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꼬가와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 전문 기업 Web Synergies를 인수하며 글로벌 DX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일본에 본사를 둔 요꼬가와는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Web Synergies와의 인수 계약을 체결했으며, 인수 절차는 2025년 5월 초까지 완료될 예정이다. 양사는 지난 10년간 사내외 디지털 전환 솔루션 및 서비스 제공을 위해 긴밀히 협력해왔으며, 요꼬가와는 2021년 10월 Web Synergies에 이미 투자한 바 있다. 이번 인수를 통해 요꼬가와는 클라우드 서비스, 엔터프라이즈 데이터 관리 및 통합, IT/OT 보안 솔루션 등 DX 역량을 한층 강화하게 됐다. 1998년 설립된 Web Synergies는 매출 증대, 생산성 향상, 마케팅 효율 제고 등을 통해 고객 비즈니스 혁신을 지원하는 맞춤형 솔루션과 컨설팅을 제공해왔다. 독창적인 고객 중심 접근 방식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현재 싱가포르를 비롯해 인도 하이데라바드·벵갈루루, 일본 도쿄,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미국 휴스턴, 베트남 호치민시 등 글로벌 주요 거점에서 활동하고 있다. Web Synergies의 CEO 기디언 림(Gideon Lim)은 “요꼬가와 그룹의 일원이
글로벌 산업자동화 계기·솔루션 전문 기업 엔드레스하우저가 독일 AMA 협회가 주관하는 ‘AMA 혁신상 2025’ 수상자로 선정됐다. 이번 수상은 엔드레스하우저의 초음파 유량계 ‘Proline Prosonic Flow P 500’의 뛰어난 기술 혁신성과 시장성을 인정받은 결과다. Proline Prosonic Flow P 500은 최대 550도 고온 환경에서도 비접촉 방식으로 유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클램프온 초음파 센서를 적용한 제품이다. 특히, 부식성·마모성·반응성이 높은 액체를 포함한 다양한 산업 공정 환경에서도 정확한 측정을 구현하며, 기능 안전(SIL) 및 방폭 지역 대응 능력도 갖췄다. 고온 유체의 직접 접촉 없이도 측정이 가능하다는 점은 안전성과 내구성 측면에서도 큰 장점으로 평가된다. 이번 수상은 스위스 라이나흐에 위치한 엔드레스하우저 그룹 내 Endress+Hauser Flow 개발팀의 성과다. 비트 키슬링(Beat Kissling), 퀴린 뮐러(Quirin Müller), 로베르토 비탈리(Roberto Vitali), 안드레아스 베르거(Andreas Berger)로 구성된 개발팀은 전 세계 27개 경쟁팀을 제치고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아나로그디바이스(ADI)가 제시한 ‘자기 인식(Self-Aware) 모션 제어’ 개념이 산업 자동화의 지형을 바꾸고 있다. 기존의 수동적 시스템에서 벗어나, 센서 입력과 시스템 성능을 실시간으로 비교·조정하며 스스로 최적화하는 자동화 시스템이 부상 중이다. 핵심은 적응형 제어 시스템이다. 이는 드라이브 시스템의 전기·기계적 모델을 기반으로 자동화 피라미드 전반에서 요청되는 성능 수준을 해석하고, 새로운 제어 파라미터를 생성해 동작을 조정한다. 이를 통해 생산성 향상, 유지보수 비용 절감, 장비 수명 연장이라는 3대 효과를 동시에 노린다. 이 기술은 향후 인더스트리 4.0 시대에서 스마트 공장을 넘어 지능형 공장으로의 진화를 가속화할 핵심 축이 될 전망이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AI 기술과 제조 시스템의 융합을 조망하는 ‘2025 AI 자율제조혁신포럼 in 부산’이 5월 21일부터 22일까지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BEXCO)에서 열린다. 이번 포럼은 ‘AI 기반 지속 가능한 자율제조(Autonomous Manufacturing) 혁신 방안’을 슬로건으로 내세우며, 기계·제조 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자율화 흐름 속 핵심 기술 전략을 공유하는 자리다. 이 행사는 제조 산업의 주요 도시를 순회하며 열리는 릴레이 세미나 형식으로 올해는 서울에 이어 부산에서 두 번째로 개최된다. 