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매출 219억 원, 망간자료전송 솔루션 5년간 연평균 성장률 103% 달성 AI 기반의 보안 및 신사업 연구개발 투자 확대 한싹이 지난달 27일 한국거래소에 코스닥 상장을 위한 상장예비심사청구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융합보안 기업 한싹은 연내 코스닥 시장 입성을 목표로 본격적인 기업공개(IPO) 절차에 돌입한다. 상장 주관사는 KB증권이다. 상장 예비심사는 한국거래소가 기업의 상장 적격성을 심의하는 단계로, 예비심사를 통과하면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공모를 진행한다. 1992년 설립된 한싹은 국내 대표적인 망간자료전송 솔루션 전문 보안기업이다. 망분리 환경에 필수적인 망간자료전송과 시스템 보안 통합 패스워드 관리, 데이터 및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보안전자팩스, 클라우드 보안 등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환경에 최적화된 정보보안 솔루션을 개발 및 공급하고 있다. 최근에는 공공기관의 인터넷망을 ‘DaaS’로 전면 교체하는 사업과 공무원 업무용 노트북 ‘온북’ 사업 등 공공 클라우드 전환 사업에 개방형OS 기반의 망간자료전송 솔루션을 제공 중이다. 또한, 클라우드와 인공지능 기술 연구센터를 설립하고 클라우드 보안 서비스와 AI 재난예방 서비스,
개요 다중화(muxed) SAR(successive approximation register) ADC 애플리케이션은 크기와 전력의 제약이 있는데, 이들 제약은 종종 채널당 아날로그 신호 체인 설계 선택에 따라 달라진다. 이 글에서는 다중화 SAR ADC에 아날로그 입력 high-Z(고 임피던스)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어떻게 성능과 정확도를 떨어트리지 않으면서 솔루션 크기와 전력 소모를 크게 줄일 수 있는지 알아본다. 머리말 다중화 SAR ADC는 시스템에서 다양한 변수들을 연속으로 모니터링해야 하는 애플리케이션에 흔히 사용된다. 광 통신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레이저 바이어싱을 광 전력 측정을 통해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VSM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전극으로부터 EEG/ECG 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들 다중화 애플리케이션은 공통적으로 다음과 같은 요구 사항들이 있다. ∙ 모니터링해야 할 채널이 많다. 일반적으로, ADC가 모든 채널을 순서대로 처리한다. ∙ 대체로 채널들의 전압이 서로 연관성이 없다. ∙ 시스템 차원의 풋프린트와 전력 소모의 제약이 크다. 이러한 요건들 때문에 해결해야 할 몇 가지 과제들이 있다. ADC가 어느 한 채널에서 변환을 마치면 ADC
Tichawa는 Tichawa 센서에는 더욱 긴 Working Distance, 굴곡진 제품에 대한 검사 기능, Gapless 센서 기술, 진공 기능 그리고 Shape for Shape 기능 등 새로운 기능이 추가됐다고 밝혔다. Gapless inspection 긴 센서 라인(최대 4m)은 생산 중에 많은 센서 칩을 정렬해야 한다. 칩들이 바로 옆에 정렬되면 칩 경계에 틈이 생기고 픽셀이 누락되는 형태로 카메라 이미지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Tichawa 당사의 센서 칩은 센서 칩 사이에 기계적인 간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배열되어 있다. 이를 통해 간격 없는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최대 16mm 높이의 물체에 대한 3D 검사 가능 기존 CIS 기술은 짧은 Working distance에서 얕은 심도(Depth of Field)를 제공한다. TICHAWA는 VDCIS 기술을 통해 최대 60mm의 Working Distance에서 16mm의 심도(DOF)의 검사가 가능하다. Inspection in a vacuum 기존 CIS 센서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산업용 카메라들은 진공상태에서 케이스가 찢어지기 때문에 사용이 불가능했다. TICHAWA Vision의
