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억 개 이상 매개변수와 2조 개 이상 토큰 사전 학습 능력 갖춰 텐센트가 지난 7일 중국 선전에서 개최된 연례 컨퍼런스 ‘글로벌 디지털 에코시스템 서밋’에서 자체 개발한 초거대 AI 모델 '훈위안(Hunyuan)'을 공개했다. 중국 기업들은 이제 텐센트의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해 훈위안에 접속하며, 기업의 특정 니즈에 맞춰 세밀하게 조정해 사용한다. 훈위안은 1000억 개 이상의 매개변수와 2조 개 이상의 토큰 사전 학습 능력을 갖췄으며, 우수한 중국어 처리 능력과 고급 논리 추론 기능에 더불어 안정적인 작업 실행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 AI 모델은 이미지 생성, 텍스트 인식, 카피라이팅, 고객 서비스 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해 금융, 공공 서비스, 소셜 미디어, 전자 상거래, 물류 운송, 게임 등의 주요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기업은 지난 6월 첫 출시된 텐센트의 서비스형 모델(MaaS)을 기반으로 자체 고유의 거대 모델을 훈련하는 것에서 나아가 자체 비즈니스를 위한 강력한 맞춤형 AI 도구를 구축하게 됐다. 현재 텐센트의 MaaS는 20개의 주요 산업군에 걸쳐 총 50개 이상의 솔루션이 포함된 거대 AI 모델을 기업에 제
엔지니어가 고효율 공간 절약적인 머신러닝 모델 구축 가능케 해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이하 마이크로칩)는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간소화된 머신러닝 모델을 개발할 수 있는 통합 워크플로우 MPLAB 머신러닝 개발 스위트를 출시했다. 이 소프트웨어 툴 키트는 마이크로칩 MCU 및 MPU 제품군 전반에 걸쳐 활용될 수 있어 머신러닝 추론 작업을 효율적으로 구현한다. 마이크로칩의 개발 시스템 사업부 이사 로저 리치(Rodger Richey)는 “머신러닝은 임베디드 컨트롤러의 새로운 표준이 되며, 엣지에서 머신러닝을 활용하면 클라우드 통신에 의존하는 시스템 대비 강력한 보안성과 전력 효율성을 갖춘 제품을 만든다”며 “임베디드 엔지니어를 위해 고안된 마이크로칩의 특별한 통합 솔루션은 32비트 MCU와 MPU뿐 아니라 최초로 8비트와 16비트 디바이스를 지원해 효율적인 제품 개발을 가능하도록 한다”고 말했다. 머신러닝은 일련의 알고리즘 방법을 사용해 대량의 데이터 세트에서 패턴을 선별 및 추출해 의사 결정을 내린다. 이러한 머신러닝을 통한 의사결정은 일반적인 수동 처리 방식보다 정확하며 업데이트가 용이하다. 이에 머신러닝은 예측 및 유지보수 솔루션에 활용될 수 있어 마
자동 모델 학습과 하이퍼파라미터 최적화로 높은 성능 모델을 자동으로 생성 슈퍼브에이아이가 고성능의 인공지능(AI) 모델을 코딩이나 머신러닝 지식 없이도 학습시키고 배포할 수 있는 '슈퍼브 모델'을 출시했다. 이 제품을 통해 컴퓨터 비전을 도입하려는 기업이 직면하는 많은 문제를 간편하게 해결할 것으로 보인다. 기업이 AI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전문 머신러닝팀이 필요하거나, 개발에 필요한 노하우와 컴퓨터 리소스가 필요하다. 또한, 기존 제품, 서비스, 비즈니스 로직에 맞춰 배포하고 연동하는 작업도 전문성을 필요로 한다. 모델 성능에 따라 어떻게 학습 데이터를 조정해야 하는지 불분명하며,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개발 가능성을 시험하는 데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돼 실제 가치를 창출하기까지 어려움이 많다. 슈퍼브에이아이 김현수 대표는 “슈퍼브 모델은 이러한 AI 도입의 어려움과 진입 장벽을 제거한다. 누구나 AI를 손쉽게 도입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기업은 AI 기술을 활용해 혁신을 가속화하고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전했다. 슈퍼브 모델에서는 AI 프로젝트를 빠르게 시작하기 위한 파운데이션 모델을 통해 초기 단계를 간소화하고, 자동 모델 학습과 하이퍼파라미