특히 부산국제기계대전(BUTECH 2025)과 연계해 지역 제조업계와의 접점을 넓히며, 현장 중심의 기술 인사이트를 강화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포럼 이틀째인 5월 22일에는 ‘기계/제조업의 자율제조를 위한 분야별 이슈 해결 방안’을 주제로, 자율제조 시스템 고도화를 위한 현장 중심 기술 전략이 발표된다. 협동로봇, 제조 실행 시스템(MES), 물류 자동화, 예지 보전, 품질 표준화 등 다양한 영역을 아우르는 발표가 예정되어 있다. 첫 발표는 레인보우로보틱스 김태환 소장이 맡는다. 그는 협동로봇의 실제 제조 현장 적용 사례를 소개할 예정이다. 이어 미라콤아이앤씨
AI 기술과 제조 시스템의 융합을 조망하는 ‘2025 AI 자율제조혁신포럼 in 부산’이 5월 21일부터 22일까지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BEXCO)에서 열린다. 이번 포럼은 ‘AI 기반 지속 가능한 자율제조(Autonomous Manufacturing) 혁신 방안’을 슬로건으로 내세우며, 기계·제조 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자율화 흐름 속 핵심 기술 전략을 공유하는 자리다. 이 행사는 제조 산업의 주요 도시를 순회하며 열리는 릴레이 세미나 형식으로 올해는 서울에 이어 부산에서 두 번째로 개최된다. 특히 부산국제기계대전(BUTECH 2025)과 연계해 지역 제조업계와의 접점을 넓히며, 현장 중심의 기술 인사이트를 강화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포럼 이틀째인 5월 22일에는 ‘기계/제조업의 자율제조를 위한 분야별 이슈 해결 방안’을 주제로, 자율제조 시스템 고도화를 위한 현장 중심 기술 전략이 발표된다. 협동로봇, 제조 실행 시스템(MES), 물류 자동화, 예지 보전, 품질 표준화 등 다양한 영역을 아우르는 발표가 예정되어 있다. 첫 발표는 레인보우로보틱스 김태환 소장이 맡는다. 그는 협동로봇의 실제 제조 현장 적용 사례를 소개할 예정이다. 이어 미라콤아이앤씨
산업 현장에서의 배선 작업에 새로운 전환점을 제시할 제품이 등장했다. 이코텍이 새롭게 선보인 케이블 그랜드 시리즈는 유연성, 효율성, 공간 절약이라는 세 가지 핵심 가치를 앞세워 자동화 및 제어 캐비닛 산업에 최적화된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제품의 가장 큰 특징은 독자 개발된 ‘원뿔형 밀봉 멤브레인’ 구조다. 이를 통해 단일 표준 컷아웃 내에서 직경 3~28mm의 다양한 케이블을 유연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멤브레인을 손상시키지 않고도 단단한 케이블을 비스듬히 라우팅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케이블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성과 함께 설치의 간편함을 동시에 확보한 것이다. 설치 측면에서도 이코텍의 신제품은 기존 대비 큰 진전을 보여준다. 별도의 공구 없이 나사 4개만으로 설치할 수 있어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더불어 일체형 구조를 채택해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했으며, 총 두 가지 크기 구성으로 총 7종의 조합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한다. 보안성과 내구성도 눈여겨볼 부분이다. 이 제품은 DIN EN 60529:2000-09 표준에 따라 IP65/IP66 등급의 보호 성능을 인증받아 먼지, 이물질, 습기 등
