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은 신뢰성과 성능으로 반도체 제조 프로세스 향상해 아이에스엠(iiSM)은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린 '넵콘 재팬 2025(NEPCON JAPAN 2025)'에 참가해 실시간 실리콘 웨이퍼 공극 검사 시스템을 선보였다. 올해로 39회째를 맞은 넵콘 재팬은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전역의 전자 산업과 함께 발전해 온 전시회다. 넵콘 재팬은 기판, SMT, IC & 센서 패키징, 테스트 등 전자 산업을 세분화해 7개 전문 전시회로 구성됐다. 이와 함께 동시 개최되는 주요 전시회는 자동차, 스마트제조, 물류, 웨어러블 등 각광받는 산업을 다루며, 현장에 적용되는 기술 및 솔루션을 선보였다. iiSM은 전시회에서 자사가 개발한 실시간 실리콘 웨이퍼 공극 검사 시스템을 소개했다. 이 시스템은 Spectrolight 브랜드의 튜너블 레이저 시스템(TLS)을 사용하며 높은 신뢰성과 성능으로 반도체 제조 프로세스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이에스엠은 Spectrolight 브랜드로, 분광 기기의 개발·제조를 다룬다. 과학 연구와 산업 용도를 위한 고성능의 신뢰성 높은 포토닉 툴을 전문으로 하고 있다. 주력 제품은 정밀한 파장 선택이 가능한 튜너블 밴드 패스
일반 SMT부터 반도체 패키징까지 다양한 첨단 산업 커버해 노피온은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린 '넵콘 재팬 2025(NEPCON JAPAN 2025)'에 참가해 SACA, Solder ACF, NCF 등 첨단 소재 기술을 선보였다. 올해로 39회째를 맞은 넵콘 재팬은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전역의 전자 산업과 함께 발전해 온 전시회다. 넵콘 재팬은 기판, SMT, IC & 센서 패키징, 테스트 등 전자 산업을 세분화해 7개 전문 전시회로 구성됐다. 이와 함께 동시 개최되는 주요 전시회는 자동차, 스마트제조, 물류, 웨어러블 등 각광받는 산업을 다루며, 현장에 적용되는 기술 및 솔루션을 선보였다. 노피온은 전시회에서 자사의 소재 라인업을 소개했다. 대표적으로, SACA(Self-assembly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는 솔더 분말이 전극 위에 스스로 이동하여 융착하는 신개념의 이방성 도전 접착제다. 기존 ACF보다 낮은 본딩압력과 높은 접착력을 구현하고 5G 통신에서 요구되는 초저 접속저항 및 초미세피치 구현이 가능하며 면접합에 의한 수명이 우수하다. 노피온은 금속, 세라믹, 폴리머, 복합재, 기능성 분말, 유기 및 무
맞춤형 개선 및 소형화 모터 설계로 시장 경쟁력 갖춰 코모텍은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린 '넵콘 재팬 2025(NEPCON JAPAN 2025)'에 참가해 모터 라인업을 선보였다. 올해로 39회째를 맞은 넵콘 재팬은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전역의 전자 산업과 함께 발전해 온 전시회다. 넵콘 재팬은 기판, SMT, IC & 센서 패키징, 테스트 등 전자 산업을 세분화해 7개 전문 전시회로 구성됐다. 이와 함께 동시 개최되는 주요 전시회는 자동차, 스마트제조, 물류, 웨어러블 등 각광받는 산업을 다루며, 현장에 적용되는 기술 및 솔루션을 선보였다. 코모텍은 전시회에서 자사의 모터 라인업을 소개했다. 대표적으로 AC 서보모터의 경우, 고성능 네오디뮴 자석, 정밀 제작 장비, 고밀도 권선 기술을 채택했다. 또한, 다양한 표준 제품뿐 아니라 독창적인 모터 디자인과 제조 기술을 바탕으로 고객이 필요로 하는 맞춤형 제품을 빠른 시일에 제공한다. 코모텍은 산업 자동화 및 방위를 위한 영구 자석 동기식 모터 기술을 개발해 왔다. 코모텍은 고객의 요구 사항에 맞춘 맞춤형 개선 및 소형화 모터 설계로 시장 경쟁력을 갖추는 데 성공했다. 코모텍 모터 라인업은 12Vdc의
일본은 수출 측면에서 제조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90%에 육박하며 제조업을 핵심 먹거리로 국가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제조업에 특화된 노하우와 정밀하고 직접화된 기술력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일본은 오랜 시간 동안 글로벌 제조(Manufacturing) 강국의 위치를 공고히 했다. 일본은 이 같은 선두국 위치를 고수하면서도, 인도·베트남·인도네시아 등 후발주자를 견제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강구하고 있다. 이 기조의 중심에는 디지털화(Digitalization)·스마트화(smartization)가 깔려있다. ‘Society 5.0’과 ‘Connected Industries’를 핵심 비전으로 채택하고, 거시적 관점에서 ‘스마트 제조’ 실현을 목표하고 있다. 이를 위해 민관 협력 기반 정책 기획에 이은 민간 주도적인 정책 실행을 유도하고 있다. 이러한 바탕을 통해 인적자원 발굴, 신재생 에너지·신소재 개발, 정보통신기술(ICT) 고도화 등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기존 ‘하드웨어(HW)’ 기반의 제조 시스템 전반을 ‘소프트웨어(SW)’로 확장하는 작업을 진행하는 중이다. 제조 생태계 전체에 디지털 전환(DX) 요소를 이식한 후
