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 등과 제주 재생에너지 발전 가동중단 빈도 줄이기 협력 SK렌터카가 제주도 내 전력 수요공급 불균형 문제 해소를 돕고자 국내 최대 규모의 충전 인프라와 친환경 전기차를 동원한다. SK렌터카는 ‘한국전력’과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전문 기업 ‘대영채비’, 국내 전력시장 내 주요 수요관리사업자인 ‘그리드위즈’와 함께 SK렌터카 제주지점과 빌리카 등 두 곳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기와 운영중인 전기차를 활용해 ‘플러스DR’ 사업에 참여한다고 1일 밝혔다. 플러스DR(Demand Response)이란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증가하며 전력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는 특정 시간대에 평소 대비 전력 사용량을 높이며 균형을 맞추기 위한 민관 협력 사업 모델이다. 이를 통해 발전기 가동을 강제로 중단하는 ‘출력 제어’ 발생 빈도를 낮추며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고, 평소 대비 전력 사용량을 높인 플러스DR 참여자는 추가 사용분에 대한 전기요금 할인 또는 인센티브를 수취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실제로 제주에서는 풍력과 태양광 발전 등 재생에너지 보급이 증가함에 따라 출력 제어 발생 빈도가 해마다 늘며 새로운 사회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플
100곳 중 7곳꼴 안전 부적합 정부가 전기자동차 충전시설에 대한 안전사고 우려가 커지자 제조부터 유지관리까지 단계별 안전관리 제도 개선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8일 서울 강남구 역삼동 AC메리어트호텔에서 전기차(테슬라)와 충전시설 제조업체(대영채비, 이카플러그 등), 학계(서울대), 관련 협회(전기공사협회·전기기술인협회·대한전기협회), 국가기술표준원 등 관련 업체·기관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간담회를 개최하고 이같이 밝혔다. 국내 전기차 보급 대수는 2017년 2만5108대, 2018년 5만5756대, 2019년 8만9918대, 2020년 13만4962대, 지난해 23만1443대에 이어 올해 들어 8월까지 32만8267대로 급증세다. 전기차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충전시설 보급 확대가 이뤄지는 과정에서 위험성도 높아지고 있다. 전기차 충전시설은 생활 밀접 장소에 설치돼 안전사고가 발생하면 피해가 커질 수 있다. 한국전기안전공사의 '전기차 충·방전 설비 안전관리 개선 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공사에서 전기차 충전시설을 점검한 결과 점검 대상 5483개 가운데 337개소(6.6%)가 부적합한 것으로 조사됐다. 간담회는 상시 안전 관리체계 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