AI·AMR 중심 자동화 솔루션 사업, 독립 성장 통해 산업 수요 대응력 강화 ABB가 로봇 사업부를 분사하고 2026년 2분기 중 별도 상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분사는 현물배당(in-kind dividend) 방식으로 진행되며 기존 ABB 주주는 동일한 지분 비율로 새 회사 주식을 배당받게 된다. ABB는 이번 분사가 로봇 사업과 그룹 전체 양측 모두의 성장과 고객 가치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피터 보저 이사회 의장은 “로봇 사업부를 독립 상장함으로써 보다 집중된 지배구조와 자본 배분의 유연성을 확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ABB 로봇 사업부는 자율 이동 로봇(AMR), AI 및 소프트웨어 중심의 지능형 자동화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으며 제품군의 80% 이상이 소프트웨어 및 AI 기반이다. 2024년 기준 해당 사업부는 약 7000명의 직원과 함께 23억 달러(약 3조 2천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고, EBITA 마진은 12.1%에 달했다. 모르텐 비어로드 CEO는 “로봇 사업은 업계 선도 위치에 있지만 그룹 내 다른 사업부와는 수요와 시장 특성이 다르다”며 “독립 상장은 각 사업의 성장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새 상장사는 유럽(스
테스트 환경 구축 일반적인 EtherNet/IP 기반 모션 제어 드라이버 사용 사례를 재현하기 위한 테스트 환경의 고수준 아키텍처가 그림 1에 나타나 있다. EtherNet/IP와 프라이빗 5G 네트워크의 통합을 평가하기 위한 테스트 환경에는 EtherNet/IP 슬레이브 스택을 포함한 STM32 평가 보드와 연결된 I/O 장치가 포함되었다. 이 실험의 목표는 I/O 장치를 EtherNet/IP 마스터를 갖춘 PC 기반 호스트 시스템과 연결하는 것이었다. 이 두 시스템 간의 물리적 계층은 5G 모뎀을 통합하여 구현되었다. 이 시스템에서는 SPI(직렬 주변기기 인터페이스) 통신이 사용되었다. 해당 설정을 반영하는 OSI 아키텍처는 아래에 제시되었으며, 애플리케이션 및 세션 제어는 STM32 보드가 담당하고, 전송 계층에서는 SPI를 통한 UDP 프로토콜이 활용되었으며, 네트워크 및 물리 계층에서는 5G 모뎀이 사용되었다. 이 설정이 이더넷 표준을 준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OSI 계층과의 매핑이 그림 2에 나타나 있다. 두 하드웨어 간의 SPI 통신 설정은 다음과 같다. · 클럭 속도 : 1MHz · 모드 : 풀 듀플렉스(Full Duplex) 미래의 연결된 공
"정밀성과 유연성, 안전과 연결성… 산업자동화 신기술의 핵심 키워드가 다시 진화한다." 2025년 1분기, 글로벌 산업자동화 시장은 고도화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기반으로 '안전·지능·효율'의 세 축을 강화하는 신제품 경쟁이 뜨겁게 전개되고 있다. 올해 1분기 출시된 신제품은 단순한 성능 개선을 넘어, 운영 안전성 향상(SIL 인증, 세이프센스 기술), 통합 연결성(WirelessHART, IIoT 모듈), 고성능 엣지 제어(웹 패널, 컨트롤러), 현장 유지보수의 효율화(IP 등급, 모듈형 설계)라는 시장의 복합 수요에 정면 대응하고 있다. 더불어 AI·ML 기반 자동 제어, 고주파 대응 드라이브, 협업 로봇 기술 등도 본격적으로 산업용 장비에 흡수되며, '스마트+세이프'를 실현하는 하드웨어 기반 혁신이 두드러지고 있다. 본지는 산업의 미래를 선도할 글로벌 산업자동화 신제품 TOP 10을 엄선했다. 이들 제품은 각기 다른 영역을 대표하면서도, 하나의 공통된 방향 '지능형 생산의 실현'을 향하고 있다. 1. 바이드뮬러, 크림핑 기계 바이드뮬러 USA(Weidmuller USA)는 내구성 있는 크림핑 연결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전기 구동식 드라이브(풋
산업 현장에서의 다양한 위험 상황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실시간 대응 지원 세이지가 오는 22일부터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2025 국제물류산업대전(KOREA MET)’에 참가해 AI 기반 지능형 CCTV 솔루션 ‘세이지 세이프티(SAIGE SAFETY)’를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는 물류운송, 설비, IT, 보관 등 물류 전반을 아우르는 국내 최대 규모의 물류 전문 전시회로, 세이지는 실시간 위험 감지와 예방이 가능한 산업안전 모니터링 솔루션을 통해 물류 산업의 스마트화를 제시할 계획이다. 