하드웨어(Hardware)는 ‘단단한’을 뜻하는 ‘Hard’와 ‘물건’을 지칭하는 ‘Ware’가 접목된 합성어다. 산업혁명 도래 이전부터 인간 삶을 지탱하는 도구(Tool)로써 지속적으로 진화해왔다. 물리적 ‘활용성’, 직관적인 ‘효율성’, 다양한 영역에서의 ‘범용성’ 등이 차곡차곡 고도화돼 각종 산업 환경에서 ‘소리 없이 강한’ 존재감을 발휘하는 중이다. 오랜 역사와 레퍼런스를 지닌 하드웨어는 긴 시간 동안의 활약만큼이나, 커다랗고 다양한 변화에 맞서왔다. 산업 내 효율·편의를 위한 ‘단순 설계 변화’부터 급변하는 산업 시스템에 대응·적응하는 데 필요한 요소를 이식하는 ‘형태 전환’까지 다양한 경험을 거쳤다. 단순한 수공구에서 기계·장비로의 진화, 그리고 보이지 않는 시스템 속 하나의 요소로 녹아든 것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렇게 여러 각도에서 인간사에 많은 영향과 가능성을 제시한 하드웨어는 여전히 우리 산업 안에서 주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중이다. 이 같은 하드웨어는 지금 이 시점 다양한 관점에서 또 다른 도전 과제에 직면해있다. 그 변화의 물꼬를 틀 방안으로, 디지털화(Digitalization)·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확보 등에 사활을
바이드뮬러코리아는 오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를 대표하는 산업자동화 전시회인 ‘2025 스마트공장 자동화산업전(AW2025)’에 참가해 스냅인 솔루션과 파워서플라이를 중심으로 자동화 시장에 특화된 결선 및 전원 솔루션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이는 스냅인 솔루션은 결선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체결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혁신적인 방식으로, 작업의 간소화와 품질 보장을 동시에 실현한다. 이 솔루션은 조립 공정에서의 시간 절약뿐만 아니라 체결 안정성을 극대화해 사용자들에게 높은 만족도를 제공하고 있다. 파워서플라이는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과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차세대 전원 공급 장치이다. 이 제품은 설비의 전원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높이고,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스마트 팩토리 환경에 완벽히 대응한다. 이를 통해 제조 현장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한다. 바이드뮬러는 독일의 전장품 제조사로, 자동화 시장에서 혁신적인 결선 기술과 전원 공급 솔루션을 제공하며 세계적으로 신뢰받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손쉽고 효율적인 전장 설계를
엣지크로스가 오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를 대표하는 산업자동화 전시회인 ‘2025 스마트공장 자동화산업전(AW2025)’에 참가해 모드링크 머신매니저 솔루션과 모드링크 PLC 매니저를 중심으로 기계 디지털 전환(DX)을 선도할 혁신적인 AIoT 플랫폼 기반 솔루션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에서 소개할 예정인 모드링크 머신매니저 솔루션은 기존 기계를 스마트머신으로 쉽고 빠르게 전환해주는 솔루션으로, 데이터 수집, 원격제어, 모니터링, AI 알림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이 솔루션은 안정성과 보안성이 높은 클라우드 서버 기반으로 운영되며, LTE 통신을 활용해 해외 공장 및 기계장비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특히, 구독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어 초기 비용 부담을 줄이고 다양한 규모의 제조 현장에서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모드링크 PLC 매니저는 PLC 엔지니어가 현장에 직접 가지 않고도 PLC 프로그램을 원격으로 수정할 수 있는 혁신적인 솔루션이다. 기존 설비의 PLC에 엣지크로스의 IoT 디바이스인 모드링크를 연동하면, LAN 같은 물리적 연결 없이도 LTE 라우터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PLC 수정과 업로드가 가능하
