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성그룹은 지주사인 효성과 효성티앤씨, 효성중공업 등 3개사가 농어촌상생협력기금을 출연해 잘피숲 보전 활동 사업을 추진한다고 28일 밝혔다. 잘피는 해양생태계법에 의해 지정된 해양보호생물로, 해양생태계의 탄소 흡수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수산자원공단이 2009년부터 경남 거제시 다대·다포리 해역에 잘피숲을 조성해 거제시가 관리해오고 있다. 효성의 출연금은 잘피 분포 현황과 서식 환경 모니터링, 잘피 이식, 폐어구 수거 등에 활용될 예정이다. 효성은 생태계 보전 활동뿐 아니라 친환경 섬유 개발·생산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2007년 세계 최초로 폐어망을 재활용해 나일론 리사이클 섬유 개발에 성공한 효성티앤씨는 이달 중순부터 울산공장에서 나일론 리사이클 섬유를 생산하기 위한 해중합 설비를 본격적으로 가동했다. 연산 3600t(톤)의 생산 능력을 갖춘 해중합 설비는 바다에서 수거된 폐어망을 화학적으로 분해해 나일론의 원료를 제조하는 설비다. 이번 투자는 나일론 섬유 시장에서도 친환경 섬유 시장 트렌드를 이끌어가겠다는 조현준 회장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조 회장은 "친환경 경영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넘어 생존을 위한 필수 요소"라며 "친환경 제조 환경
[첨단 헬로티] 한국전력은 12월 1일 서울 서초동 한전 아트센터에서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과 2017년도 농어촌상생협력기금 출연 협약을 체결했다. 한전은 이번 협약을 통해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에 농어촌상생협력기금(이하 ‘상생기금’) 50억원을 출연하고, 올해 12월부터 내년 9월까지 전국의 농어촌 지역의 사회적경제조직과 사회복지시설, 그리고 취약계층가구에 태양광 발전설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상생기금은 FTA의 이행으로 피해를 입거나 입을 우려가 있는 농어촌과 농어업인을 지원하기 위해 2015년 11월 국회 ‘한중 FTA 여야정 협의체’에서 조성을 합의한 이래, 올해 1월『FTA 농어업법』개정 시행을 통해 법적 근거가 마련된다. 무역이득공유제의 대안으로 민간기업, 공기업, 농·수협 등이 매년 1천억원씩 10년간 총 1조원의 자발적 기부금을 조성하여 농업과의 상생협력 및 지원사업을 수행한다는 계획이다. ‘태양광 발전설비 지원사업’은 한전의 대표적인 사회공헌 프로그램으로, 태양광 발전소 및 태양광 패널 지원으로 나누어 시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