세이지 세이프티는 기존 CCTV 시스템을 AI로 고도화해 산업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 상황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실시간 대응하도록 설계된 솔루션이다. 화재나 연기 감지는 물론, 작업자의 안전모 미착용, 쓰러짐, 위험 설비 접근 등 산업 재해로 이어질 수 있는 다양한 위험 요소를 영상 기반으로 포착해 즉각 알림을 제공한다. 24시간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과 함께, 이상 상황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분석해 관리자에게 통계로 제공함으로써 산업 현장의 전반적인 안전 관리 효율을 높여준다. 특히 기존 CCTV 인프라와도 쉽게 연동되도록 설계돼, 별도의 고비용 인프라 투자가
AI 기반 머신 비전 기술 전문기업 ㈜포스로직(대표 송종현)이 독자 개발한 AI·2D·3D 통합 비전 라이브러리 ‘FLImaging®’이 국내외 제조 산업 현장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FLImaging®’은 AI 딥러닝 알고리즘과 고성능 룰베이스드(Rule-based) 알고리즘을 단일 라이브러리로 통합한 국내 유일의 머신 비전 플랫폼이다. 특히 SIMD 병렬 처리 구조와 멀티스레딩 기술을 전 알고리즘에 적용, 산업 현장의 작업 시간 단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 기술은 이미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이차전지, 전자 제품 등 산업 전반의 선두 기업들과 공동 프로젝트를 통해 적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적용 이후 단 한 건의 VoC(고객 불만) 없이 높은 완성도와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지난 3월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AW 2025)’에서는 FLImaging®의 실제 데모가 전시되며 폭넓은 산업계 반응을 얻었다. 300개 이상의 산업군 기업들과 상담이 진행됐, 이 중 약 60개사는 전시회 종료 직후 협업을 공식화했으며 즉시 현장 적용이 결정된 사례도 다수다. 당시 현장을 찾았던 참관객들은
요꼬가와가 플랜트 라이프사이클 전반에 걸친 운영 최적화를 지원하는 종합 유지보수 프로그램 ‘OpreX Plant Stewardship’을 전 세계 시장에 본격 출시했다. 이번 서비스는 요꼬가와의 ‘OpreX Sustainable Maintenance’ 포트폴리오 중 가장 전략적이고 포괄적인 서비스로, 고객이 플랜트 운영 효율성을 장기적으로 확보하고, 복잡한 운영 리스크에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요꼬가와는 플랜트 복잡성 증대, IT와 OT(운영 기술)의 통합, 사이버 보안 위협, 숙련 인력 부족 등 산업 전반의 변화를 배경으로, 기존 제품 중심 유지보수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이번 프로그램을 선보이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 프로그램은 시스템, 현장 계기, 분석 장비, 소프트웨어 및 애플리케이션에 이르는 전 영역을 포괄하며, 전략적 라이프사이클 기반 접근 방식이 특징이다. ‘OpreX Plant Stewardship’은 특히 다음의 세 가지 핵심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설계됐다. 첫째, 고객 맞춤형 전략 수립을 위한 ‘고객 중심 라이프사이클 접근 방식’이다. 이를 통해 고객 조직의 핵심 성과 지표(KPI) 달성을 돕고, 비즈니스 목표
