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의 ‘DA14533’ 블루투스 5.3 시스템온칩(System-on-Chip, SoC)을 공급한다고 2일 밝혔다. 첨단 전력 관리 기능을 갖춘 이 블루투스 SoC는 소용량 배터리로 구동되는 시스템의 통합을 간소화하고 전력소모를 줄이며 작동 수명을 늘릴 수 있다. 자동차 품질 인증을 획득한 DA14533 SoC는 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링 시스템(TPMS), 키리스 엔트리(keyless entry), 온보드 진단 시스템(OBD), 산업 자동화 및 텔레매틱스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마우저에서 구매할 수 있는 르네사스의 DA14533 SoC는 2.4GHz 송수신기와 Arm Cortex-M0+ 마이크로컨트롤러(MCU), 다양한 주변장치 및 최신 보안 기능을 비롯해 64kB RAM, 160kB ROM, 12kB OTP(one-time programmable) 메모리 등을 갖추고 있다. 또한 낮은 대기전류의 통합 벅 컨버터는 시스템 요구사항에 따라 출력 전압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슬립 벅 모드에서도 활성 상태를 유지한다. DA14533 SoC는 단 6개의 외부 부품을 필요로 하며 한 개의 외부 오실레이터(XTAL)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의 ‘RZ/V2N’ 임베디드 AI 마이크로프로세서(MPU)를 공급한다고 16일 밝혔다. 르네사스의 RZ/V2N MPU는 뛰어난 성능과 경제성을 겸비하고 있어 더 많은 사용자들이 비전 AI 기술을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다기능, 다용도로 활용 가능한 RZ/V2N MPU는 AI 카메라와 로밍 로봇(roaming robot), 애프터마켓용 대시보드 카메라를 비롯해 첨단 임베디드 프로세싱 기능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마우저에서 구매할 수 있는 르네사스 RZ/V2N MPU는 최대 10 TOPS/W의 전력 효율과 최대 15 TOPS의 AI 인터페이스 성능을 제공하는 독창적인 AI 가속기를 탑재하고 있다. 또한 이 MPU는 1.8GHz로 동작하는 쿼드코어 Arm Cortex-A55와 저전력 특성을 위해 200MHz로 동작하는 단일 Cortex-M33 코어, 그리고 옵션으로 제공되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 ISP)를 포함하고 있다. RZ/V2N MPU는 냉각 시스템을 추가로 사용할 필요가 없어 부품원가(bill of materials, BOM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의 ‘RRH47000’ CO₂ 센서 모듈을 공급한다고 4일 밝혔다. RRH47000은 고정밀, 단일 채널, 비분산 적외선 방식(non-dispersive infrared, NDIR) 센서 모듈이다. 이산화탄소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모니터링과 고품질 측정 기능을 통해 산업용 빌딩 제어, HVAC, 실내 공기 제어(IAQ), 스마트 시티, 공장, 가정용 기구류, 수요 기반 환기 제어(DCV), 공기 청정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및 IoT 애플리케이션 등에서 공기질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마우저에서 구매할 수 있는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의 RRH47000은 0ppm에서 5000ppm까지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자동 기준선 보정(automatic baseline calibration, ABC) 기능과 데이터 프로세싱 및 출력을 위한 MCU를 통합하고 있는 효율적인 설계가 특징이다. 단일 채널 NDIR CO₂ 센서를 비롯해 ±3.5%에 이르는 뛰어난 정확도의 상대 습도(relative humidity, RH) 감도 기능을 갖춘 습도 및 온도 센서를 결합하고 있다. 또한 RRH47000은 -10°C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이이디자인잇(eeDesignIt)이 주관하는 독창적인 설계 경연대회인 ‘서킷 쇼다운(Circuit Showdown)’ 디자인 콘테스트를 후원한다고 1일 밝혔다. 이 콘테스트는 전기 및 기계공학 전공 대학생 3명이 설계 대결을 펼치는 대회다. 학생들은 총 4개의 에피소드를 통해 테마별 설계 프로젝트를 완성하는 도전을 펼쳤다. 이번 대회에는 텍사스 주립대학교의 찰스 모랄레스, 프레이리 뷰 A&M 대학교의 마이클 비달레스, 그리고 라이스 대학교의 르네 브리신스키 학생이 참여했다. 레이먼드 인 마우저 일렉트로닉스 기술 콘텐츠 디렉터는 “이 대회는 참가한 공학도들이 자신들의 재능을 제대로 선보일 수 있도록 기획됐다”며 “현직 엔지니어라면 누구나 알고 있듯이 아무리 잘 계획된 프로젝트라 하더라도 예상치 못한 기술적 장애물에 갑작스럽게 직면할 수 있다. 이번 대회는 설계에 대해 신속한 결정을 내려야 하는 학생들의 문제 해결 능력을 실시간으로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번 대회에서 설계에 사용된 부품들은 아두이노와 키사이트 테크놀로지스, 몰렉스,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 및 비쉐이를 비롯해 마우저의 제조사 파트너로부터 제공됐다. 레이몬드 인 디렉터는
