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카넘 휠 시스템’, ‘통합형 SDK’ 기능 강조...전방향 이동 및 높은 확장성 제공 인공지능(AI) 연구 개발 최적화 로봇 플랫폼으로 기대받아 레인보우로보틱스가 차세대 이동형 양팔로봇 ‘RB-Y1’에 새롭게 적용된 신기술 2종을 천명했다. 이번에 발표된 신기술은 좁은 공간에서도 뛰어난 기동성을 구현하는 ‘메카넘 휠(Mecanum Wheel) 시스템’, 다양한 옵션과 유연하게 연동 가능한 ‘RB-Y1 통합형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 두 종이다. 이 중 메카넘 휠 시스템은 휠 자체가 전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돼, RB-Y1이 복잡하고 제한된 실내 환경에서도 정교한 움직임을 발현하도록 지원한다. 특히 기존 대비 이동 경로의 유연성과 회전 반경이 향상된 점이 특징이다. 물류·연구·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받는다. 함께 공개된 SDK는 관성측정장치(IMU)·라이다(LiDAR)·그리퍼(Gripper) 등 다양한 외부 모듈과의 연동을 돕는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연구 목적에 따라 로봇을 맞춤화(Customized)할 수 있으며, AI 알고리즘 적용 및 테스트 과정에서 높은 확장성과 편의성을 제공한다. RB-Y1은 한 팔당 7자유
전방향 휠, 몰입형 원격 조작 등 로봇 민첩성·유연성 극대화 방법론 강조해 레인보우로보틱스가 국제 로봇 학술대회 ‘ICRA 2025(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and Automation 2025)’ 현장에서 차세대 휴머노이드 로봇(Humanoid Robot) 기술을 전격 공개했다. 국제 로봇 학술대회 ICRA 2025는 이달 19일(현지시간)부터 나흘간 미국 애틀란타 소재 조지아 월드 콩그레스 센터에서 열렸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최신 휴머노이드 로봇 ‘RB-Y1’의 향상된 기능을 시연해 전 세계 로봇공학 전문가와 산업계 관계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RB-Y1의 업그레이드 기술은 세 가지다. ▲전방향 구동 ‘메카넘 휠 시스템(Mecanum wheel system)’ ▲마스터 암, 터치패드, 조이스틱, 가상현실(VR) 헤드셋 플랫폼 등 ‘몰입형 원격 조작 인터페이스’ ▲다양한 모듈과 호환되는 유연한 통합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 등이 이에 해당한다. 사측은 이러한 기술들은 RB-Y1을 더욱 빠르고 민첩하게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연구실, 시스템통합(SI) 업체, 자회사인 삼성전자 등에 자동화 구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