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블록체인을 활용하는 ‘2022년 블록체인 시범/확산사업’을 공모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대국민서비스 확산 중심의 공공분야와 신규서비스 발굴 중심의 민간분야로 구분하여 총 24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정부지원금 규모는 총 189억 원으로 상호출자방식으로 지원한다. KISA는 공공분야에 보건복지부의 복지급여 중복수급 관리, 서울특별시의 공공일자리 근로계약 및 이력관리 플랫폼 등 시범사업 7개, 행정안전부의 공공 마이데이터 유통체계 구축 등 확산사업 4개로 지난해 수요조사와 컨설팅을 통해 선정된 총 11개 사업에 대한 사업자를 선정한다. 또한, 민간분야에는 ▲대체불가토큰(NFT)·메타버스 활용 ▲분산신원증명(DID)·전자문서·마이데이터 ▲블록체인 상호운용성 ▲자유공모 등 시범사업 12개, 자유주제공모 방식으로 진행될 확산사업 1개로 총 13개 사업을 발굴할 계획이다. 사업자는 주관·참여 구분 없이 공공·민간분야 총 24개 사업 중 4개 이하로만 지원 가능하며, 지원한 사업은 블록체인 기술을 반드시 활용해야 한다. 공공분야 접수기간은 오는 4월 1일까지이며, 민간분야는 4월 4일까지
부산시와 부산테크노파크가 부산지역의 보세구역 이용자와 보세운송업자를 지원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여 ‘블록체인 기반 보세운송 차량 자격관리 및 검증 플랫폼’(이하 플랫폼)을 개발한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지원하는 ‘2022년 블록체인 시범·확산사업’에 선정되어 추진하게 되는 이번 플랫폼 개발은 보세운송 인·허가 및 보세구역 출입 차량관리 절차를 아날로그에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로 전환하기 위한 플랫폼 구축사업이다. 주요 사업내용은 ▲분산신원증명(DID: Decentralized Identifier) 기반 보세운송업자 인·허가 서비스 ▲보세운송차량 자격검증 서비스 ▲블록체인 기반 보세운송 모니터링 서비스 등이다. 시는 올해 하반기에 플랫폼 개발을 완료하고 부산지역 보세운송사업자, 보세구역 이용자, 한국관세물류협회와 협력하여 실증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러한 플랫폼 개발을 통해 위변조가 불가능한 블록체인 기술을 보세운송에 적용함으로써 그동안 수기명부로 보세구역 출입 차량 인허가 등을 관리하면서 발생한 차량 자격 위변조 및 화물 오반출 등의 문제를 해결하여 보세운송 출입차량 관리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또한, 보세운송 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