모넷코리아가 오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를 대표하는 산업자동화 전시회인 ‘2025 스마트공장 자동화산업전(AW2025)’에 참가해 IoT 무선 센서 및 게이트웨이와 IoT 모니터링 플랫폼을 중심으로 한 첨단 IoT 솔루션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에서 공개 예정인 IoT 무선 센서 및 게이트웨이는 배터리 기반의 초저전력 장거리 센서로, 최적의 조건에서 최대 10년간 배터리 수명을 유지할 수 있다. 이 센서는 개활지에서 최대 300m, 벽 10개를 투과하는 강력한 신호 범위를 자랑하며, 다양한 환경에서 유연하게 사용 가능하다. 이를 통해 모넷코리아는 고객들에게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IoT 환경을 제공한다. IoT 모니터링 플랫폼 iMONNIT는 모넷 무선 센서와 게이트웨이를 전용으로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으로, 센서 및 네트워크 설정과 사용자 맞춤 설정이 가능하다. 이 플랫폼은 각 센서의 임계값을 설정해 이상 발생 시 문자나 이메일 알림을 관리자와 설정된 사용자들에게 전송하며, 스마트폰을 포함한 모든 인터넷 기반 디바이스에서 접근할 수 있어 실시간 모니터링을 지원한다. 모넷코리아는 80여 종의 IoT 센서와 플랫폼을 제공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분야에 전자 산업용 잉크젯 장비 보급 유니젯은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린 '넵콘 재팬 2025(NEPCON JAPAN 2025)'에 참가해 반도체 패키징 방열 인쇄 기술을 선보였다. 올해로 39회째를 맞은 넵콘 재팬은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전역의 전자 산업과 함께 발전해 온 전시회다. 넵콘 재팬은 기판, SMT, IC & 센서 패키징, 테스트 등 전자 산업을 세분화해 7개 전문 전시회로 구성됐다. 이와 함께 동시 개최되는 주요 전시회는 자동차, 스마트제조, 물류, 웨어러블 등 각광받는 산업을 다루며, 현장에 적용되는 기술 및 솔루션을 선보였다. 유니젯은 전자 산업용 잉크젯 인쇄 장비에 집중한 결과 반도체, 디스플레이, 휴대폰, 태양광 발전 등 다양한 분야의 산업 기기에 100가지 이상의 잉크를 작동시키는 기술을 보유했다. 유니젯은 꾸준한 연구개발 투자로 인해 세계 최초로 OLED Lighting Encapsulation 장비를 개발해 독일 고객사에 납품했다. 또한, 국내 주요 소재기업 및 연구기관과의 협업으로 국내 산업용 잉크젯 분야의 생태계 구축에 힘쓰고 있다. 한편, 넵콘 재팬 2025는 1월 22일부터 24일까지
본딩, 마운트, 어닐, 절단, 리플로우, 드릴, 클리닝, 에칭 등 다양한 공정에 활용돼 아큐레이저는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린 '넵콘 재팬 2025(NEPCON JAPAN 2025)'에 참가해 자사의 고정밀 레이저 기술을 선보였다. 올해로 39회째를 맞은 넵콘 재팬은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전역의 전자 산업과 함께 발전해 온 전시회다. 넵콘 재팬은 기판, SMT, IC & 센서 패키징, 테스트 등 전자 산업을 세분화해 7개 전문 전시회로 구성됐다. 이와 함께 동시 개최되는 주요 전시회는 자동차, 스마트제조, 물류, 웨어러블 등 각광받는 산업을 다루며, 현장에 적용되는 기술 및 솔루션을 선보였다. 아큐레이저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전지 및 태양광 등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되는 레이저 및 광학기술 수요에 대응하는 레이저 기기 제조 및 프로세스를 개발하고 있다. 아큐레이저 최첨단 레이저 기술을 사용한 본딩, 마운트, 어닐, 절단, 리플로우, 드릴, 클리닝, 에칭 등의 프로세스에 널리 사용된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 대만, 중국 등의 주요 기업과 다양하게 협력하고 있다. 한편, 넵콘 재팬 2025는 1월 22일부터 24일까지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렸
