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CNS는 6일 지난해 매출액은 5조9826억 원, 영업이익은 5129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6.7%, 10.5% 증가했다고 공시했다. 지난해 4분기 매출은 2조242억 원, 영업이익은 2001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2%, 1.1% 늘어난 수치다. 회사 측은 5년 연속 최대 실적을 경신하며 우상향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분야별로는 클라우드와 인공지능(AI) 사업이 전년 대비 15.8% 성장하며 실적을 견인했다. 해당 분야 매출은 3조3518억 원으로 전체 매출의 약 56%를 차지했다. 회사 측은 AI 사업을 활발히 진행하는 한편 신사업 분야인 데이터센터 사업도 본격 추진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AI 신사업 분야인 AI 데이터센터 사업도 본격 추진한다. LG CNS는 AI 데이터센터의 필수 기술로 손꼽히는 ‘액침냉각’ 기술 연구과제를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과 수행중이다. 데이터센터를 가상으로 구현해 장비 과열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디지털트윈 기술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캐디안은 자사의 AI 객체탐지 기술을 활용해 스마트팜 사업에 본격 진출한다고 5일 밝혔다. CAD(컴퓨터 응용 도면설계) 프로그램 개발 전문 캐디안은 최근 AI 기술 개발에도 주력해 왔다. 캐디안 관계자는 “이번 스마트팜 사업은 캐디안의 신수종사업으로 하이브리드앰디가 개발한 노루궁뎅이버섯 재배기를 공급하면서 인공지능 비전(객체탐지, Object Detection) 기술을 추가로 탑재해 고품질 버섯을 효율적으로 재배하는 기기로 발전시킨 것”이라며 “국내는 물론 해외 시장을 개척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병찬 캐디안 상무는 “노루궁뎅이버섯은 신선도가 매우 중요한 식품으로, 출하 후 가능한 5일 이내에 소비되어야 한다”며 “소량으로 자주 유통하는 방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도심 주변의 공실, 폐업한 공장, 농촌의 폐교 등 다양한 장소에 버섯 재배기를 설치해 수확물을 브랜드화하고 대형병원, 식당, 호텔, 마트, 온라인쇼핑몰, 마켓플레이스 등으로 공급하면 높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스마트팜 사업”이라고 덧붙였다. 조 상무는 “특히 수도권이나 도심에 거주하는 50~70대 시니어들에게는 소액 투자로 약 2년 이내에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 부가가치가 높은
태국 로봇 SI사 ‘VRNJ’에 2년간 협동로봇 300대 수주 “동남아는 新 생산거점...대규모 수주 기반 마련할 것” 두산로보틱스가 태국 로봇 시스템통합(System Integration, SI) 업체 ‘VRNJ’에 협동로봇 300대를 보급하기로 했다. 두산로보틱스는 당사에 300대 규모의 협동로봇 시리즈 4종을 2년간 순차 공급한다. 2년 동안 공급되는 협동로봇 라인업은 A·H·M·P 등 네 가지 시리즈다. 이 중 M 시리즈는 모든 6축 회전 축에 힘·토크 센서를 내장해, 20g에 해당하는 0.2뉴턴(N)의 외부 충격에 급제동하며 안전을 확보하는 기능을 갖췄다. 이어 A 시리즈는 가격·가속성 측면에서 주목받는다. 특히 독일 시험인증기관 ‘티유브이슈드(TÜV SÜD)’의 안전 성능 평가에서 최고 등급을 받아 안전성 또한 확보했다. 한편, 양사는 여기에 부품 마감(Parts Finishing), 팔레타이징(Palletizing), 검사(Inspection),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 등 제조 공정에 특화된 솔루션 개발을 위해 협력할 계획이다. 향후 그 결과물을 태국·인도네시아·필리핀·베트남 등 시장에 어필할 전망이다. 류정훈 두산로보틱스
공격적인 주주환원 기조 이어져...“글로벌 수준으로 배당성향 확대할 것” 코스닥 상장사 이노룰스가 주당 250원의 현금 배당을 결정했다. 올해 이노룰스 배당금 총액은 약 12억 6400만 원으로, 이 중 시가배당률은 3.9%, 별도 기준 배당성향은 40.1%로 나타났다. 배당 기준일은 지난해 12월 31일이며, 배당금은 3월 개최 예정인 정기 주주총회 승인 이후 1개월 내 지급될 예정이다. 이노룰스는 지난해 연간 매출액 237억 원을 달성했고, 영업이익 24억 원, 당기순이익 30억 원을 기록했다. 이 같은 성과는 삼성화재·삼성생명·흥국생명·SK쉴더스 등과 IT 시스템 구축 계약을 체결한 것이 주효한 것으로 분석된다. 