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수출이 조업일수 감소에도 인공지능(AI) 수요에 따른 반도체 호황에 힘입어 역대 10월 중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1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10월 ICT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수출액은 233억3000만 달러로 지난해 10월보다 12.2% 증가하며 역대 10월 중 최대치였다. 지난달은 조업일수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이틀 적고 글로벌 통상 환경이 불확실했지만, 반도체 호황 등에 힘입어 9개월 연속 성장세를 나타냈다. 반도체 수출액은 157억4000만 달러로 25.4% 증가하며 8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를 기록했다. D램과 낸드 가격 상승과 AI 서버 등 고부가 메모리 수요 증가가 주원인으로 꼽혔다. 휴대전화는 하반기 출시된 삼성전자 폴더블폰 등 주력 제품 수요가 증가하며 완제품 수출액은 늘었지만, 애플 등 해외 주요 기업의 생산 거점인 중국으로 부분품 수출이 둔화하며 전체 수출액은 11.8% 감소했다. 통신장비 수출액은 베트남과 인도의 기지국용 장비 수요 증가로 2.5% 증가했다. 수출 지역별로는 TSMC 호실적이 이어지는 대만향 수출이 42억8000만 달러로 지난해 10월보다 60.0% 급증했다. DDR5, 고대역폭메모리(
ⓒGetty imagesBank [헬로티] 2016년 3분기까지 우리 소재‧부품은 수출 1,857억 달러, 수입 1,128억 달러로, 무역흑자 729억 달러를 기록했다. 올해 분기별 수출·수입 및 무역수지의 감소율이 둔화 추세를 보이며 특히, 소재 부문은 3분기 들어 증가세를 보였다. 1~9월 중 소재‧부품 수출은 1,857억 달러로 같은 기간 총 수출 3,632억 달러의 51.1%를 차지했으며, 지역별로는 중국의 수출 감소세 지속으로 대세계 소재·부품 수출 감소한 반면 아세안·일본은 증가했다. 중국은 자국산 부품 사용 장려 및 가공무역 제한정책, 우리 소재·부품기업의 중국 진출 둔화 등으로 수출이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다. 아세안은 베트남 현지 우리 기업의 전자부품 직접투자의 지속 확대로 수출이 증가했으며, 아세안 수출액 증가를 주도했다. 일본은 구마모토 지진 등에 따른 일본 완성차 업계의 부품 공급선 다변화로 수송기계 부품이 크게 증가했다. 품목별로는 전자부품 등 대부분의 수출이 감소했으나, 컴퓨터 및 사무기기, 고무 및 플라스틱등 일부 품목은 증가세로 전환됐다. 한편 1~9월 중 소재
2015년 소재부품 무역흑자가 1,051억 달러를 기록해 전년에 이어 2년 연속 1,000억 달러를 넘어섰다. 지난해 소재부품 수출 비중이 사상 최초로 50%를 넘어서며, 저유가와 엔저, 신흥국 경기 부진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우리 경제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 주었다. 산업통상자원부 발표에 따르면, 2015년 우리나라 소재·부품산업 수출은 2014년 대비 4.1% 감소한 2,647억 달러를 기록, 총수출의 50.2%를 차지했다. 소재부품 수출 비중은 2014년 대비 2% 증가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베트남으로의 수출 증가에 힘입어 대아세안 수출이 소폭 증가한 반면 유럽, 일본 등 대부분 지역으로의 수출은 감소했다. 전자부품, 전기기계부품, 컴퓨터 및 사무기기부품 등 부품이 강세이며, 소재는 유가 급락에 따른 단가하락 등으로 비금속광물을 제외한 대부분 업종이 감소했다. 수입은 2014년 대비 5.1% 감소한 1,597억 달러를 기록, 총수입의 36.6%를 차지했다. 일본, 중동, 유럽에서 수입이 크게 감소하는 등 대부분 지역에서 수입이 감소했으나, 베트남에서 수입은 대폭 증가했다. 무역흑자는 1,051억 달러를 기록, 2014년에 이어 2년
2015년 소재부품 무역흑자가 1,051억 달러를 기록해 전년에 이어 2년 연속 1,000억 달러를 넘어섰다. 지난해 소재부품 수출비중이 사상 최초로 50%를 넘어서며, 저유가와 엔저, 신흥국 경기부진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우리 경제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 주었다. 이는 우리나라 소재부품산업이 만성적인 무역적자에서 벗어나 1997년 사상 첫 흑자를 기록한 이래 1,000억 달러 흑자시대에 안정적으로 접어들었음을 의미하며, 아울러 우리나라 제조업의 성장방식이 과거 조립산업에서 소재부품산업 중심으로 체질개선에 성공했음을 말해 준다. 다만, 부품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뒤진 소재산업의 경쟁력 강화가 앞으로 제조업의 과제로 남아있다. 산업통상자원부 발표 자료에 따르면 2015년 우리나라 소재·부품산업 수출은 전년대비 4.1% 감소한 2,647억 달러를 기록, 총수출의 50.2%를 차지했다. 소재부품 수출비중은 전년대비 2% 증가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베트남으로의 수출 증가에 힘입어 대아세안 수출이 소폭 증가한 반면 유럽, 일본 등 대부분 지역으로의 수출은 감소했다. 전자부품, 전기기계부품, 컴퓨터 및 사무기기부품 등 부품이 강세이며, 소재는 유