아시아 최대의 자동화 전시회이자, 국내 최고의 스마트팩토리, 자동화 전시회인 ‘오토메이션월드 2023(AW 2023)’ 전시회가 지난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코엑스 A, B, C, D홀에서 개최했습니다.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건 이번 전시회는 스마트공장 엑스포(Smart Factory Expo),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로 구성했습니다. 해당 영상은 2월 24일(금), 2월 28일(화), 3월 3일(금) ①정책을 담다, ②신제품신기술을 담다 라는 주제로 총 3차례에 걸쳐 진행된 붐업 웨비나 내용입니다. 영상에서는 정책 및 산업 동향과 지난 전시회에서 주목했던 제품 및 동향을 다룹니다. Session 1 주제 : 영상 이상 감지(Video Anomaly Detection) 기반 공정 모니터링 솔루션 발표 : 김승현 R&D Lead _세이지리서치 Session 2 주제 : 비정형 불량 검출에 강한 오토 딥러닝 비전 검사 소프트웨어 발표 : 전정수 마케팅 팀장 _뉴로클 Session 3 주제 : 자율주행 로봇 고카트(GoCar
아시아 최대의 자동화 전시회이자, 국내 최고의 스마트팩토리, 자동화 전시회인 ‘오토메이션월드 2023(AW 2023)’ 전시회가 지난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코엑스 A, B, C, D홀에서 개최했습니다.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건 이번 전시회는 스마트공장 엑스포(Smart Factory Expo),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로 구성했습니다. 해당 영상은 2월 24일(금), 2월 28일(화), 3월 3일(금) ①정책을 담다, ②신제품신기술을 담다 라는 주제로 총 3차례에 걸쳐 진행된 붐업 웨비나 내용입니다. 영상에서는 정책 및 산업 동향과 지난 전시회에서 주목했던 제품 및 동향을 다룹니다. Session 1 주제 : 프로세스 마이닝을 통한 혁신적인 자동화 솔루션 운영 발표 : 박성훈 대표 _DK G&C Session 2 주제 : AI를 활용한 제조 혁신 사례 발표 : 허영신 CBO _마키나락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아시아 최대의 자동화 전시회이자, 국내 최고의 스마트팩토리, 자동화 전시회인 ‘오토메이션월드 2023(AW 2023)’ 전시회가 지난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코엑스 A, B, C, D홀에서 개최했습니다.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건 이번 전시회는 스마트공장 엑스포(Smart Factory Expo),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로 구성했습니다. 해당 영상은 2월 24일(금), 2월 28일(화), 3월 3일(금) ①정책을 담다, ②신제품신기술을 담다 라는 주제로 총 3차례에 걸쳐 진행된 붐업 웨비나 내용입니다. 영상에서는 정책 및 산업 동향과 지난 전시회에서 주목했던 제품 및 동향을 다룹니다. Session 1 주제 : 초 연결 시대의 산업현장에서의 HW와 SW 통합 솔루션 구성 발표 : 최수혁 상무 _어드밴텍 Session 2 주제 : 비접촉/비파괴 초분광이미징 실시간 품질관리솔루션 발표 : 김지현 과장 _비케이인스트루먼트 Session 3 주제 : 인공지능을 이용한 검사 설비의 필요성과 산업별 인공지능 검사 설비 소개 발표 : 최종학
아시아 최대의 자동화 전시회이자, 국내 최고의 스마트팩토리, 자동화 전시회인 ‘오토메이션월드 2023(AW 2023)’ 전시회가 지난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코엑스 A, B, C, D홀에서 개최했습니다.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건 이번 전시회는 스마트공장 엑스포(Smart Factory Expo),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로 구성했습니다. 해당 영상은 2월 24일(금), 2월 28일(화), 3월 3일(금) ①정책을 담다, ②신제품신기술을 담다 라는 주제로 총 3차례에 걸쳐 진행된 붐업 웨비나 내용입니다. 영상에서는 정책 및 산업 동향과 지난 전시회에서 주목했던 제품 및 동향을 다룹니다. Session 1 주제 : 산업용 XR 솔루션, 버넥트 & 리얼웨어 발표 : 하태진 대표 _버넥트 / 이호길 한국지사장 _리얼웨어코리아 Session 2 주제 : 미래를 위한 장비 자동화, 시그마테크 발표 : 이슬기 프로 _서보스타 헬로티 최재규 기자 |
SK시그넷이 8월 부천시 도당동에 'R&D 통합 센터'를 개소한다고 8일 밝혔다. SK시그넷은 R&D 센터에서 제품의 설계, 개발, 시험 등 전 과정을 수행하며 독보적인 연구개발 역량을 확보해 글로벌 리딩 전기차 충전기 제조사로 도약한다는 목표다. 부천 R&D 센터는 전기차 충전기 제품 개발을 위한 최적의 환경 조성을 목적으로 설립된 SK시그넷의 첫 번째 통합 연구개발 센터다. 전기차 충전 기술에 관한 연구와 제품 테스트를 한 공간에서 원스톱으로 진행할 수 있는 이곳에서 SK시그넷은 충전기 핵심 부품인 파워모듈 설계부터 충전기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개발과 품질 검수 등 전기차 충전기 개발 시험의 전 과정을 수행해 나갈 예정이다. 신규 R&D 센터에는 제품 및 펌웨어/소프트웨어 개발 담당, 충전기 유지보수 담당 인력 뿐 아니라 품질 관리 등 다양한 부서의 기술 관련 인력들이 근무하게 된다. 충전기 이용 고객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 제품 개발 단계에서부터 고객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CS 전담 부서도 함께 입주해 R&D 부서와 협업한다. SK시그넷 관계자는 "SK시그넷 신규 센터 구축은 글로벌 1위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선 R