지멘스(Siemens)가 최근 산업 자동화 및 전기차 충전 사업 부문에서 대규모 구조조정을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장 변화에 대응하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으로 해석된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지멘스는 최근 신설된 전기차 충전 사업부에서 근무하는 1,300명 중 약 3분의 1에 해당하는 450명의 일자리를 감축할 계획이다. 특히 이 중 250명은 연말까지 독일에서 감원될 예정이다. 이는 전기차 충전기 시장에서의 강력한 가격 경쟁과 저전력 충전소의 제한된 성장 잠재력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구조조정은 주로 산업 자동화 사업에 집중되어 있으며, 전체 인력의 8%에 해당하는 규모다. 지멘스의 디지털 산업 부문은 엑셀러레이터와 지멘스 EDA 활동을 포함하여 총 68,000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독일에서는 2,600개의 일자리가 감축될 예정이지만, 다른 성장 분야에서의 채용을 통해 총 인원은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지멘스는 독일과 중국이라는 주요 시장의 여건 변화로 인해 두 시장 모두에서 생산 능력 조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특히 독일 시장은 지난 2년 동안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예상만큼 회복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젠슨 황 CEO "물리 AI 통해 산업 전반의 새로운 시대가 열릴 것" 엔비디아가 자율주행차, 헬스케어, 기상예측, 제조업 등 주요 산업 전반에 걸쳐 물리 AI(Physical AI) 기반 혁신을 본격화하고 있다. 최근 미국 새너제이에서 개최된 GTC에서 엔비디아는 데이터세트, 시뮬레이션 플랫폼, 블루프린트, 파운데이션 모델, 산업 협업 등을 통해 물리 세계와 디지털 세계를 연결하는 전략을 선보였다. 특히 디지털 트윈 기반의 시뮬레이션, 대규모 합성 데이터 활용, AI 모델 사전 학습과 검증 가속화 등을 통해 기존 산업의 디지털 전환 속도를 비약적으로 끌어올리고 있다. 핵심 기술 중 하나는 ‘엔비디아 아이작 GR00T N1’이다. 이는 일반화된 추론과 작업 수행이 가능한 세계 최초의 맞춤형 휴머노이드 로봇용 파운데이션 모델이다. 인간의 직관과 논리를 반영한 이중 사고 구조를 바탕으로 반복적이고 복잡한 작업을 자율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훈련하기 위해 개발된 블루프린트와 뉴턴(Newton) 물리 엔진은 최소한의 시연만으로도 수십만 건의 조작 데이터를 합성 생성하는 데 활용된다. 실제로 GR00T N1은 11시간 만에 약 78만 개의 경로 데이터를 생산했으며,
엣지 AI 활용 위한 세 가지 주요 솔루션 공개해 인텔이 엣지 AI의 발전을 가속화하기 위해 새로운 ‘인텔 AI 엣지 시스템’, ‘엣지 AI 스위트’, ‘오픈 엣지 플랫폼’ 이니셔티브를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소매, 제조, 스마트 시티,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AI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다. 댄 로드리게즈 인텔 엣지 컴퓨팅 그룹 총괄 부사장은 “기업들은 총소유비용(TCO), 전력 및 성능 목표를 달성하면서 기존 인프라에서 AI를 확장하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며 “인텔은 오랜 엣지 컴퓨팅 경험을 바탕으로 AI 엣지 시스템과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제공해 파트너들이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AI 기반 솔루션을 시장에 출시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고 밝혔다. AI 기술이 기업 혁신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으면서 엣지 컴퓨팅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가트너는 올해 말까지 기업에서 관리하는 데이터의 절반이 데이터 센터나 클라우드가 아닌 엣지 환경에서 처리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2026년까지 전체 엣지 컴퓨팅 배포의 절반 이상이 머신러닝 기술을 포함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엣지 AI는 기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