우리나라 소재·부품이 2년 연속 무역수지 흑자 1000억 달러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우리나라 소재·부품 부문 교역은 수출 1,997억 달러, 수입 1,207억 달러로, 무역수지 흑자 791억 달러를 기록했다. 엔저 지속, 중국 등 신흥국 경제 우려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이러한 추세대로라면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무역흑자 1,000억 달러 달성이 확실시된다. 특히 우리나라 총 수출 가운데 소재·부품 분야의 비중은 50.3%로 사상 최고 수준을 달성하며, 글로벌 경기 변동에도 안정적인 대응 역량을 보였다. 반면, 일본에 대한 수입의존도는 16.7%로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2012년 23.0%이던 일본 수입의존도는 2013년 20.8%, 2014년 18.1%, 올해 3분기 16.2%로 꾸준히 떨어지고 있다. 올해 우리 소재·부품 수출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2년 연속 소재·부품 무역흑자 1,000억 달러 시대는 지속할 것으로 기대된다. 선진국 경제 회복 부진, 엔저 지속 등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4분기 중 유럽과 중국의 경기 호전시 예상보다 빠른 회
상반기 소재부품 수출은 전년 동기대비 0.5% 증가한 1,343억 달러, 수입은 2.6% 감소한 809억 달러로 무역흑자 533억 달러를 기록해 수출과 무역흑자 규모에서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세계경제 둔화와 저유가 및 엔저가 지속되고 총수출이 감소한 가운데서도 소재부품 수출이 선전하고 있어 의의가 있다. 이에 따라 2011년 이후 총수출에서 소재부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도 점차 증가해 올해 상반기 50%까지 늘어났다. 품목별 수출 실적을 보면 비금속광물제품이 11억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29% 증가했고, 컴퓨터와 사무기기 부품은 26억 달러로 28.2% 늘었다. 전자부품은 471억 달러로 8.0%, 전기기계부품은 123억 달러로 6.6% 증가했다. 반면 화합물 및 화학제품은 197억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12.9% 감소했고, 섬유제품 역시 22억 달러로 11.7% 줄었다. 한편, 올 상반기 대일 소재부품 수입의존도는 16.9%로 하락해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대중국 수출 비중은 35% 내외로 안정 상태를 유지했다. 베트남은 우리의 소재부품 수출 3위 시장으로 부상했다. 삼성전자, LG전자, 두산중공업 등 우리 기업들의 투자가 활발해진 덕분으로 풀이된다.
올 상반기 무역수지 흑자가 467억 달러를 기록해 반기 최대 기록을 갈아치웠다. 2012년 108억 7000만 달러, 2013년 199억 8000만 달러, 2014년 198억 9000만 달러에 비해 크게 늘어난 것이다. 유가 등 원자재가 하락으로 수입이 크게 감소했기 때문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집계한 상반기 수출입 동향 자료에 따르면, 이 기간 우리나라 수출은 전년동기 대비 5.0% 감소한 2690억 달러, 수입은 15.6% 감소한 2223억 달러였다. 세계무역기구 자료 분석 결과, 올 1~4월 세계 주요 70개국의 수입 시장이 13.4% 감소한 가운데서도 우리 수출은 4.3% 감소하는데 그쳐 세계 수출 순위에서 프랑스를 제치고 7위에서 6위로 한단계 상승했다. 1~5위는 중국, 미국, 독일, 일본, 네덜란드였다. 상반기 품목별 수출 실적을 보면 반도체, 컴퓨터 등 정보기술 제품은 호조세를 보였으나 석유제품, 석유화학, 철강, 섬유, 자동차 등 주력 품목은 감소했다. 특히 석유제품과 석유화학은 유가 하락에 따른 수출 단가가 급락으로 월 평균 23억 달러 이상 줄었다. 자동차는 5월까지 부진했으나 6월 들어 신차 수출 영향으로 증가세로 전환했다. 상반기 수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