광학기기산업협회가 '디지털 홀로그램 제품에 대한 광학 특성 표준 개발 Kick-Off 회의'를 8일 진행했다. 한국광학산업기술연구조합(이하 연구조합)이 개최한 이번 회의의 안건은 '디지털 홀로그램 제품에 대한 광학 특성 표준 개발' 과제 수행 및 국제표준화 전략 협의다. 기술 발전에 따라 첨단 복사기술이나 컴퓨터를 이용한 다양한 상품의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디지털 홀로그램 제품과 광학적 특성에 대한 표준에 대한 필요성이 이 더욱 대두되고 있다. 이에 연구조합은 디지털 홀로그램 및 광학적 특성 평가방법에 대한 국가표준과 국제표준 제정을 위한 국가표준기술력향상사업 Kick-Off 회의를 개최했다. 디지털 홀로그램은 홀로그램 기술을 전자기기 및 광전자기기 등을 이용해 구현하고, 센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광전자기기에 의해 수집 및 생성된 홀로그램 패턴을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재현하는 기술이다. 디지털 홀로그램은 디지털 형태의 홀로그램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으므로, 홀로그램 기술을 폭넓은 산업에 활용할 수 있는 핵심 기반 기술이다. 디지털 홀로그램은 아직 개발 초기 단계에 있지만, 향후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기술이다
고품질 데이터 구축에 대한 중요성 강조 및 10대 전략 분야서 과제 발굴 추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8일인 오늘 초거대 AI의 전산업으로의 확산을 위한 산‧학‧연 전문가 협의체인 'AI 데이터 융합 네트워크'의 발족식을 이비스 앰배서더 서울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주요 산업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AI 데이터 융합 네트워크는 각 산업 분야에서 AI의 확산‧융합 동향을 공유하고 양질의 AI 데이터가 적시 공급이 필요한 분야를 신속히 발굴하기 위해 결성됐다. AI 데이터 융합 네트워크는 10대 전략 분야별로 각 10명 내외의 위원으로 구성되며, 해당 전략 분야는 산업 및 정부 정책을 기반으로 전략 분야 후보를 구성한 후, 델파이 조사를 통해 시장 수요 및 파급효과, 구축‧공개 가능성, 기술 선도성 등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선정됐다. 10대 전략 분야는 법률, 의료, 교육, 지능행정, 교통·물류, 제조·로보틱스, 콘텐츠, 재난·안전·환경, 국방, 농림축수산이다. 발족식 행사에는 박윤규 과기정통부 차관, 장소원 국립국어원장, 황종성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장 및 10대 분야별 전문가들이 함께 모여 인공지능 산업 동향을 공유하고, 각 산업 분야에서
티비에스가 SCM FAIR 2023에 참가해 도시바 프린터 시리즈를 소개했다. 티비에스는 1995년 일본 도시바와 협력을 계기로 국내 유통 및 자동화 산업 발전에 이바지한 기업이다. Access Control System 및 데이터 통신 Controller, 바코드 판독기 등 Hardware와 Application Software등을 자체 개발해 보유하고 있으며 바코드 프린터를 활용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의 제공을 실현하고 있다. 티비에스는 품질과 정밀도가 요구되는 유통용 Film Master, Barcode Data, Label 및 Tag의 제작을 비롯하여 Speed와 기술력을 자랑하는 Barcode Printer, Barcode leader, Handy Terminal, 검증기, RF/DC System, Auto ID System의 Consulting, 또한 ITW특수필름(주)의 국내 대리점으로서 Barcode Ribbon 공급 등 자동인식 분야의 Total Solution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소개한 B-FV4T 데스크톱 프린터 시리즈는 컴팩트한 디자인이 특징인 제품이다. 최대 인쇄폭은 108 mm (203 dpi), 최대 105.7
