큐냅 코리아가 지난 9일 서울 용산에서 개최한 테크데이 2025를 성황리에 마쳤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공식 총판 리버네트워크와 에스씨지솔루션즈를 비롯한 리셀러, 채널 세일즈 담당자 총 150명이 자리해 큐냅의 최신 기술 트렌드와 비즈니스 전략을 공유하는 자리였다. 아울러 2025년 하반기 신제품과 차세대 고가용성·백업 솔루션에 대한 명확한 로드맵이 제시됐다. 행사는 컴퓨텍스(COMPUTEX) 기간에 개최된 QNAP 테크 서밋 2025의 핵심 기술과 신제품을 파트너에게 전달하기 위해 기획됐다. QNAP은 고가용성 스토리지, AI 기반 워크플로, 영상 제작 환경 등 산업별 수요에 맞춘 솔루션을 3가지 컨셉으로 소개하며 엔터프라이즈와 SMB 시장을 겨냥한 성장 전략을 강조했다. 현장에 마련된 세 가지 체험 부스(HA·Thunderbolt·Smart Backup)는 각 주제에 맞는 체험 데모존으로 구성돼 참관객의 기술적 이해를 도왔다. ‘HA 부스’에서는 2025년 4분기 출시 예정인 장비 이중화 솔루션을 실시간 시연했다. NAS 두 대를 논리적으로 하나로 묶어 운용해 디스크·전원·메인보드 등 물리적 장애가 발생하면 스탠바이 장비가 평균 1분 내외로 서비스를 인
보안 위협이 점점 더 정교해지고 환경 또한 지속적으로 변화함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국제 사이버보안 규정 역시 계속해서 진화하고 있다. 특히 IoT(사물인터넷) 디바이스에 내장된 구형 펌웨어가 심각한 보안 취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이 주요 위협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는 기존 TrustMANAGER 플랫폼을 한층 강화해 보안 코드 서명, 펌웨어 무선 업데이트(FOTA,Firmware Over-the-Air) 및 배포, 펌웨어 이미지·암호화 키·디지털 인증서의 원격 관리 등 새로운 기능을 추가했다. 이러한 신규 기능들은 유럽연합(EU) 내에서 판매되는 디지털 제품에 강력한 사이버보안 조치를 의무화하는 유럽 사이버 복원력법(CRA, Cyber Resilience Act) 준수를 지원한다. CRA는 소비자용 IoT 사이버보안 기준인 유럽전기통신표준협회(ETSI) EN 303 645와 산업 자동화 및 제어 시스템 보안에 관한 국제자동화협회(ISA)/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62443 표준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마이크로칩의 ECC608 TrustMANAGER 솔루션은 쿠델스키(Kudelski) IoT의 keyST
HS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이 히타치 밴타라의 고성능 인프라와 데이터 보호 및 랜섬웨어 복구 분야 글로벌 선도 기업 빔 소프트웨어의 기술을 결합한 차세대 통합 백업 어플라이언스 ‘HVA(Hitachi Veeam Appliance)’를 출시했다. 최근 사이버 공격이 지능화되면서 데이터 침해 사고가 급증하고 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의 ‘2024년 하반기 사이버 위협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2년간 침해사고 신고 건수는 전년 대비 약 48% 증가했다. 특히 랜섬웨어 감염으로 인한 중견·중소기업의 피해가 전체의 94%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데이터 보안과 복구 체계 구축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HVA 백업 어플라이언스는 3단계 입체적 보안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랜섬웨어 위협을 원천 차단한다. 먼저 백업 소프트웨어 단계에서 빔의 기술로 악성코드를 탐지하고, 히타치 밴타라의 VSP 블록 및 파일 스토리지의 변경불가(immutable) 스냅샷 기능을 통해 하드웨어 기반 보안을 강화한다. 이어 오브젝트 스토리지 ‘HCP(Hitachi Content Platform)’의 S3 Object Lock 기능을 적용해 소산 백업 및 재해복구(DR) 환경에서도 데이