김길곤 이노룰스 대표이사는 “이노룰스는 적극적인 주주환원 정책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배당성향을 글로벌 수준으로 확대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에코백스가 5일 서울 콘래드 호텔에서 오즈모 롤러 자동 세척 물걸레 기술을 탑재한 ‘디봇 X8 프로 옴니’를 에코백스 미디어 컨퍼런스에서 선보였다. 본 제품은 앞서 CES 2025를 통해 앞서 공개한 바 있다. 디봇 X8 프로 옴니는 ‘오즈모 롤러 자동 세척 물걸레 기술’, ‘트루엣지 2.0 적응형 모서리 청소 기술’, ‘아이비 3D 3.0 옴니 어프로치 기능’을 주요 기술을 갖추어 사용자가 완벽하게 청소를 할 수 있도록 돕고 로봇청소기 시장을 선도할 전망이다. 오즈모 롤러 자동 세척 물걸레 기술은 해당 제품의 핵심 기술로, 16개의 청정수 노즐로 롤러에 지속적인 깨끗한 물을 공급해 실시간으로 자동 세척하고 스크래퍼로 오염된 물을 제거해 로봇 청소기 교차오염과 세균 번식 문제를 해결했다. 기존 물걸레 로봇 청소기의 원형 및 트랙형 물걸레 방식에서 오즈모 롤러는 미끄럼 방지로 압력과 마찰력을 높였다. 오즈모 롤러와 AI 반복 물걸레 청소로 찌든 때와 얼룩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 빠른 바닥 건조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로봇 청소기 사용 시 사용자의 불편사항으로 꼽혔던 가장자리와 모서리 문제를 ‘트루엣지 3D 엣지 센서’, ‘적응형 롤러’, ‘적응형 사이드
하이크비전이 2025년 AIoT 산업 트렌드 5가지를 4일 발표했다. 최근 몇 년 간 보안 업계는 주로 보안 환경의 진화하는 트렌드를 살펴봤다. 하지만 기술이 발전하면서 단순히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에서 보다 스마트하게 만드는 쪽으로 초점이 확대되고 있으며, AIoT(인공지능 기반 사물 인터넷)는 이러한 변화를 주도하며 보안을 넘어 산업 전반에 혁신을 일으키고 있다. 이에 하이크비전은 AIoT가 어떻게 산업을 재편하고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하며 지속 가능한 미래를 조성하는지 살펴봄으로써 2025년 AIoT 산업을 이끌어갈 주요 트렌드 5가지를 선정했다. 주요 키워드는 다양한 환경에 활용될 수 있는 혁신적인 인식 기술, 디지털 전환(DX) 지원, 개방형 플랫폼으로 진화, 강력한 글로벌 사이버 보안 신뢰 체제 구축, 지속가능성 실현 등이다. 1. 다양한 환경 및 상황적 요구에 적응하는 혁신적인 인식 기술 인식 기술은 다양한 조건에서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진화하고 있다. AI 이미지 신호 처리(AI-ISP, AI Image Signal Processing) 기술은 이미지 노이즈를 크게 줄이고 모션 블러(motion blur)를 해결함으로써 저조도 환경
영림원소프트랩이 한미글로벌과 로우코드 애플리케이션 개발 플랫폼 ‘플렉스튜디오’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한미글로벌은 플렉스튜디오를 활용해 건설 현장의 품질 및 하자관리를 위한 ‘펀치리스트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 펀치리스트(Punch list)는 건축물 준공 전 설비나 시공 상태를 점검해 개선해야 하는 항목을 정리한 목록으로, 플렉스튜디오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현장 작업자들이 모바일 기기로 간편하게 펀치리스트를 작성하고 공유할 수 있다. 정성효 한미글로벌 AX추진실 이사는 ”플렉스튜디오를 통해 펀치리스트 애플리케이션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편리하고 쉽게 구현할 수 있게 되어 고무적”이라며 “앞으로도 플렉스튜디오와 같은 도구를 통해 디지털 전환을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영림원소프트랩의 플렉스튜디오는 기업에서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로우코드 방식으로 신속하게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개발 플랫폼이다. 레거시 시스템 연동, 데이터베이스 활용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생산, 영업, 인사 등 폭넓은 업무 영역에서 활용 가능하다. 또한 기업용 솔루션으로서 높은 수준의 보안을 제공해 기업의 중요 데이터를 안전하게