실시간 데이터와 머신러닝 활용해 서비스 도입 기업의 생산 계획 최적화 브이엠에스 솔루션스가 SCM FAIR 2023에 참가해 자사의 APS(Advanced Planning & Scheduling) 서비스를 선보였다. 올해 3회째를 맞은 SCM FAIR 2023은 스마트 물류 기술과 공급망 관리(SCM) 솔루션을 포괄하는 SCM 전시회다. 브이엠에스 솔루션스가 선보인 MOZART는 고객의 생산 계획 최적화를 지원하는 솔루션이다. MOZART는 실제 제조 설비 환경을 반영한 가상 모델을 활용해 효과적인 생산 계획 및 스케줄링 시스템을 구현한다. 시스템 구현 및 개선 경험을 바탕으로 개발된 기술 라이브러리와 특정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간편한 커스터마이징, 검증된 디자인의 병렬 시뮬레이션을 제공한다. SCM 영역에서 브이엠에스 솔루션스는 자체 개발한 APS 솔루션을 보유했으며, 컨설팅과 교육 서비스를 모두 제공한다. SCM 컨설팅은 SCM 교육, SCM 운영 진단, 비즈니스 프로세스 정비 및 고도화, 성과관리 체계 정립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브이엠에스 솔루션스의 APS 솔루션은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계획 수립의 표준을 따르고, 계획 수립에 꼭 필요한 기능만을
인타운이 SCM FAIR 2023에 참가해 부산테크노파크 이음 5G 특화망 기반 스마트공장 사업을 소개했다. 올해 3회째를 맞은 SCM FAIR 2023은 스마트 물류 기술과 공급망 관리(SCM) 솔루션을 포괄하는 SCM 전시회다. 전시회에 소개된 부산TP 이음 5G 특화망 기반 스마트공장 사업은 현장 중심의 디지털 트윈 스마트공장 맞춤형 특화망 밀리미터파 서비스로 기존 와이파이 대비 끊김 없는 초고속, 대용량 데이터 전송, 데이터 초저지연 등의 기술을 기반으로 기존 스마트공장의 이름 5G 특화망으로 전환을 위한 작업이다. 이 실증사업은 자발적 기술 협력 컨소시엄으로 진행돼 화제가 됐다. 인타운을 포함해 하이텍정보시스템, 맥데이타, 우리넷, 유캐스트 등의 기업이 부산TP를 중심으로 참여했다. 부산TP는 이 사업이 지역 중소기업과 함께 하는 이음 5G 기반 디지털 트윈 스마트공장 모델 사례로 남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인타운의 사업 분야는 AI & 빅데이터 분석, 머신비전,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SI, IT 컨설팅, 디지털 트윈 등이다. 지원하는 서비스로는 MES 시스템 플랫폼, 예지보전 시스템 플랫폼, 머신비전 시스템 솔루션, 디지털 트윈 시스
컨테이너·트랙터 트럭·트레일러 위치 관제 및 정보 공유 SW/HW 소개 씨앤티알은 킨텍스에서 열린 ‘제3회 유통 물류 공급망 산업전’에서 운송 물류 솔루션 3종을 선보였다. 물류 프로세스 핵심이라고 평가받는 컨테이너 관련 기술이다. SCM FAIR 2023은 유통·물류 및 공급망 관리 분야 전시회로, 올해 세 번째 개최를 맞았다. 이번 전시회는 이달 6일부터 사흘간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 소재 킨텍스(KINTEX)에서 ‘From manufacturing to logistics, All for SCM’를 슬로건으로, 퍼스트마일부터 라스트마일까지 제조·유통·물류 전주기에 활용되는 디지털 제조·스마트 물류·유통 기술·소프트웨어 플랫폼·장비 및 설비 등을 다룬다. 씨앤티알은 수출입, 항만, 내륙 물류 부문 등 수출입 물류 영역에서 필수로 활용되는 컨테이머 및 트레일러 운영을 위한 혁신 기술을 제공한다. 씨앤티알은 이번 전시회 부스에서 컨테이너·트랙터 트럭·트레일러 등 물류 분야 운송 영역에서 활용되는 수단의 위치 관제·상태 공유 기능을 제공하는 하드웨어 3종을 들고 나왔다. 해당 3종의 기술은 각 수단의 위치·상태·이동 경로 등을 공유하는데, 국내외 제한 없이 LTE