노르마가 분당서울대병원 의생명연구원과 양자 알고리즘으로 유전체 분석 성능을 개선하는 연구에 돌입했다. 노르마는 22일 분당서울대병원에서 업무협약을 맺고 양자 기술을 유전체 분석 연구에 적용해 헬스케어 산업을 혁신하는데 뜻을 모았다. 양 사는 구체적으로 헬스케어 분야 양자컴퓨팅 공동 기술 개발 및 상용화, 임상 데이터 기반 의료 기술 개선 및 의료 데이터 보호를 위한 공동 연구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양 사는 이번 MOU를 통해 ‘양자 알고리즘 적용을 통한 유전체 분석 성능 개선 공동 연구’에 본격 착수한다. 이 연구는 양자 알고리즘을 활용해 방대한 유전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석하고 특정 유전자 변이를 신속하게 식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유전체 데이터는 수십억 개의 염기쌍으로 이뤄져 있으며 기존 계산 방법을 사용하면 처리 속도의 한계로 인해 연구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양자 컴퓨터와 양자 알고리즘을 활용한 분석 기법을 도입해 복잡한 유전체 데이터 패턴을 빠르고 정확하게 탐지, 분석 성능을 개선한다. 특히 유전자 변이 탐색과 같은 조합 최적화 문제에서 속도와 정확도 측면에서 양자 우위를 보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책임자인 분당서
아크테라가 법무법인 린과 손을 잡고 국내 주요 분야 기업들을 위한 데이터 컴플라이언스 사업을 본격적으로 전개한다. 아크테라는 법무법인 린과 최근 데이터 컴플라이언스 및 거버넌스 사업을 공동 전개하기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아크테라는 지난해 12월 미국의 데이터 관리 솔루션 기업 베리타스(VERITAS)로부터 데이터 컴플라이언스, 데이터 레질리언스, 데이터 보호 등의 3개 비즈니스 사업부가 분리해 독립한 법인이다. 현재 전 세계 30여 개국에서 약 1500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는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관리 분야의 글로벌 기업이다. 법무법인 린은 ‘2024 로펌 컨슈머 리포트’에서 최고의 로펌 8위, ‘2024-2025 국가산업대상’ 법률서비스부문 대상 수상 등을 기록한 국내 법무법인이다. 현재 약 150여명의 변호사와 전문가들이 금융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기업자문, 경영권분쟁, M&A, 국제통상, ESG 및 컴플라이언스, 입법지원 등의 전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MOU를 계기로 아크테라와 법무법인 린은 데이터 컴플라이언스, 검색, 보호 가능에 특화된 ‘법률자문-정보관리 통합 솔루션’을 금융권을 포함한 다양한
모라이가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이하 AWS)의 ‘AWS 파트너 소프트웨어 패스(AWS Partner Software Path)’ 인증을 획득했다고 6일 밝혔다. 모라이는 AWS 파트너 네트워크(APN, AWS Partner Network)의 기술 검증 절차인 AWS FTR(Foundational Technical Review)을 통과하며 AWS 파트너 소프트웨어 패스를 취득했다. AWS 파트너 패스는 솔루션 구축, 교육, 컨설팅, 전문 서비스 제공 등 모든 분야에서 AWS와의 파트너십을 가속화하고 비즈니스 성장을 지원하는 프레임워크다. AWS의 기술적 기준을 충족하는지 검증하는 AWS FTR은 AWS 파트너사가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솔루션이 AWS 환경에서 보안(Security), 안정성(Reliability), 운영 우수성(Operational Excellence)을 충족하는지 검토하는 절차다. AWS의 모범 사례에 따라 데이터 보호, 비용 최적화, 서비스 가용성, 성능 안정성 등 다양한 요소를 평가하며 이를 통과한 솔루션만이 AWS 공식 인증을받을 수 있다. 