벡터코리아는 벡터와 블랙베리 리미티드의 자회사 QNX, 티티테크오토(TTTech Auto) 3사가 차량 소프트웨어 플랫폼 공동 개발을 위한 다년간의 글로벌 협력을 발표했다고 4일 밝혔다. 3사는 번거롭고 비용이 많이 드는 소프트웨어 통합 과정을 제거하고 자동차 제조사가 브랜드 충성도, 차별화 및 가치를 창출하는 혁신적인 소비자 중심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반 차량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공동 개발하고 마케팅을 확대할 예정이다. 견고한 차량 소프트웨어 플랫폼은 차세대 차량의 핵심 요소지만, 이를 자체적으로 개발 및 유지하는 데는 비용이 많이 들며, 완성 후에도 소비자에게 직접적인 가치를 제공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각 차량의 ECU(전자제어장치)에 수백 개의 소프트웨어 공급업체가 관여하면서 통합 및 업그레이드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이로 인해 소프트웨어 간 비호환성, 성능 문제, 배포 문제 및 생산 지연이 초래된다. 하드웨어 의존성은 문제를 더욱 악화시키며 벤더 락인(vendor lock-in)을 초래하고, 다양한 모듈 및 프로그램 간의 이동성을 제한한다. 업계 컨소시엄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기존 차량 소프트웨어 플랫폼 접근법은 성능 문제
LS일렉트릭이 글로벌 전력 에너지 시장 공략을 위해 세계적인 에너지 컨설팅 및 엔지니어링 기업 테트라 테크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었다. LS일렉트릭은 지난 3일 서울 용산구에 위치한 LS용산타워에서 테트라 테크와 글로벌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식에는 LS일렉트릭의 김종우 사장과 테트라 테크의 데이비드 조지 사장을 포함한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해 글로벌 에너지 시장 변화에 따른 협력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양사는 미국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전력 솔루션 비즈니스, AI 기반 데이터센터,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협력 범위를 넓히고 새로운 시장 개척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특히 LS일렉트릭과 테트라 테크는 각자가 보유한 전력 솔루션 역량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시장 맞춤형 솔루션과 서비스를 선제적으로 제안하며 사업을 확장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이를 통해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의 전력 및 에너지 시장에서 양사의 입지를 강화할 방침이다. 김종우 LS일렉트릭 사장은 “전 세계적으로 전력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는 가운데 LS일렉트릭은 효율적인 생산 인프라와 재고 관리로 납기 경쟁력을 확보하며 성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디노(DINO)가 Autodesk 공식 총판사 SCK의 후원으로 AutoCAD를 사용 중이거나 도입을 고려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무료 라이선스 지원과 기업 홍보 영상 제작 이벤트를 진행한다. 이번 이벤트로 제작되는 홍보 영상은 기업의 개성과 스토리를 살린 콘텐츠 구성으로 차별성을 갖추고자 한다. 영상은 ‘유튜버가 찾아가는 고객 사례 인터뷰’ 형식으로 제작되며, 유튜브 채널 ‘개념탑재술(구독자 6만)’에 업로드된다. 이를 통해 참가 기업들은 효과적으로 잠재 고객과 업계 관계자들에게 다가간다. 이벤트 지원 대상은 설계 및 엔지니어링뿐 아니라 다양한 산업군 기업을 대상으로, AutoCAD를 사용 중이거나 도입을 고려하는 모든 기업이다. 기존에 AutoCAD를 사용하지 않았던 기업도 신청 가능하다. 신청은 지정된 페이지(https://topjaerecruitment1.imweb.me)에서 가능하며 이벤트는 한정된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디노 관계자는 “감각적인 홍보 콘텐츠 제작으로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겠다”며 “이번 AutoCAD 지원 이벤트를 통해 더 많은 기업이 효과적인 홍보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헬로티 구서경 기자 |
포스코DX는 연결 기준 작년 한 해 영업이익이 1090억 원으로 전년보다 1.4%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3일 공시했다. 매출은 1조4733억 원으로 전년 대비 0.8% 감소했다. 순이익은 886억 원으로 3.8% 줄었다. 4분기 영업이익은 232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64% 늘었다. 이 분기 매출과 순이익은 각각 3616억 원과 208억 원이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데이터와 AI 기술 활용해 제조 현장에 예측 가능한 환경 제공 아하랩스가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린 '넵콘 재팬 2025(NEPCON JAPAN 2025)'과 함께 열린 '로보덱스(RoboDEX)'에 참가해 AI 솔루션을 활용한 제조 혁신 사례를 공유했다. 