마우저 일렉트로닉스(이하 마우저)는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이하 르네사스)의 R9A02G021 저전력 마이크로컨트롤러(MCU)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R9A02G021은 르네사스가 자체 개발한 혁신적인 RISC-V 프로세서 코어를 기반으로 구현된 범용 32비트 MCU 제품군으로, IoT 센서와 소비가전 기기, 의료기기, 소형 가전 및 산업용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최종 시장을 지원하기 위해 설계됐으며, 오픈소스 ISA를 이용해 전력 및 비용 효율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는 다용도 플랫폼을 제공한다. 르네사스는 R9A02G021을 통해 비용에 민감한 광범위한 고성능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는 명확하고, 안정적인 IP 마이그레이션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설계자가 독자적 아키텍처에 대한 우려 없이 대량생산 시장에 신속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해준다. 마우저에서 구매할 수 있는 R9A02G021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최대 48MHz의 실행 속도와 메가헤르츠(MHz)당 3.27 코어마크 성능을 제공하는 단일 32비트 프로세서 코어를 갖춘 초저전력 MCU이다. 특히 저전력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설계된 R9A02G021 MCU 제품군은 4µS 웨이크업 시간으로 소프트웨어 대
[헬로티]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Renesas Electronics)의 RA4M2 마이크로컨트롤러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출처 : 마우저 일렉트로닉스 마우저에서 제공하는 르네사스 RA4M2 마이크로컨트롤러는 Arm TrustZone 기술과 르네사스의 Secure Crypto Engine, Arm8-M 아키텍처가 기반인 고성능 100MHz Arm Cortex-M33 코어를 바탕으로 설계됐다. Secure Crypto Engine은 다수의 대칭 및 비대칭 암호화 가속기, 향상된 키 관리, 보안 수명주기 관리, 전력 분석 저항 및 변조 감지 기능을 통합한다. RA4M2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액티브 모드에서 80 µA/MHz의 작동 전류, 0.7 mA의 낮은 대기 전류, 스탠바이 모드에서 30µs의 매우 빠른 웨이크업 시간을 제공한다고 마우저는 밝혔다. 작동 주파수가 최대 100MHz인 RA4M2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산업용 및 IoT 에지 장치와 같은 고성능, 저전력 애플리케이션은 물론 계량, HVAC 및 강화된 구내 보안에도 이상적이다. 해당 마이크로컨트롤러는 르네사스의 FSP(플렉시블 소프트웨어 패키지)에서 지원을 받을 수
맥심 인터그레이티드는 일본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에서 개최하는 파트너십 프로그램인 ‘R-Car 컨소시엄’에 참여하여 자동차 시장을 더욱 적극적으로 공략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자동차 산업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최첨단 자동차 시스템 구현을 위해 프로세서 중심의 디지털 반도체와 에코시스템 내부를 구성하는 고성능 아날로그 반도체의 협력이 보다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차랑 내 전자장치의 주요 동향에 맞춰 맥심 인터그레이티드는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광범위한 포트폴리오 아날로그 IC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왔다. 이는 LED 전조등, 소프트웨어 정의 라디오(SDR), 기가비트 멀티미디어 직렬 링크(GMSL) 솔루션, 배터리 관리 IC, 전력 관리 IC 등을 포함하고 있다. 맥심의 자동차용 IC는 수많은 세계 주요 자동차 제조사와 자동차 부품 업체에 공급되고 있다. 미국의 시장조사기관인 IC 인사이츠(IC Insights)가 2014년에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자동차 반도체 시장은 2013년에서 2018년까지 연평균 10.8%의 성장률을 보이면서, 통신반도체의 6.8%, 산업 및 의료 장비용 IC의 5.7%보다 빠른 속도의 성장을 이룰 것으로 예측
맥심 인터그레이티드는 일본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에서 개최하는 파트너십 프로그램 “R-Car 컨소시엄”에 참여하여 자동차 시장을 더욱 적극적으로 공략할 것이라고 밝혔다. 자동차 산업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최첨단 자동차 시스템 구현을 위해 프로세서 중심의 디지털 반도체와 에코시스템 내부를 구성하는 고성능 아날로그 반도체의 협력이 보다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차랑 내 전자장치의 주요 동향에 맞춰 맥심 인터그레이티드는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광범위한 포트폴리오 아날로그 IC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왔다. 이는 LED 전조등, 소프트웨어 정의 라디오(SDR), 기가비트 멀티미디어 직렬 링크(GMSL) 솔루션, 배터리 관리 IC, 전력 관리 IC 등을 포함한다. 맥심의 자동차용 IC는 수많은 세계 주요 자동차 제조사와 자동차 부품 업체에 공급되고 있다. 미국의 시장조사기관인 IC 인사이츠(IC Insights)가 2014년에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자동차 반도체 시장은 2013년에서 2018년까지 연평균 10.8%의 성장률로, 통신반도체의 6.8%, 산업 및 의료 장비용 IC의 5.7%보다 빠른 속도의 성장을 이룰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성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