모라이는 이번 인증을 통해 자사의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코오롱베니트가 글로벌 데이터 보호 기업 코헤시티(Cohesity)와 베리타스(Veritas)의 합병을 계기로 국내 AI 기반 데이터 보안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코오롱베니트는 2020년부터 베리타스 국내 총판을 맡아왔으며, 이번 합병으로 AI 기반 데이터 보호 솔루션을 추가로 확보했다. 기존 베리타스의 데이터 보호 제품군과 코헤시티 AI 기반 보안 및 분석 기술을 합쳐 보다 정밀한 데이터 보호 및 자동화된 보안 대응 역량을 제공한다. 이번 합병으로 ‘넷백업(NetBackup)’, ‘알타(Alta)’, ‘DataProtect(백업·복구)’, ‘DataHawk(침해 감지)’, ‘Gaia(AI 검색 도우미)’ 등 솔루션으로 데이터 보호 및 사이버 복원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기존 베리타스 일부 사업 부문은 별도 기업 아크테라(Arctera)로 분사됐다. 코오롱베니트는 제조·금융·유통·공공기관 등 다양한 산업군을 대상으로 맞춤형 AI 기반 데이터 보호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기존 고객 기술 지원과 업그레이드를 지속하면서 AI 기반 보안 기능을 결합한 새로운 서비스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손동일 코오롱베니트 이사는 “AI 기반 데이터 보호 솔루션은 데이터 보안,
디지서트는 제임스 쿡 아시아태평양(APAC) 지역 그룹 부사장(VP), 폴 홀트 유럽·중동·아프리카(EMEA) 지역 그룹 부사장(VP)을 임명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인사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해당 지역에서 디지털 신뢰와 회복탄력성에 대한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쿡 부사장과 홀트 부사장은 각 지역의 팀을 이끌며 고객 참여 강화, 파트너십 구축 및 디지털 신뢰 분야 글로벌 선도 기업으로서 디지서트의 성장 전략 실행을 담당한다. 이번 인사는 전 세계 기업이 점점 복잡해지는 디지털 환경에서 안전한 통신, 데이터 보호, 회복탄력성 강화를 위한 방안 마련에 집중하는 흐름을 반영했다. 데이브 패커 디지서트 CRO는 “디지털 신뢰는 기업이 보안 태세에 대한 높은 수준의 신뢰를 가질 수 있도록 돕는 핵심 인프라로 자리매김했다”며 “신뢰 및 회복탄력성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 가운데, 새롭게 선임된 경영진이 폭넓은 영업 리더십 경험과 검증된 역량을 기반으로 아태와 유럽·중동·아프리카 지역에서 디지서트의 성장을 이끌어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엔트러스트에서 아태 지역 영업 부사장과 호주/뉴질랜드 지역 영업 이사를 역임한 쿡 부사장은 지역에서 영
시놀로지는 엔터프라이즈 백업 소프트웨어, 서버 및 백업 스토리지를 통합한 새로운 데이터 보호 어플라이언스 라인인 ‘ActiveProtect’를 출시했다고 8일 밝혔다. 복잡한 데이터 보호를 간소화하도록 설계된 ActiveProtect는 포괄적인 플랫폼 지원, 고급 보안 및 확장성을 제공한다. 지아유 류 시놀로지 상무는 “데이터 보호는 비즈니스에 부담이 아닌 힘을 실어줘야 하는 것”이라며 “ActiveProtect는 시놀로지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전문성과 고객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얻은 통찰력을 구현한다”고 말했다. ActiveProtect 어플라이언스는 백업, 복구 및 관리를 단일 어플라이언스에 결합해 별도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사이징 (Sizing), 구매 및 유지 관리가 필요하지 않다. 단일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PC, Mac, 파일 및 물리적 서버, 가상 컴퓨터, 데이터베이스 및 마이크로소프트 365 서비스를 보호한다. ActiveProtect Manager(APM) 콘솔은 최대 15만 개의 워크로드 또는 2500개의 사이트를 보기 및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지원해 확장성, 엔터프라이즈급 데이터 가시성 및 제어를 제공한다. 또한
