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루션 및 서비스 공동 개발 비롯해 양사 보유 기술 기반 SI 프로젝트 협력 등 진행 딥핑소스와시즐이 손을 잡았다. 양사는 3월 24일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딥핑소스 본사에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스마트 리테일과 스마트팩토리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디지털 산업 생태계 조성을 예고했다. 이번 협약의 주요 내용은 솔루션 및 서비스 공동 개발을 비롯해 양사 보유 기술 기반의 SI 프로젝트 협력, 파트너 및 고객사 네트워크 공유, 신규 사업 발굴을 위한 공동 타당성 검토 등이다. 양사는 이를 기반으로 2025년을 기점으로 새로운 시장 기회를 창출할 계획이다. 딥핑소스는 매장 내 고객의 동선과 행동 패턴, 관심 상품을 실시간 분석하는 AI 리테일테크 기업으로, 자체 개발한 '플러스 인사이트(PLUS INSIGHT)' 솔루션을 통해 개인정보를 침해하지 않는 방식의 AI 기반 영상 분석 기술을 선보이고 있다. 롯데월드, CU 등과의 협업 경험을 기반으로 일본과 북미 시장까지 진출 범위를 넓히고 있다. 시즐은 제조 공정 최적화를 위한 자체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기반 솔루션을 제공하는 스마트팩토리 전문기업이다. 제조 설
일본·북미 시장 성장 가속화, 오프라인 상권 전반으로 AI 솔루션 확대 등 추진 예정 딥핑소스가 국내외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며 2025년 사업 확장에 박차를 가한다. 특히 매장 내 고객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도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기술력으로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딥핑소스는 2024년 스타트업 페어 '넥스트라이즈 2024'에서 '탑 이노베이터상'을 수상했다. 수상작인 '플러스인사이트(PlusInsight)'는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 없이 매장 내 동선과 재고를 실시간 분석하는 혁신적인 보안 아키텍처를 구현해 높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국내 대표 편의점 브랜드 CU와 AI 기반 무인화 기술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국내 리테일 시장에서도 주목받았다. 해외 시장에서의 성과도 돋보인다. 2024년 전체 매출의 50% 이상을 일본에서 달성했으며, 유통·엔터테인먼트·전시 등 다양한 산업군으로 영역을 확장했다. 북미시장에서도 리테일 매장의 인력난 해소를 위한 자동화 솔루션을 성공적으로 공급하며, 2025년에는 일본을 넘어서는 매출 성장이 기대된다. 김태훈 딥핑소스 대표는 "2025년에는 일본과 북미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는 동시에, 비용 효율성
딥핑소스가 BGF리테일과 AI 기술 도입을 통한 스마트 편의점 구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딥핑소스 김태훈 대표와 BGF리테일 신종하 경영기획실장을 비롯한 양사 실무진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으로 딥핑소스는 자사의 AI 영상 분석 기술을 CU 편의점에 적용해 실시간 점포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게 된다. 기존 CCTV를 활용한 'AI 매장케어링 솔루션'은 상품 결품, 청결도, 집기 상태 등을 자동으로 파악하고 근무자에게 실시간 알림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점포 관리자는 매장 전체를 수시로 돌아보지 않아도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해진다. 딥핑소스는 자사의 고유 AI 솔루션을 CU 편의점에 도입한다. 이는 업계 최초로 적용되는 익명화 기반 AI 매장 관리 솔루션으로, 고객 동선과 체류 시간 등을 분석해 상품 진열 최적화 및 재고 관리 효율화를 지원한다. 딥핑소스 김태훈 대표는 "당사의 핵심 '플러스 인사이트'를 약 1년간의 사전 테스트를 거쳐 검증했으며, 이 기술이 CU 편의점의 매출 향상과 고객 서비스 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딥핑소스의 기술은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화된 데이터만을 활용하여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를 해소했다
