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상반기 디도스 공격 건수 전년 대비 46% ↑ 디도스 공격 분야는 게임, 기술, 금융 서비스, 통신 순으로 나타나 새로운 표적으로 떠오른 이커머스와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지코어가 2024년 상반기 디도스 공격 동향을 분석한 ‘지코어 레이더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매년 두 차례 발행해, 지코어 전 세계 네트워크에서 탐지된 디도스 공격 현황을 분석한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디도스 공격 건수는 83만 건으로 2023년 동기 대비 46% 늘었다. 초당 최대 공격력도 2023년 상반기 800 Gbps 및 하반기 1.6 Tbps에서 2024년 상반기 1.7 Tbps로, 단위가 Gbps에서 Tbps로 증가했다. 전체 디도스 공격 형태 중 61%가 UDP 플러드였고, TCP 플러드와 SYN 플러드는 각각 18%와 11%로 나타났다. 비즈니스별 디도스 공격 빈도는 게임(49%), 기술(15%), 금융 서비스(12%), 통신(10%)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작년 하반기 통계에 이어 게임 분야에 대한 공격 빈도가 가장 높았지만, 지난 2분기 동안 가장 큰 변화를 보인 분야는 15% 증가를 보인 기술 분야였다. 더불어 이번 집계에서
글로벌 퍼블릭 클라우드 및 엣지 컴퓨팅 기업 지코어코리아가 디도스(DDoS) 공격 추적을 위한 내부 분석 결과를 발표하는 '지코어 레이더 리포트'를 발간했다고 25일 밝혔다. 지코어 레이더 리포트는 2023년 3·4분기 디도스 공격 트렌드와 2024년 강력한 디도스 방어 전략을 수립하는 방법을 담고 있다. 리포트에 따르면 디도스 공격 트렌드의 주요 핵심은 ▲전례 없는 공격력 ▲최대 9시간의 공격 지속 시간 ▲사이버 공격 발원지의 글로벌 확산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게임, 금융, 통신, 서비스형 인프라(Iaas)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디도스 공격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디도스 공격 동향은 사이버 위협의 규모와 정교함이 놀라울 정도로 진화했음을 보여준다. 지난 3년간 디도스 피크(최대치) 공격 량은 매년 100% 이상 증가해 2023년 1·2분기 800Gbps, 3·4분기에는 1600Gbps(1.6Tbps)로 급증했다. 사이버 보안 업계가 새로운 단위인 테라비트로 디도스 공격을 측정하고 있다는 점은 3·4분기에 디도스 공격이 급증한 것을 의미한다. 지코어는 이러한 추세가 2024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가장 일반적인 디도스 공격 형태는 UDP
해킹메일 및 디도스 공격, 웹취약점 점검 등으로 훈련 분야 확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침해사고 예방 및 임직원 보안인식 제고를 위한 '사이버 시큐리티 훈련 플랫폼'을 28일 부터 제공한다고 밝혔다. KISA는 기업의 사이버침해 대응능력을 점검하기 위한 정기 모의훈련을 매년 진행하고 있으며, 기업 참여율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KISA는 지난해 '해킹메일 모의훈련 플랫폼'을 신규 서비스로 제공하는 등 사이버 보안 역량 강화에 힘쓰고 있다. 참여 기업은 훈련메일 유형을 선택하거나 직접 제작할 수 있으며, 2회 이상 훈련에 참여한 기업의 경우 처음보다 최대 12%까지 감염률이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올해부터 KISA는 훈련 범위를 확대해 해킹메일 뿐만 아니라, 최대 2Gbps 공격 트래픽 발송이 가능한 디도스 공격에 따른 모의훈련을 제공하고, 보안 취약점 자동 점검 기능으로 웹 취약점 점검도 지원하는 '사이버 시큐리티 훈련 플랫폼'을 제공한다. 기업은 해당 플랫폼을 통해 자사 환경이나 일정에 맞춰 훈련 대상과 내용, 공격 규모, 훈련 시간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훈련을 수행할 수 있으며 훈련한 대응
확장성·효율성·안정성 뛰어난 서비스형 플랫폼(PaaS) 통해 개발과 제품 출시 소요 시간 단축 알리바바그룹의 디지털 기술 및 인텔리전스 중추 알리바바 클라우드가 자사의 첫 블록체인 노드 서비스 로드맵을 20일 발표했다. 알리바바 클라우드의 '블록체인 노드 서비스'는 웹3.0 생태계의 성장을 지원하고 확장성·효율성·안전성을 갖춘 알리바바 클라우드의 인프라를 기반으로 개발자를 위해 사용자 친화적이고 몰입감 있는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알리바바 클라우드의 차세대 서비스형 플랫폼(PaaS)은 개발·배포에 소요되는 운영, 유지보수 시간을 단축한다. 확장 가능한 고성능 인프라를 활용한 노드 호스팅 서비스는 노드를 능동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문제 발생 시 자동으로 노드를 전환한다. 모니터링과 문제 해결에 인력이 소요되지 않기에 개발자는 더욱 개발에 집중할 수 있으며 제품 출시 속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블록체인 노드 서비스는 알리바바 클라우드가 보유한 세계적 수준의 보안 및 컴플라이언스 역량을 통해 노드에 대한 무단 액세스를 방지할 수 있는 보안 기능을 제공한다. 노드는 클라우드 방화벽 뒤에 배치되며 검증된 사용자와 시스템만이 클라이언트 엔드포인트와 통신할 수 있
시스코, 보안 성과 연구 보고서 발표 시스코 시스템즈가 '보안 성과 연구 보고서 3: 사이버보안 회복탄력성(Security Outcomes Report, Volume 3: Achieving Security Resilience)'을 8일 발표했다. 전 세계 26개국 내 보안 및 정보보호 전문가 47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발간된 이번 보고서는 문화적, 환경적 그리고 솔루션 기반의 요소를 중심으로 사이버보안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7가지 성공 요인을 파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기업들은 급변하는 위협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사이버보안 회복탄력성을 최우선 과제로 꼽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에 참여한 국내 기업 중 41%가 지난 2년간 기업에 영향을 미친 보안 사건을 겪은 적이 있다고 답하며, 회복탄력성이 가장 중요한 과제로 부상했다. 사고 유형으로는 디도스 공격(59%), 네트워크 및 데이터 침해(49.2%), 네트워크 및 시스템 중단(44.3%), 랜섬웨어(39.3%) 순으로 많았다. 이러한 보안 사고는 기업의 생태계와 유관 기업들에게 심각한 결과를 초래했다. 대표적인 피해로는 IT 및 통신 중단, 경쟁 우위 상실, 공급망 중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