카스퍼스키가 연례 보고서 ‘Kaspersky Security Bulletin’에서 내년 IT 공급망 위험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분석에서는 올해 발생한 크라우드스트라이크 업데이트 오류 및 리눅스XZ 유틸(Linux XZ Utils) 백도어 사건 등 주요 공급망 보안 사고를 기반으로, 내년 IT 분야에서 일어날 수 있는 5가지 주요 위험 상황을 소개했다. 보고서는 ‘대형 AI 기업의 서비스 중단’, ‘AI 도구의 보안 취약점 위험’, ‘위성 통신망의 서비스 장애 위험성’, ‘인터넷의 물리적 기반 시설 위험’, ‘윈도우와 리눅스 운영체제의 취약점 노출’을 주요 위험으로 꼽았다. 카스퍼스키는 최근 기업이 AI 서비스에 크게 의존하면서 OpenAI나 Meta 같은 대형 AI 기업의 서비스 중단이나 데이터 유출 시 기업 활동에 마비가 올 수 있다 경고했다. 또한 ‘오퍼레이션 트라이앵귤레이션(Operation Triangulation)’ 캠페인 사례 연구를 들어 AI 칩의 취약점이 대규모 공격 통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항공사와 선박이 위성 인터넷에 점점 더 많이 의존하면서 위성 서비스 장애가 광범위한 통신 두절을 일으킬 수 있다고 분석했다. 더불어 전 세계
델 테크놀로지스는 멀티클라우드 환경에서 AI 도입을 간소화하고 까다로운 워크로드를 안정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마이크로소프트(MS)와의 협력을 강화한다고 21일 밝혔다. 양사는 데이터 보호, 사이버 회복력 및 보안 기능을 고도화해 고객들이 사이버 보안 태세를 향상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위해 델 테크놀로지스는 자사의 AI 에코시스템 파트너인 마이크로소프트와 협업 개발한 솔루션 및 서비스를 통해 ‘델 AI 팩토리(Dell AI Factory)’ 포트폴리오를 확대한다. 델의 매니지드 서비스인 ‘마이크소프트 애저를 위한 델 에이펙스 파일 스토리지’는 NAS 솔루션인 ‘델 파워스케일’의 엔터프라이즈급 성능, 확장성 및 데이터 서비스 기능을 사용go 멀티 클라우드 환경에서 AI 워크로드의 요구 사항을 손쉽게 충족하게끔 돕는다. 델 테크놀로지스는 또한 AI 도입을 간소화하고 맞춤형 AI 솔루션을 구축할 수 있도록 돕는 신규 서비스를 함께 공개했다. ‘코파일럿+ PC를 위한 액셀러레이터 서비스’는 새로운 기능, 구현 계획, 모범 사례 등에 대한 전문가 가이드를 통해 코파일럿+ PC로 생산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공한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 스튜디오
S2W가 자사 AI 플랫폼 SAIP에 시큐리티 가드레일을 구현하면서 AI 안전성을 강화해 안정적인 데이터 운용 환경을 제공한다. SAIP는 고객의 보안 요구 수준에 맞춘 제로 트러스트 기반 설계로 구현한 기업 맞춤 생성형 AI 플랫폼이다. 해당 플랫폼은 기업 도메인에 특화된 대규모 언어 모델(LLM) 및 지식그래프 기술을 접목하고, 산업 특성과 사용 목적을 고려해 사용자 질문에 사실 기반 답변과 데이터를 제공한다. 조직은 LLM의 활용으로 데이터 운용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한편 데이터 유출과 악의적 조작의 우려도 함께 커졌다. 생성형 AI 도입으로 발생하는 보안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방어하는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S2W는 SAIP에 시큐리티 가드레일을 적용해 기업 내부 데이터 보호 및 보안 위협 대응에 강화된 기능을 선보였다. 시큐리티 가드레일은 LLM의 개발·배포·운영 과정에서 보안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방어 체계다. 이를 플랫폼 안에 구현해 AI 모델 학습에 사용되는 데이터 세트를 검토하고 민감 정보를 제거하는 검증과 정제 과정을 거쳐, 정보 유출 위험을 최소화하고 데이터 프라이버시를 강화했다. 더불어 AI 모델이 주어진 프롬프트에
