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서 제작·통영서 조립’ GE가스파워의 슈퍼모듈 방식 HRSG, 일본 고이발전소로 인도 “발전소 출력 및 효율성 상승, 도쿄 에너지 수요 충족 기대” GE가스파워의 기술력을 담고, 창원 공장에서 제작된 후, 통영에서 조립이 완료된 배열회수보일러(HRSG)가 일본 고이발전소에 무사 인도됐다. HRSG는 가스터빈·스팀터빈과 복합발전 3대 장비로 손꼽힌다. 해당 장비는 가스터빈에서 배출되는 뜨거운 열에너지를 활용해 증기를 만들어낸 후 스팀터빈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발전소 내 연료 추가 없이도 최대 50%가량 에너지 출력을 내도록 도와, 발전소 효율 상승에 주요 장비로 평가된다. 고이발전소는 2024년부터 단계적 운용이 예정된 LNG 복합 화력발전소다. GE가스파워는 해당 발전소에 HRSG 총 3대를 공급할 계획이다. 라메시 싱가람(Famesh Singaram) GE가스파워 아시아지역 사장 겸 CEO는 “이번에 고이발전소에 인도된 HRSG는 GE 창원 공장에서 제조 후 통영 조립해 공급한 장비”라며 “GE HRSG 기술을 통해 발전소 출력 및 효율성을 높이고, 도쿄 내 증가 추세인 에너지 수요를 충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첨단 헬로티] 한국서부발전(사장 직무대행 정영철, 이하 서부발전)이 케냐 Socian Menengai Geothermal Power(이하 SMGP)가 발주한 35MW 지열발전 O&M 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발전소는 수도 나이로비에서 북서쪽으로 170km 떨어진 메넹가이 지역이며 케냐 지열개발공사에서 사업부지 제공 및 증기를 공급하고, SMGP가 발전소를 건설하며, 서부발전이 최대 25년간 운영한다. 생산된 전력은 기 체결한 전력판매계약에 따라 케냐 송배전공사(KPLC)로 판매한다. 2017년 11월 서부발전을 비롯한 3개 회사가 최종 제안서를 제출한 바 있으며, 기술 및 비용부문 심사결과 서부발전이 우선협상대장자로 최종 선정됐다. 서부발전은 현재 발주처와 O&M계약 협상 중으로 2018년 2월 중 계약을 체결하고 2019년 6월부터 인력을 파견하여 O&M사업을 수행하게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케냐는 지열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전력생산을 시작한 아프리카 최초 국가이며 케냐정부는 지열발전 설비규모를 2030년까지 5,530MW로 확대할 계획으로 향후 발전 잠재력이 높다. 본 사업은 케냐의 두 번째 민자 발전사업으로, 서부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