aix, 딥핑소스 AI 기술로 고객 서비스 및 운영 효율성 개선 나서 딥핑소스가 일본 마케팅 솔루션 회사 aix와의 업무 제휴를 통해 일본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다. 딥핑소스는 고객 행동 및 매장 상황의 AI 분석을 통한 데이터 기반의 효율적인 매장 운영과 판매 촉진을 지원하는 '매장케어링 솔루션'을 제공한다. 매장케어링 솔루션은 매장 운영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신속하게 처리해 고객에게 최상의 쇼핑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매장케어링 솔루션은 AI가 매대를 실시간으로 확인해 빈 매대, 진열 흐트러짐, 매장 내 정돈이 필요한 구역 등이 발견되면 관련 인원에게 빠르게 전달해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하도록 도와줘 쾌적하고 매력적인 매장 환경 조성을 지원한다. aix는 일본을 대표하는 AI 마케팅 회사로, 해외 스타트업의 일본 시장 진출 성공을 위해 데이터 기반 장기 그로스 마케팅 업무를 협력한다. 최근 영국 '비즈니스 오브 앱'이 발표한 AI 마케팅 분야에서도 탑 5에 선정된 바 있다. 이번 제휴를 통해 딥핑소스는 aix의 현지 네트워크를 활용해 매장케어링 솔루션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판매할 예정이다. aix는 딥핑소스의 AI 기술을 통해 일본 소매
쾌적한 매장 환경 조성과 오프라인 매장 운영 효율화 지원 딥핑소스가 AI 기술로 실시간 매장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매장 케어링 솔루션'을 출시했다. 딥핑소스는 개인정보 침해 없이 실시간 오프라인 매장의 AI 분석이 가능한 원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고객 행동 데이터를 웹 대시보드 형태로 보여주는 자사 제품인 '플러스 인사이트(PLUS INSIGHT)'로 매출 증대를 위한 효과적인 매장 운영 인사이트를 제공해왔다. 딥핑소스의 매장 케어링 솔루션은 기존 플러스 인사이트의 기능을 비롯해 쾌적한 매장 환경 조성과 오프라인 매장 운영 효율화를 지원한다. AI가 매출, 고객 방문 수, 평균 체류 시간 등을 분석해 매장 운영 현황을 파악하도록 지원해 데이터 기반 의사 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일례로 AI가 매대를 실시간으로 감시해 제품 부족 및 진열 흐트러짐을 알려줘 효율적인 재고 관리 및 매력적인 매장 환경 조성을 지원한다. 또한, AI가 매장 내 사람 이동 및 혼잡도를 분석해 최적의 정돈 방법을 제안해 고객 흐름을 최적화하고 매출 증가에 기여한다. 딥핑소스 김태훈 대표는 "매장 케어링 솔루션을 통해 비용 및 인력 부족으로 인해 관리가 어려웠던 소상공인의 매장 운영의
NUC, 소형 폼팩터 PC와 컴퓨트 엘리먼트 포함하는 인텔 제품군으로 두각 인텔코리아는 16일(금) 인텔 NUC(Next Unit of Computing) 신제품 국내 출시 및 인텔 NUC 기반 솔루션 발표 기자 간담회를 개최했다. 인텔코리아는 본 행사에서 인텔 NUC 13 익스트림(코드명 랩터 캐년) 제품을 소개하고, 국내 AI 기반 영상처리 스타트업인 딥핑소스의 솔루션을 소개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날 발표를 맡은 이주석 인텔코리아 부사장은 올해가 인텔 NUC 출시 10주년을 맞이하는 해라고 소개하며, 현재까지 1000만 대의 NUC가 판매됐다고 소개했다. 이주석 부사장은 인텔 NUC 제품에 대한 개괄적인 소개를 진행했다. 이주석 부사장은 "NUC는 데스크탑의 성능을 기반으로 이동성을 갖춘 새로운 폼팩터다. NUC는 인텔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다양한 영역에 적용되는 솔루션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NUC는 혁신을 주도할 수 있는 제품이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인텔 NUC의 강점은 재활용 플라스틱을 활용한 친환경 제품으로서 소비자가 원하는 메모리, 스토리지, 그래픽 등을 선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게임부터 홈시어터, 비즈니스 등에 이르기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