콘 코리아 2023에서 반도체 산업 시장에 특화된 고객 맞춤형 토탈 솔루션 제공뿐만 아니라 자동화의 디지털라이제이션, 에너지 절감과 같은 고객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고민하며 최적의 제안을 드릴 수 있는 파트너로서의 경쟁력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로 마련하고자 한다. 특히 Festo의 경쟁력 중 하나이자 반도체 핵심 공정에 적용 가능한 정밀한 공압(Piezo기술) 데모를 선보일 예정이다. 정밀한 공압 모션 제어가 가능한 최
한‧미간 반도체 투자유치 촉진 위해 10, 11일 개최...국내‧외 기업 30여개사 참석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한‧미간 반도체 투자유치 촉진을 위해 '한-미 반도체 파트너십 투자설명회'를 10, 11일 양일간 개최했다. 이번 설명회는 작년 12월 제1차 한미 반도체 파트너십 대화에서의 산업부와 美 상무부간 합의를 바탕으로, 한국은 KOTRA의 Invest Korea, 미국은 Select USA가 함께 주관해 개최하게 됐다. 설명회에는 반도체 분야 장비‧소재 업체 등을 중심으로, 한‧미 양국의 반도체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국내‧외 기업 약 30여개사가 참석했다. 1일차인 10일에는 미국의 반도체 분야 외국인투자 현황 및 지원책을 설명하고, 특히 우리 기업의 관심이 높은 지역인 텍사스․캘리포니아는 주정부에서 직접 참여해 투자 절차 및 인센티브를 소개하고 2일차인 11일에는 반도체산업협회 및 KOTRA에서 기업들에게 우리 반도체 산업 현황 및 투자절차를 설명할 계획이다. 아울러 설명회가 종료된 후에는, 희망기업들에게 미측 투자유치기관인 Select USA와의 1대1 미팅도 주선할 예정이다. 산업부는 미국의 반도체 산업 지원법안 논의 등을 주시하면서, 양국
전원관리는 현장의 직접적인 생산성과 연결되어 있다. 단 1분의 정전이더라도 커다란 손실로 이어진다. 미세공정 등의 부가가치가 큰 산업일수록 전원관리의 중요성은 더욱더 높다. 그렇다면, 이상현상 이전에 막을 방법은 없을까? 바이드뮬러의 스마트 파워 매니지먼트는 안정적인 전원 공급에서 더 나아가 예지보전을 구현한다. 바이드뮬러의 김대진 영업이사를 만났다. Q. 현장의 생산성과 효율성이 더욱 중요해지는 인더스트리 4.0시대에 파워 매니지먼트는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가? A. 전원관리는 직접적인 생산성과 연결되어 있다. 특히 반도체와 같은 첨단 공장들의 경우 단 1분만 정전되더라도 수백억의 피해를 보기에,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비단 외부로부터의 공급뿐만 아니라 공장 내부의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바이드뮬러의 파워 매니지먼트는 예상치 못한 상황에도 공장 내부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한다. 어느 부분에 어떤 문제가 생길 것인지,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솔루션이다. 최종적으로 스마트한 전원설계를 구현하여 공장 전체의 생산 효율을 높이게 된다. Q. 스마트 파워 매니지먼트
[헬로티] 세미콘 코리아 2021 온라인 컨퍼런스가 2021년 2월 3일(수)부터 12일(금)까지 10일간 개최된다. 올해 세미콘 코리아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전시회는 진행하지 않지만, 온라인 컨퍼런스는 개최하면서 반도체 산업에 기술 로드맵을 제시하는 역할을 지속한다. 특히 올해는 전 세계 120명의 반도체 전문가 및 리더가 약 20여개의 프로그램을 통해 발표를 진행하면서 컨퍼런스의 규모는 매년 커지고 있다. ‘Toward the hyper-connected world’를 주제로 펼쳐지는 세미콘 코리아 2021 온라인 컨퍼런스는 라이브로 진행되는 SK하이닉스, imec,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의 기조연설과 함께 시작된다. 2월 3일(수)부터 12일(금)까지 무제한 시청가능한 온디멘드 프로그램에서는 제조공정별 기술 트렌드, 스마트 매뉴팩쳐링, AI, 설계 자동화, MEMS 및 센서, 반도체 테스트 기술, 지속가능한 친환경 기술, 시장 동향 등에 대한 발표가 진행된다. 한편, 반도체 산업에 주요 화두로 떠오른 DEI(Diversity, Equity, Inclusion) 캠페인 및 인재양성 프로그램이 2월 4일과 5일, 2일에 걸쳐 라
530개 이상 업체가 역대 최대 1,870개 부스 규모로 참가해 올해로 29회째를 맞는 세미콘코리아 2016이 오는 1월 27일부터 29일까지 삼성동 코엑스에서 LED코리아 2016과 공동 개최된다. 이번 행사는 “미래, 시장, 기술, 사람을 연결한다(Connect to the Future, Markets, Technology, and People)”를 주제로 역대 최대 규모인 1,870개 부스 규모로 마이크로 전자분야의 최신 공정기술, 장비, 재료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첨단 반도체 산업의 현주소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반도체 제조기술전시회인 세미콘코리아 2016(SEMICON Korea 2016)이 오는 1월 27일부터 29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LED코리아 2016과 공동 개최된다. 29회째를 맞는 이번 행사는 “미래, 시장, 기술, 사람을 연결한다(Connect to the Future, Markets, Technology, and People)”를 주제로 전 세계 반도체 장비재료 산업을 선도하는 20개국 530개 이상 업체가 역대 최대 규모인 1,870개 부스 규모로 참여해 마이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