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모델라인(26건)이었고 효성TNS 17건, 삼성전자 14건, 하나시스 11건, 아이피오닷넷 11건 순 무인 단말기(키오스크) 보급이 확산하면서 관련 특허출원이 급증했다. 22일 특허청에 따르면 무인 단말기 관련 특허출원은 최근 10년간(2012∼2021년) 연평균 16% 증가했다. 2017년 52건에서 2018년 111건, 2019년 169건, 2020년 228건으로 늘어난 뒤 지난해 176건으로 주춤했다. 2000년 이후 지난해까지 무인 단말기에 도입된 최신 기술을 보면 모바일 장치와의 정보 송수신을 통해 결제를 진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이 266건으로 가장 많았다. 사용자의 얼굴 또는 음성을 인식하거나 물품 재고관리를 위한 인공지능 기술 66건, 사용자 신원을 지문·홍채 등 생체정보를 이용해 식별하는 인증 기술 56건 등이었다. 중소기업 출원이 54%로 가장 많았고 개인 26%, 대기업 10%, 대학 4% 순으로 나타났다. 출원을 가장 많이 한 기업은 비즈모델라인(26건)이었고 효성TNS 17건, 삼성전자 14건, 하나시스 11건, 아이피오닷넷 11건 순이었다. 특허청 제어기계심사과 박재우 심사관은 "대기업이 키오스크 시장에 진출하면서 주요 기술
[첨단 헬로티] 산업체 공장 및 상업용 절전기를 전문적으로 개발하는 씽크라이온(대표 정정용)이 특허 투자 전문회사인 비즈모델라인(대표 김재형)과 IoT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시티용 무회로 전기절전기에 관련한 원천특허 제공에 대한 업무제휴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씽크라이온이 개발한 무회로 전기절전기는 공장에서 발생하는 고조파 및 열잡음을 제거하여 전력손실을 최소화하는 장치로 국내에서 판매 중이다. ▲ 씽크라이온 정정용 대표(좌)와 비즈모델라인 김재형 대표(우)가 제휴를 맺고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 : 씽크라이온 제공> 절전율은 공장의 경우 7%~10% 수준인데, 이는 산업체(제조업) 공장 전체에 설치 시 원자력 발전소 3.4기를 감축할 수 있는 효과라고 한다. 이번 업무 제휴한 특허는 산업용 절전기 제조기술, 절전기능과 IoT 기능이 부가된 멀티 콘센트 제조기술, 절전기능과 IoT 기능이 부가된 벽면 스마트플러그 제조기술, 절전기능과 IoT 기능이 부가된 가정내 절전관리시스템 기술, 전력관리시스템을 통한 데이터 수집 및 DB화 기술 등이 포함되었으며, 특허 건수는 총 110건 이상이다. 비즈모델라인 김재형 대표는 이번 업무제휴를 통해 “씽
[첨단 헬로티] IoT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시티용 무회로 전기 절전기 개발 산업체 공장 및 상업용 절전기를 전문적으로 개발하는 씽크라이온이 특허투자 전문회사인 비즈모델라인과 IoT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시티용 무회로 전기절전기에 관련한 원천특허 제공에 대한 업무 제휴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씽크라이온이 개발한 무회로 전기절전기는 공장에서 발생하는 고조파 및 열잡음을 제거해 전력손실을 최소화하는 장치로 국내에서 판매 중이다. 절전율은 공장의 경우 7%~10% 수준인데, 이는 산업체 특히 제조업 영역에 있는 공장 전체에 설치 시 원자력 발전소 3, 4기를 감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씽크라이온 정정용 대표(좌)와 비즈모델라인 김재형 대표가 제휴를 맺고 기념촬영하고 있다. 이번 업무 제휴한 특허는 산업용 절전기 제조기술, 절전기능과 IoT 기능이 부가된 멀티 콘센트 제조기술, 절전기능과 IoT 기능이 부가된 벽면 스마트플러그 제조기술, 절전기능과 IoT 기능이 부가된 가정내 절전관리시스템 기술, 전력관리시스템을 통한 데이터 수집 및 DB화 기술 등이며, 특허 건수는 총 110건 이상이다. 비즈모델라인 김재형 대표는 이번 업무제휴를 통해 "씽크라이온의 절전 재료 기
[첨단 헬로티] 특허전문기업 비즈모델라인과 핀테크솔루션기업 페이민트가 공동으로 참여하여 핀테크와 블록체인이 결합된 비즈니스 전문 프로젝트형 기업 ‘커넥트큐브’를 탄생시켰다. 비즈모델라인은 핀테크/블록체인 분야, IoT 분야, O2O 분야, 인증 분야, 유무선통신 분야 등 IT 전반에 걸친 3,000여건 이상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특허 기반 스타트업 투자와 지원 노하우를 보유한 국내 최대 핀테크 특허 전문기업이다. 페이민트는 QR코드를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 결제수단과 결제 플랫폼 연동 기술을 비롯하여, 송금/간편결제 기술, 은행앱기반 거래 기술, 스마트오더 기술, 해외 간편결제 기술 등 핀테크 기반 결제 관련 기술을 이미 모두 보유하고 있다. 커넥트큐브는 핀테크 블록체인과 관련된 여러 분야의 비즈니스에 대해 프로젝트 컴퍼니 형태로 운영된다. 컨소시엄이나 프로젝트 단위 별로 사업과 인력을 계획하고, 이를 위해 관련되는 기업과 전문인원을 계속적으로 보강하고 영입하여 사업을 진행시킬 예정이다. 또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사업 계획과 진행을 위해 기술(핀테크/블록체인), 법률, 특허, 경영, 회계, 투자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어드바이저리
