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세계 최대 인공지능(AI) 학회에서 AI 우수 인력 유치에 나섰다. LG전자는 지난 11∼15일(현지시간) 미국 테네시주 내슈빌에서 열린 ‘국제 컴퓨터 비전 및 패턴 인식 학술대회(이하 CVPR) 2025’ 현장에서 AI 인재 채용 행사를 열었다고 16일 밝혔다. CVPR은 AI의 눈으로 불리는 컴퓨터 비전 분야를 주제로 한 세계 최고 권위 학회다. 김재철 CTO부문 인공지능연구소 비전인텔리전스 연구실장(상무)이 사업 분야와 연관성이 높은 논문 저자들과의 개별 미팅을 하고 LG전자 AI 기술·성과를 소개하는 ‘LGE AI 나이트(Night)’ 행사를 주관하는 등 네트워킹을 주도했다. AI 나이트 행사에서는 현재 진행 중인 연구개발 아이템과 그간 국제 학회 등에서 소개됐던 논문들을 중심으로 LG전자가 비전 AI 분야에서 가지고 있는 기술력과 개발 로드맵을 소개했다. LG전자는 2022년부터 매년 CVPR에 참석해 인재 확보 차원의 네트워킹 행사를 주관하고 있으며, 3년간 CVPR을 통해 AI 분야 우수 인재를 지속적으로 확보하고 있다. 이달 말에는 미국 뉴저지에서 해외 우수 인재 채용 프로그램 ‘북미 테크 콘퍼런스’도 진행할 예정이다. 이는 국내 대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반도체 지원법 등으로 리쇼어링 촉진 등 미국 내 공장 건설이 급격히 늘어났지만, 공장부지 확보 어려움이 한계로 지적되고 있다. 13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보조금을 받기 위해 기업들이 앞다퉈 미국 내 공장 건설에 나섰지만, 이를 짓기 위한 이른바 '메가사이트'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보도했다. 메가사이트란 교통, 저비용 에너지, 인근의 숙련된 노동력 공급이 갖춰진 면적 1000에이커(405만㎡) 정도의 넓은 부지를 말한다.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의 컨설팅 회사 '글로벌 로케이션 스트래티지'가 미국에서 메가사이트에 대한 수요를 조사한 결과, 작년에만 미국에서 10억 달러 이상이 투자되고 최소 1000개 일자리를 창출하는 공장 건설 프로젝트가 20개가 발표됐다. 이는 전년의 15개, 2020년 8개와 비교하면 크게 증가한 수치며 특히 최근 급증세 이전의 약 10년 동안에는 연평균 5개 정도에 불과했다. 문제는 미국에 토지가 넘쳐나지만, 메가사이트의 조건을 모두 갖추고 있어 신속하게 수십억 달러 규모의 공장을 지을 수 있는 부지는 많지 않다는 것이다. 폭스바겐의 오프로드 자동차 브랜드인 스카우트 모터스는 작년 여름 20
[헬로티= 함수미 기자] 코로나19로 많은 타격을 입은 나라들은 경제 부흥의 열쇠로 '제조업'을 꼽고 있다. 19세기부터 제조업 강국으로 자리 잡았던 독일은 포스트코로나시대에 제조업에 어떤 변화를 꾀하고 있을까? ▲게티이미지뱅크 제조업 강국 독일의 오늘 포스트 코로나 시대, 많은 것들이 변했고 또 변하게 될 것이다. 제조업도 마찬가지다. 코로나19는 4차 산업혁명으로 가는 길이 더 빨라졌다. 제조업도 4차 산업혁명을 위한 미래 생산성 혁명의 패러다임 전환을 추구하고 있다. 제조업의 4차 산업혁명은 단순하다. 높은 품질을 유지하며 높은 수익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생산성을 향상하면서 에너지는 절감하고 인간중심의 작업환경을 위한 것이다. 결국 스마트공장도 이를 위한 한 수단에 불과하다. 코로나19로 제조업에도 많은 타격과 변화가 있었다.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하는 제조업 강국의 현재와 미래를 알아보고자 한다. 독일은 이미 19세기 말에 전기·전자·장비 제조업의 강국이었다. 현재까지도 독일 경제 기반의 많은 부분이 제조업에서 나온다. 제조업과 유관된 산업도 많이 있다. 유엔공업개발기구에서 발표한 제조업 경쟁력 지수에서 독일, 중국, 대한민국,
▲추석을 맞아 인도를 방문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15일(인도 시간)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를 예방했다. 삼성전자 인도법인에 따르면 이 부회장은 이날 오후 인도 수도 뉴델리에서 모디 총리를 만나 50분간 대화를 나눴다. (삼성전자 제공) 2016.9.16/뉴스1 © News1 삼성전자가 인도에 197억 루피(약 3400억원)를 투자해 스마트폰 생산규모를 2배로 늘린다. 인도 공장 증설을 통해 스마트폰 생산규모를 2배로 늘려 서남아시아 수요 확대에 대비한다는 밑그림이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를 만난지 한달만의 투자 발표다. 삼성전자 인도법인은 17일 인도 우타르프라데시주 주도 러크나우에서 공장을 증설하는 내용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1996년 인도 우타르프라데시주 노이다에 공장을 설립하고 휴대전화, 냉장고, TV 등을 생산해왔다. 이번 증설로 현지 스마트폰 생산량은 6000만대에서 1억2000만대로 늘어난다. 노이다 공장에서는 주로 보급형 스마트폰인 J시리즈와 Z시리즈 등이 생산된다. 생활가전과 TV 생산설비도 확충될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노이다 외에 남부의 타밀나두 주 첸나이 공장과 카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