중국 전기차 배터리 기업들이 중국 외 글로벌 시장에서도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이차전지 전문 시장조사 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CATL을 비롯한 중국 배터리 업체들은 비중국 시장에서 또한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중국 내수 시장을 넘어서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점차 확대하고 있다. CATL은 비(非)중국 시장에서 79.6%(15.6GWh)의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하며 2위에 올랐다. CATL은 테슬라 Model 3(중국산 유럽, 북미, 아시아 수출 물량)를 비롯하여 볼보 C40/XC40 Recharge, 기아 니로, MG-4 등의 판매 호조로 비중국 시장에서 2위를 기록했다. 향후 현대의 신형 코나 전기차 모델에 CATL의 배터리가 탑재될 것으로 알려져 비중국 시장에서의 시장 점유율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Top 10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인 BYD는 중국 내수 시장을 공략한 가격 경쟁력 장점과 상당 부분 갖춰진 품질로 아시아와 오세아니아 시장에서의 시장 점유율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고 유럽 시장에서도 성장을 보이고 있다. Farasis는 전세계적으로 수요가 높은 메르세데스-벤츠의 유럽 향 EQ 라인업의 판매 호조로 2023년에도 꾸준한 성장세를
전기차·배터리 실적 포함 전망 밝은 반면, 반도체, 디스플레이, 정유화학 여전히 우려 올해 1분기 기업 실적 발표 시즌이 반환점을 돌면서 이제 2분기 실적에 관심이 쏠린다. 경기 침체가 길어지는 데다, 수요 회복 역시 불투명해 1분기에 실적이 좋지 않았던 반도체, 디스플레이, 석유화학 등의 업종은 부진한 흐름을 이어갈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8일 연합인포맥스 집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올해 2분기 영업이익에 대한 1개월 이내 증권사 전망치(컨센서스)는 현재 2730억 원이다. 삼성전자는 작년 2분기의 14조970억 원 대비 98.1% 급감한 수준이며, '어닝 쇼크'(실적충격)를 기록한 1분기의 6402억 원보다도 57.4% 적다. 반도체 불황에 1분기에 4조5800억 원 영업손실을 낸 반도체 부문이 적자를 지속하고, 1분기에 비교적 선방한 스마트폰 사업 등의 실적 둔화 전망이 나온다. SK하이닉스 역시 1분기에 영업손실 3조4023억 원을 기록한 데 이어 2분기에도 적자가 유력하다. 현재 영업손실 전망치는 1분기와 비슷한 3조2465억 원이다. 사업이 분산된 삼성전자와 달리 SK하이닉스는 전체 매출에서 메모리 비중이 90%가 넘는 탓에 반도체 다운턴에 받는
전기차 초급속 충전기 전문업체 SK시그넷은 연구부터 제품 테스트까지 한 번에 수행할 수 있는 '통합 연구개발(R&D) 센터'를 오는 8월 개소한다고 7일 밝혔다. SK시그넷은 이번 센터 구축을 통해 수도권 곳곳에 흩어져있던 연구소 및 테스트 랩 인력 150여명이 한곳에 모여 전기차 충전기술 관련 연구 및 제품 테스트를 원스톱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제품 및 소프트웨어 개발과 충전기 유지보수 담당 인력뿐 아니라 고객 만족(CS) 전담 부서도 입주해 제품 개발 단계부터 고객 의견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통합 연구개발 센터는 경기 부천시 도당동에 들어선다. 신정호 SK시그넷 대표는 "전 세계적 전기차 인프라 확대 지원 정책 시행으로 올해는 R&D 경쟁력 강화가 필수"라며 "신규 R&D 통합 센터를 통해 미국 내 1위 초고속 충전기 제조사를 넘어 전 세계 전기차 충전 솔루션 리딩 기업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中리튬 의존도 90% 육박…중국산 리튬 구매에만 올해 10조원 예상 공급망 안보·美 IRA…한국업체들 "中 의존도 낮추자" 분주 세계 전기차 시장의 급성장에 힘입어 'K-배터리' 3사의 매출이 빠르게 늘수록 리튬 등 핵심 소재 시장을 장악한 중국 업체들이 상당한 이익을 가져가고 있다. 배터리 핵심 소재인 리튬의 경우 중국산 비중이 90%에 육박할 정도로 중국 의존도가 심한 상황이다. 