[첨단 헬로티] AI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개발 전문기업인 모비그램은 특허투자전문기업 비즈모델라인과 ‘AI 미터기’와 관련된 특허 공동 개발에 대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모비그램이 개발하고 사업화 하는 ‘AI 미터기’는 기존에 택시에 부착되어 주행거리 별 요금을 산출하는 미터기 대신에 운전자와 승객의 무선단말에 설치된 앱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앱 미터기’에 인공지능, 빅데이터, 블록체인 기술을 결합하여 고도화 시킨 ‘차세대 앱 미터기’이다. 특히 비즈모델라인은 우버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앱 미터기’에 대한 원천특허를 보유한 기업으로, 이번 업무 협약은 비즈모델라인의 앱 미터기 원천특허에 관심을 갖고 있던 여러 기업이나 업계의 많은 관심을 불러 모으고 있다. 모비그램 관계자는 “비즈모델라인으로부터 확보한 앱 미터기 원천특허 기반으로, 관련된 특허 포트폴리오 구축을 상반기까지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히며 “이번에 특허 포트폴리오는 운전자/승객 패턴 분석, 인공지능 비서봇(통역봇) 처리, 실시간 교통 안내를 위한 인
[첨단 헬로티] 엑센트리 아시아는 세계 주요 엑셀러레이터 기관과 함께 기술과 사업모델의 잠재성을 갖춘 국내외 기업들의 육성을 통해 유니콘 기업으로의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스마트시티 테크 기반 샌드박스를 구축한다. 이번에 구축되는 스마트시티 테크 기반 샌드박스에는 글로벌 엑셀러레이터는 물론 스타트업·중소기업, 특허-R&D 랩, 국내외 투자기관(VC, PE), IP분야 글로벌 로펌, 국제기구(SDGs), 정부·자체기관 등이 대거 참여할 예정이다. ▲비즈모델라인 김재형 대표(왼쪽)와 엑센트리 아시아 천재원 대표(오른쪽)가 협약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특히, 엑센트리 아시아는 스마트시티 테크 기반 샌드박스를 통해 추진하고자 하는 아이피 볼트(IP Vault) 사업을 위해 국내 최대 특허 투자 기업인 비즈모델라인과 협력하기로 했다. 아이피 볼트 사업은 엑셀러레이팅의 성공을 결정할 수 있는 매주 중요한 사업으로 블록체인, 핀테크, 스마트 시티 솔루션, 모빌리티, 재생 가능 에너지, 착용형 장치, 바이오 헬스케어, AI, 스마트 교통 등의 디지털 핵심 기술 분야에 대한 기술특허 풀 구축, 특허 상업화 랩(Lab) 운영, R&
[첨단 헬로티] 임신·출산·육아 통합 서비스 플랫폼 전문기업인 아이앤나(대표 이경재)는 특허 엔젤 투자기업인 비즈모델라인(대표 김재형)과 포괄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아이앤나(I&NA)는 임신·출산·육아 서비스 기반에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및 모바일 등의 IT 기술을 통한 결합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모토로 내걸고 있다. 맘스텔라(Mom Stella)를 포함한 100여 군데의 산후조리원을 통해 이미 캠 서비스,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업무 협약으로 아이앤나(I&NA)는 임산, 출산, 육아 통합 서비스 플랫폼 관련 사업을 위한 원천특허를 확보하고, 공동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아이앤나(I&NA)는 비즈모델라인이 보유하고 있는 앱과 방송 채널을 매칭하고, 방송채널 선택 시 앱을 실행할 TV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방송수신장치 관련 원천 특허를 확보했다. 이경재 아이앤나(I&NA) 대표는 “비즈모델라인과의 협업을 통해 경쟁력 있는 임신·출산·육아관련 플랫폼을 개발하고 서비스를
[첨단 헬로티] 개인 맞춤형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업체 스타픽스(대표 이진일)는 특허 투자기업인 비즈모델라인과 업무협약을 맺고, 사진편집 관련 원천특허를 확보했다고 10일 밝혔다. 스타픽스는 연예인 관련 소품과 연예인을 찍은 사진, 영상 DVD나 애니메이션 캐릭터가 그려진 티셔츠, 스티커, 액세서리 등 ‘굿즈(goods)’시장 관련 모바일앱을 제공하고 있다. 스타픽스는 사용자가 좋아하는 스타의 사진을 직접 선택하고 편집하는 개인 맞춤형 출판서비스(POD: Print on demand) 뿐만 아니라, 엔터테이먼트사와 구매고객 사이에서 인터미디어리(Intermediary: 중간자/매개체) 역할을 통해 원하는 상품을 제작 배송까지 해주는 서비드도 갖췄다. 이번 협력으로 스타픽스는 비즈모델라인으로부터 원천특허를 인수받고, 5건의 사진편집 관련특허를 출원 중에 있다. 양사는 올해까지 40여건의 특허를 출원해 차별화된 서비스 부분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계획이다. 비즈모델라인 김재형 대표는 “스타픽스와의 업무협약을 통해 흥미로운 아이템과 특허가 많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며, “등록특허(원천특허)와 수 십 개의 특허로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