베리타스 테크놀로지스가 사이버 장애 상황의 사전 진단·대비·복구·사후 관리까지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사이버 레질리언스 컨설팅 서비스’를 출시했다. 사이버 레질리언스 컨설팅 서비스는 랜섬웨어, 해킹 등 사이버 문제 상황을 사전에 진단해 대비하고, 장애 발생 시 신속하게 데이터를 복구해 비즈니스를 정상화하도록 도와주는 전문 컨설팅 서비스다. 이 서비스는 데이터 관리 상황을 확인하고 모니터링하는 진단 서비스와 데이터를 복구하고 추후 상황을 대비하는 복구 지원 서비스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이 서비스는 사후 단계보다 진단 단계에 초점을 맞췄다. 이에 기업 데이터 및 백업 환경에 대한 진단과 실제 사이버 공격 발생 시 대응 방안과 사례를 포함한 모의 훈련이 가능하도록 플레이북을 제공한다. 더불어 복구 지원 서비스는 백업 데이터 오염 여부까지 점검한다. 사이버 공격 발생 이후에도 ‘이상 징후 모니터링 및 악성코드 스캔 진행’, ‘백업 정책 검토 및 개선’, ‘암호화 및 네트워크 분할 구현’, ‘접근 통제 강화를 위한 다중 인증 및 다중 관계자 인증 도입’ 등 사이버 레질리언스 최적화를 위한 포괄적인 컨설팅으로 기업이 안전하게 자산을 보호 및 복구하도록 돕는다. 이상훈
HS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이 이달 19일 본사에서 히타치 밴타라, 레드햇, 빔(Veeam)과 함께 클라우드 네이티브 인프라를 위한 ‘쿠버네티스 판타스틱4’ 행사를 개최한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인프라에 필요한 스토리지, PaaS 어플라이언스, 데이터 보호, 쿠버네티스 관련 글로벌 선도 업체들이 모여 쿠버네티스 환경에서 인프라를 더욱 빠르고 안정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최적의 솔루션과 전략을 소개한다. 레드햇은 이번 행사에서 새로운 가상화 플랫폼 OpenShift Virtualization 소개 세션을 통해 단일 플랫폼에서 가상머신과 컨테이너를 모두 클라우드 네이티브로 다룰 수 있는 통합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전략을 제시한다. 빔은 사이버 블랙스완에 대비한 데이터 보호 발표를 통해 고객들의 최신 데이터 보호 트렌드와 다양한 고급 지원 기술을 소개한다. HS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은 히타치 밴타라의 하이엔드 스토리지 기반 쿠버네티스를 위한 데이터 인프라 구축 및 보호, HS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의 쿠버네티스 어플라이언스 발표를 통해 고품질의 하드웨어 및 검증된 PaaS 어플라이언스 제품 소개와 애플리케이션 현대화 전략을 제시한다. 양정규 HS효성인포메이션
최근 기후변화와 환경 규제의 강화로 인해 기계제조 산업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발맞춰, 코아미인포마마켓(주)와 디지털 제조장비 R&D 전문인력 양성사업이 주최하고 ㈜첨단이 주관하는 “INSIGHT CONNECT 2024×AMXPO”가 오는 10월 31일부터 11월 1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장 컨퍼런스룸에서 개최된다. 이번 컨퍼런스는 “지속 가능한 기계제조 산업과 DX·AI 융합”을 주제로, 디지털 전환(DX)과 인공지능(AI) 기술이 기계제조 산업에 가져올 변화와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됐다. 업계 전문가와 연구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ESG 경영, 스마트 제조, 에너지 절감 기술, 그리고 AI 기반 제조 혁신 솔루션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발표와 토론을 진행할 예정이다. 기계제조 산업은 오랫동안 국가 경제의 중추 역할을 담당해왔으나, 최근 들어 기후변화와 환경 규제의 영향으로 지속 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적 접근이 필요해졌다. 특히, 에너지 소비가 많은 기계제조 업계에서는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에너지 효율성 향상 및 친환경 제조 기술 도입이 핵심 과제로 떠오르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