여기에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 배터리 공급망 환경이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어 국내 배터리 업계는 리튬 가공 공장을 짓는 등 중국 의존도 낮추기에 주력하고 있다. 7일 한국무역협회 통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배터리 양극재 핵심 소재인 수산화리튬 수입액은 21억6천만달러로 작년 동기보다 490.3% 급증했다. 연간 수산화리튬 수입액은 2017년 1억3천만달러로 처음 1억달러를 넘어선 데 이어 2018년 2억3천만달러, 2019년 3억9천만달러, 2020년 4억4천만달러, 2021년 6억7천만달러, 2022년 36억8천만달러 등 폭증 추세다. 국내 배터리 업계는 하이니켈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 양극재 제조에 쓰이는 수산화리튬을 거의 전량 수입해 쓰는데, 그중
SK에코플랜트는 자회사 테스와 함께 세계 최대 전기차 배터리 생산국인 중국에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시설을 설립한다. SK에코플랜트는 중국 장쑤성 옌청시 경제기술개발구에서 '옌청 배터리 재활용 시설 설립 협약'을 맺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SK에코플랜트는 테스가 포함된 중국 현지 합작법인 지사이클과 함께 옌청시 경제기술개발구에 연면적 8천㎡ 규모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전처리 시설을 설립·운영한다. 1단계 시설은 연내, 2단계 시설은 내년 준공 및 운영을 목표로 한다. 전처리 공정을 통해 폐배터리를 포함한 양극재·음극재 스크랩(배터리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불량품)을 물리적으로 안전하게 파쇄하고 배터리 원료 추출 전 단계인 블랙 파우더까지 추출할 수 있다. SK에코플랜트와 테스는 기존 폐배터리 후처리 시설 1개소, IT자산처분서비스(ITAD·IT Asset Disposition) 시설 3개소에 이번 폐배터리 전처리 시설까지 더해 중국 내 총 5개의 거점을 갖추게 된다. SK에코플랜트는 중국 전기차 배터리 산업의 요충지로 뽑히는 장쑤성에 세워지는 시설을 전략적 거점으로 삼아 폐배터리와 스크랩 물량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또 이번에 구축하는 옌청 시설과 기
지난 호에는 이더넷의 요구 조건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살펴봤다. 또한 이더넷-APL에 적용되는 모든 기술적 특성에 대해서도 소개했다. 이번 글에서는 이더넷-APL의 주요 기술적 특성과 국내외 시장에 대해서 살펴본다. 이더넷-APL의 채택 이더넷은 상호운용성에 대한 강력한 요구사항이 있는 환경에서 신뢰할 수 있는 통신 기술임이 입증됐다. 이것은 산업현장, 사무실 및 건물, 그리고 많은 개인 주택단지에도 적용된 바가 있다. 이더넷 기술의 고도화는 제품개발과 프로토콜 스택에 있어서 네트워크망의 계획, 설치 후 커미셔닝 및 여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도구들을 사용하여 널리 수용할 수 있도록 환경 조성하는 것을 포함한 개념이다. 끊김 없는(seamless)는 설치는 빠른 도입, 높은 참여도를 보장하므로 모든 사용자에게 장기적인 비즈니스 환경을 제공한다. 따라서 프로세스 자동화 시스템의 수명 주기업무의 당사자들, 예컨대 벤더, 종합 건설사 및 엔지니어링 회사, 건설현장의 테스크포스 부서 해당 책임자, 시설을 관리하는 공무 및 보전설비 관리자, 계측 제어 부, 동력 및 운전관리 부서운영 담당자, 석유, 석유화학, 종합화학공장 공정부서 책임자, 운영반장 등은 이더넷
전동공구 분야의 글로벌 리더 보쉬 전동공구 사업부가 가벼운 무게와 강력한 출력을 자랑하는 전문가용 충전 스트레이트 그라인더 ‘GGS 18V-20’을 출시했다. GGS 18V-20은 강력한 브러시리스 모터를 탑재해 700W의 유선 그라인더와 동등한 출력을 제공하며, 최대 무부하속도 24,000rpm의 성능을 발휘한다. 이 신제품은 최대 직경 50mm의 고품질 연마석과 함께 사용 가능해 최적화된 금속 그라인딩 작업을 돕는다. 또한 강력한 출력과 함께 콤팩트성이 뛰어나 좁은 공간 작업에 탁월하다. 제품 본체 무게는 1.15kg(배터리 제외)로 가벼우며, 총 길이 310mm 및 핸들 길이 156mm의 슬림한 크기로 천장이나 오버헤드 등 높은 곳에서 편하게 작업할 수 있다. 또 핸들 그립에는 소프트 그립 코팅 처리가 되어 쉽게 미끄러지지 않으면서도 손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였다. 이와 함께 보쉬만의 차별화된 안전 기능을 적용했다. 모터·배터리가 과부하 되거나 과열되면 공구 보호를 위해 본체가 작동을 중지하는 ‘과부하 보호 장치’를 탑재해 공구 내구도 및 수명을 늘렸으며, 전원을 켠 상태에서 배터리를 교체할 때 갑작스럽게 공구가 작동하는 것을 막는 재시동 방지 기능을 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