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스테이지 '솔라'를 퓨리오사AI의 레니게이드에 최적화할 계획 밝혀 업스테이지와 퓨리오사AI가 국내 AI 인프라의 자립화를 위해 손을 잡았다. 양사는 6월 26일 서울 강남구 퓨리오사AI 본사에서 ‘NPU 기반 생성형 AI 사업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의 핵심은 국산 NPU와 거대언어모델(LLM)의 결합이다. 업스테이지는 자체 개발한 LLM ‘솔라(SOLAR)’를 퓨리오사AI의 차세대 신경망처리장치(NPU) ‘레니게이드(Renegade)’에 최적화해 탑재할 계획이다. 양사는 이 기술을 기반으로 온프레미스 AI 솔루션 구축 사업을 공동 추진하고, 국내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 공략에도 본격 나설 예정이다. 최근 생성형 AI 확산과 함께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은 엔비디아 중심의 공급 불균형, 가격 급등, 기술 종속 등 다양한 과제를 안고 있다. 특히 국내 기업들이 AI 모델을 구현하기 위한 고성능 연산 자원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이번 협력은 AI 하드웨어-소프트웨어의 국산화 가능성을 높인다는 점에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업스테이지와 퓨리오사AI의 협력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2022년 업스테이지는 퓨리오
11월부터 시작하는 ‘국가 AI 컴퓨팅 센터’에 GPU 1만장 규모 도입 계획 밝혀 정부가 국내 AI 생태계의 글로벌 경쟁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총 1조8000억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을 투입한다. AI 컴퓨팅 자원 확보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이를 바탕으로 국가대표 AI 모델을 개발할 유망 기업을 선정해 집중 지원하는 전략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18일 임시국무회의를 통해 심의된 AI 추경 예산 가운데 약 1조4600억 원을 활용해 오는 11월부터 서비스를 시작하는 ‘국가 AI 컴퓨팅 센터’에 GPU 1만장 규모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GPU 도입은 엔비디아의 H200과 블랙웰을 기준으로 추산됐으며, 참여 기업이 국내 여건과 비용 효율성을 고려해 최종 모델을 선택하게 된다. 센터 개소 전에는 민간 클라우드 기업들이 보유한 GPU 2600장을 AI 기업이 빌려 쓸 수 있도록 예산 1723억 원이 배정됐다. 특히 이 중 2000장은 차세대 대표 AI 모델을 개발할 ‘월드 베스트 거대언어모델(WBL)’ 프로젝트에 참여할 최대 5개 팀에 우선 지원된다. WBL 프로젝트에는 GPU 외에도 텍스트 및 멀티모달 데이터, 국내외 최고 수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