중국을 제외한 세계 각국에서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등록된 전기차 총 대수가 약 304.2만 대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41.8% 상승한 수치다. SNE리서치가 발표한 2023년 1~7월 비(非)중국 시장의 그룹별 전기차 판매 대수를 살펴보면 테슬라는 올해 초부터 시행한 가격 인하 정책과 주력 차종인 모델3/Y에 대한 미국 정부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의 세제 혜택에 힘입어 전년 대비 64.1% 성장률로 1위 자리를 지켰다. 테슬라는 모델3의 페이스리프트 차량인 프로젝트 하이랜드(Project Highland)를 올해 9월부터 상하이 기가팩토리에서 생산할 것으로 알려져 10월부터 고객에게 출고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폭스바겐, 아우디, 스코다 등이 속한 폭스바겐 그룹은 전년 대비 40.1% 성장률을 기록하며 2위에 올랐다. 해외브랜드 중 최초로 美정부의 보조금 지급 조건을 충족한 ID.4를 비롯해 아우디 E-Tron 라인업의 꾸준한 판매 호조가 폭스바겐 그룹의 성장세를 이끌었다. 3위는 스텔란티스 그룹으로 피아트 500e, 지프 랭글러 4xe 등 순수전기차(BEV)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모두 견조한 판매량을 이어갔다. 현대자동차그룹은 E-G
2024년 전기자동차 출하량 총 1790만 대 예상…. 2030년 출시 차량 절반 이상 전기차 전기차 가격, 2027년까지 내연기관차와 동등한 수준으로 떨어져…기업 행보 변화 귀추 가트너(Gartner)가 올해 전 세계적으로 약 1500만 대의 전기차가 출하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2024년에는 올해 대비 19% 증가한 총 1790만 대에 이를 것이란 전망이다. 가트너는 2024년 승용차, 버스, 밴, 대형 트럭 등 모든 종류의 전기차(EV) 출하량이 총 185억 대에 달할 것이며, 그 중 승용차의 출하량은 전체의 97%를 차지할 것이라 전망했다. 전 세계 순수전기차(BEV) 출하량은 2022년 900만 대에서 2023년 말까지 1100만 대로 증가할 전망이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PHEV)는 2022년 300만 대에서 2023년 400만 대로 다소 완만한 성장이 예상된다. 조나단 데이븐포트(Jonathan Davenport) 가트너 시니어 디렉터 애널리스트는 “미국, 캐나다, 일본의 경우 소비자들이 BEV보다 PHEV를 선호함에 따라 전체 전기차 중 PHEV의 비율이 소폭 증가할 것”이라며, “순수 내연기관차(ICE)에서 EV로 전환하려는 미국 소비자
위밋모빌리티가 SCM FAIR 2023에 참가해 효율적인 경로 최적화 및 배차관리 솔루션 '루티(ROOUTY)'를 소개했다. 루티는 통합배차관리 솔루션으로, 물류 영역에서 최적의 배차 및 경로 계획을 수립해 물류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높여준다. 루티는 다수의 차량에 대한 복수 경유지의 배차를 클릭 몇 번으로 빠르게 처리할 수 있으며 각 차량의 경로 최적화를 통해 유류비를 절감하고 고객에게 빠르게 배송할 수 있다. 이 솔루션은 AI 기반의 운송 유형별 빅데이터 학습을 통해 최적의 라우팅을 제공하며, 배차 소요 시간을 단축하고 운행시간, 거리 및 비용을 최소화한다. 루티는 안정적인 운송체계를 확보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위밋모빌리티 관계자는 "루티의 핵심은 등시선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자체 개발한 루티 다이나믹 라우팅 엔진이다. 여전히 현장에서는 경험에 의존해 경로 순서를 만드는 경우가 많다. 루티는 경로 계획 등을 자동화해 시간과 비용을 줄이는 효율적인 이동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향후 루티는 SaaS 형태로 산업별로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해 물류 및 유통 분야를 넘어 모빌리티를 활용한 다양한 사업 분야에서도 수요를 이끌어낼 것으로 보