올해로 39회째를 맞은 넵콘 재팬은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전역의 전자 산업과 함께 발전해 온 전시회다. 넵콘 재팬은 기판, SMT, IC & 센서 패키징, 테스트 등 전자 산업을 세분화해 7개 전문 전시회로 구성됐다. 이와 함께 동시 개최되는 주요 전시회는 자동차, 스마트제조, 물류, 웨어러블 등 각광받는 산업을 다루며, 현장에 적용되는 기술 및 솔루션을 선보였다. 아하랩스는 ‘AI 기술로 모두의 일상을 이상적인 미래로 바꾼다’는 비전으로 데이터와 AI 기술을 활용해 제조 현장에 예측 가능한 환경을 제공해 왔다. 주요 EV 배터리 기업을 포함해 한국, 미국, 유럽, 중국, 싱가포르 등 다양한 제조 현장에서 고객사와 협력하고 있다. 아하랩스는 제조 디지털 전환 종합 컨설팅에 초점을 맞춰 고객사의 빅데이터 및 AI 모델, 클라우드 및 엣지 컴퓨팅을 구축하며, 디지털 트윈, 통신 네트워크 등의 인프라
비즈니스캔버스의 B2B 세일즈 솔루션 ‘리캐치(Re:catch)’가 2024년 연간 반복 매출(ARR) 205% 이상 성장과 함께 322개 유료 고객사를 확보하며 괄목할 만한 성과를 달성했다고 31일 밝혔다. 김우진 비즈니스캔버스 대표는 “리캐치 팀은 ‘Don't Sell, Help!’ 정신으로 고객의 탄탄한 파이프라인 구축을 돕고 매출 책임자들의 의사결정을 개선하는 데 집중해왔다”며 “2025년에는 고객과 시장의 문제 해결에 집중하며 AI를 활용한 새로운 기능들과 리캐치 컨퍼런스 등을 통해 고객과의 소통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리캐치는 2024년 한 해 동안 7만8210개의 리드를 관리하고 1만7882건의 영업 미팅을 수립하는 성과를 거뒀다. 특히 폼 입력 후 미팅 전환율이 업계 평균 대비 1.9배 높은 39%를 기록했으며 첫 문의에서 세일즈 미팅 리드 타임을 4.3일에서 35초로 대폭 단축시켰다. 이를 통해 고객사들은 약 225억 원 이상의 잠재 매출을 창출했다. 리캐치는 74회의 기능 업데이트를 진행했으며, 고객들과 690시간 동안 소통하며 35%의 고객 의견(VoC)을 제품에 반영했다. ‘폼/리드라우터’가 가장 많이 사용된 기능으로, 마케팅
글룩은 초정밀 품질관리 시스템 강화를 위해 글로벌 스캐너 솔루션 기업 크레아폼(Creaform)의 장비를 신규 도입했다고 31일 밝혔다. 크레아폼은 캐나다에 본사를 두고 있는 글로벌 스캐너 솔루션의 선두 기업으로 초정밀 측정 기술과 혁신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며 업계를 선도하고 있다. 글룩 관계자는 “이번 신규 장비 도입은 초고정밀 스캐닝 기술을 통해 3D 프린팅 및 제조 서비스의 정밀도를 대폭 향상시키고자 하는 글룩의 전문성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강조했다. 글룩이 도입한 장비 ‘etraSCAN BLACK Elite’는 MetraSCAN BLACK Elite 산업 전반의 고정밀 품질 검증과 역설계에 사용되는 초정밀 3D 스캐너로 엔지니어링 및 정밀 제조 분야에서 세계적인 표준으로 인정받고 있다. ‘Go!SCAN 3D’는 풀컬러 3D 스캔에 특화된 장비로 빠르고 직관적인 작업 흐름을 통해 컬러 데이터 기반의 제품 시각화 및 디자인 검증을 지원한다. 글룩은 이번 신규 장비 도입 이후 현재 진행 중인 3D 프린팅 제조혁신 실증지원 사업의 핵심 품질 검증 기술을 강화에 나설 계획이다. 현재 글룩은 한국프리시전웍스와 함께 타이어 마스터 모델의 정밀도를 검증하고 3D
나우로보틱스가 코스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 승인을 받으며 IPO(기업공개)에 본격 돌입한다고 31일 밝혔다. 나우로보틱스는 지난 24일 한국거래소로부터 코스닥 상장을 위한 상장 예비심사 승인을 받았다. 상장 주관사는 대신증권이다. 회사는 이번 승인 직후 증권신고서 제출을 위한 제반 사항을 준비하며 코스닥 상장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지난 2016년 설립된 나우로보틱스는 지능형 로봇전문 기업으로 ▲취출로봇 ▲직교로봇 ▲다관절로봇 ▲스카라로봇 등 다양한 산업용 로봇과 자율주행 물류로봇 라인업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완제품 로봇 제조를 위한 로봇 모션 제어 기술 및 로봇 H/W 설계 기술을 모두 보유 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로봇뿐만 아니라 로봇 토탈 솔루션을 제공한다. 나우로보틱스는 작년 하반기 한국거래소가 선정한 평가기관에서 A등급을 받아 소부장특례 기술성 평가를 통과한 바 있다. 회사는 이번 상장을 통해 유입되는 공모자금을 통해 ▲공장 증축 ▲설비 투자 ▲연구개발 및 마케팅을 통한 해외진출을 통해 글로벌 로보틱스 기업으로 발돋움한다는 전략이다. 이종주 나우로보틱스 대표는 “상장 예비심사 통과로 코스닥 상장을 위한 순조로운 행보를 이어갈 수 있을 것”이라며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