함샤우트 글로벌이 '함샤우트 글로벌 AI 툴 활용 경진대회'를 성황리에 마무리 했다고 밝혔다. 이번 경진대회는 인공지능과 함께 업무의 생산성, 혁신성, 창의성을 높일 수 있는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디지털 딥택트 시대를 열어가기 위한 함샤우트 글로벌만의 AI 활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진행됐다. 지난 4월부터 약 4개월간의 모집 기간을 거쳐 진행된 경진대회에는 90여 명의 직원이 22개 팀을 이뤄 참여했다. 참가 팀들은 ▲AI를 활용한 브랜드 리서치 및 인사이트 발굴 ▲브랜드 대상 프로젝트 매니징 솔루션 ▲AI를 활용한 기획서 및 제안서 작성 ▲AI를 활용한 이벤트 당첨자 선정 등의 데이터 관리 ▲AI를 활용한 기자 및 인플루언서 발굴 및 관리 ▲AI를 활용한 저부가가치 업무 자동화 등을 주제로 다양한 아이디어와 솔루션을 제시했다. 특히 생성형 AI와 협업툴, 플랫폼, 플러그인 등을 폭넓게 경험하고 분석해 개인의 업무생산성을 높이고, 기업의 경쟁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솔루션을 제시해 눈길을 끌었다. 사전 심사를 거쳐 총 14개 팀이 최종 결선에 올라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했으며 임직원으로 구성된 심사위원은 기획력, 활용성, 확장성 등을 기준으로 총 7팀을 선정해 수
쓰리에치코퍼레이션이 SCM FAIR 2023에서 데이터 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체적 측정 시스템을 선보였다. SCM FAIR 2023은 스마트 물류 기술과 공급망 관리(SCM) 솔루션을 포괄하는 SCM 전시회로 9월 6일부터 8일까지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 1, 2홀에서 열린다. 쓰리에치코퍼레이션은 미국 큐비스캔(CUIBSCAN) 사의 한국 총판으로 CUBISCAN의 체적 측정 장비를 국내에 공급하고 있다. 큐비스캔 사는 세계에서 최초로 체적 측정 장비를 개발 및 판매 한 회사로, 전 세계적인 인지도를 갖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쓰리에치코퍼레이션이 선보인 체적 측정 장비는 WMS와 연동해 제품의 프로필 (길이, 폭, 높이, 무게 등)을 관리, 더 효율적인 장비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각 사이트 마다 사람이 측정한 에러 들을 최소화 하며 측정 효율 및 데이터 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쓰리에치코퍼레이션 관계자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WMS 마스터 등록, 입/출고 컨베이어, 팔레트 등 다양한 측정 솔루션에 대한 기술 지원 및 제안을 지원한다"며 "높은 정밀도 및 빠른 측정으로 정확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고 전했다. 한편 올해 3
별도 비용 없이 가입해 구매업무를 수행하고 협력사와 실시간으로 협업 수행 우리은행이 SCM FAIR 2023에 참가해 디지털 공급망 플랫폼 '원비즈플라자'를 소개했다. 올해 3회째를 맞은 SCM FAIR 2023은 스마트 물류 기술과 공급망 관리(SCM) 솔루션을 포괄하는 SCM 전시회다. 우리은행이 전시회에서 선보인 원비즈플라자는 구매 솔루션을 자체적으로 구축하기 어려운 중견·중소기업이 별도 비용 없이 가입해 구매업무를 수행하고 협력사와 실시간으로 협업하는 플랫폼이다. 고객은 원비즈플라자를 통해 수작업 및 정보 탐색에 의존한 구매 방식에서 벗어나 디지털 기반 전자구매 서비스를 활용한 구매 업무를 경험한다. 원비즈플라자는 대표적으로 구매·금융·경영지원에 대한 세 가지 범주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매 서비스 부문의 경우 웹 기반 플랫폼이기에 초기 도입 비용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한 공간에서 구매사와 공급사 간 실시간 협업이 이뤄지며, 누구나 손쉽게 사용하는 표준화한 문서 및 프로세스, 협력사 재무 및 비재무 리스크 관리가 가능하다. 원비즈플라자의 금융 서비스는 구매 프로세스별 맞춤형 대출을 지원한다. 플랫폼 데이터의 인터넷뱅킹이 자동 연계되며 구매 업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