슬라이딩 모드 제어로 정밀성 및 안정성 높여 알에스오토메이션은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린 '넵콘 재팬 2025(NEPCON JAPAN 2025)'에 참가해 로봇모션제어 솔루션인 'RSA 다축 서보 드라이브'를 선보였다. 올해로 39회째를 맞은 넵콘 재팬은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전역의 전자 산업과 함께 발전해 온 전시회다. 넵콘 재팬은 기판, SMT, IC & 센서 패키징, 테스트 등 전자 산업을 세분화해 7개 전문 전시회로 구성됐다. 이와 함께 동시 개최되는 주요 전시회는 자동차, 스마트제조, 물류, 웨어러블 등 각광받는 산업을 다루며, 현장에 적용되는 기술 및 솔루션을 선보였다. 제어 솔루션에 포함된 'D8 시리즈'는 고정밀 제어 가능 전원 일체형 다축 서보 드라이브다. D8 시리즈는 200W에서 1kW까지의 용량 범위를 갖췄으며, EtherCAT 전용 타입으로 2축 모델과 3축 모델을 지원한다. 고속 DSP를 채용해 2.5kHz의 빠른 속도응답 주파수와 고성능 스마트 튜닝 알고리즘으로 장비의 생산성을 높였다. 또한, 케이블 배선을 최소화해 장비 설계의 유연성과 설계 시간 축소 및 유지 보수 편의성을 제공한다. 알에스오토메이션은 로봇모션 제어장치를
독보적인 X-ray 기술 기반으로 신속한 촬영 속도 및 촬영 면적 확장 자비스는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린 '넵콘 재팬 2025(NEPCON JAPAN 2025)'에 참가해 정밀 검사가 가능한 X-ray 기술 및 장비 라인업을 선보였다. 올해로 39회째를 맞은 넵콘 재팬은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전역의 전자 산업과 함께 발전해 온 전시회다. 넵콘 재팬은 기판, SMT, IC & 센서 패키징, 테스트 등 전자 산업을 세분화해 7개 전문 전시회로 구성됐다. 이와 함께 동시 개최되는 주요 전시회는 자동차, 스마트제조, 물류, 웨어러블 등 각광받는 산업을 다루며, 현장에 적용되는 기술 및 솔루션을 선보였다. 자비스는 이번 전시회에서 자사의 X-ray 장비 시리즈인 '엑스스캔(Xscan)' 라인업을 소개했다. Xscan-H 시리즈의 경우 자동화기술을 활용한 2D·3D 하이브리드 검사 시스템이다. 고속 OCT 기술을 이용한 정밀 결과를 산출하며, 사용자 편리성에 맞춰 소프트웨어, 테이블 사이즈 등 맞춤 제작이 가능하다. 이와 함께 자비스가 선보인 'TXM XUI'는 3D 고해상도 현미경 나노 CT 장비다. 물체를 손상시키지 않고 X-ray 기술을 활용해 물체의
내마모성과 내유성에 강점, 작은 외경 크기로 설치도 간편해 토마스케이블은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린 '넵콘 재팬 2025(NEPCON JAPAN 2025)'에 참가해 클린룸에 적용할 수 있는 케이블 제품을 선보였다. 올해로 39회째를 맞은 넵콘 재팬은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전역의 전자 산업과 함께 발전해 온 전시회다. 넵콘 재팬은 기판, SMT, IC & 센서 패키징, 테스트 등 전자 산업을 세분화해 7개 전문 전시회로 구성됐다. 이와 함께 동시 개최되는 주요 전시회는 자동차, 스마트제조, 물류, 웨어러블 등 각광받는 산업을 다루며, 현장에 적용되는 기술 및 솔루션을 선보였다. 클린룸 케이블은 클린룸 환경에서 설계된 특수 케이블로, 먼지, 오염 등의 방출을 최소화해 깨끗함을 유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반도체 산업을 비롯해 제약, 바이오 테크, 의료 장비, 정밀 기계 등 깨끗한 환경이 필수적인 산업 분야에서 사용된다. 토마스케이블의 대표 제품인 'S 771'은 가동용 클린룸 케이블이다. 이 케이블은 내마모성과 내유성이 좋고 외경이 작아 설치가 간편하다. 'S 775 C'는 가동용 클린룸 차폐 케이블로, S 771과 마찬가지로 내마모성과 내유성이 뛰어나며
40% 이상의 R&D 엔지니어와 자사 공장 기반으로 제품 신뢰성 높여 크래비스(CREVIS)는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린 '넵콘 재팬 2025(NEPCON JAPAN 2025)'에 참가해 머신비전 카메라 라인업을 소개했다. 올해로 39회째를 맞은 넵콘 재팬은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전역의 전자 산업과 함께 발전해 온 전시회다. 넵콘 재팬은 기판, SMT, IC & 센서 패키징, 테스트 등 전자 산업을 세분화해 7개 전문 전시회로 구성됐다. 이와 함께 동시 개최되는 주요 전시회는 자동차, 스마트제조, 물류, 웨어러블 등 각광받는 산업을 다루며, 현장에 적용되는 기술 및 솔루션을 선보였다. 크래비스는 국내 머신비전 카메라 및 산업용 네트워크 제조 기업이다. 40% 이상의 R&D 엔지니어와 자사 공장을 기반으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고, 신속한 배송 및 기술 지원을 수행해 왔다. 표준 머신비전 카메라 외에도 3CMOS, Polarization, SWIR 등 다양한 특수 카메라를 개발 및 제조하고 있다. CMOS 기반의 경제형 SWIR 카메라의 경우 CMOS 방식의 SWIR 센서가 적용된 제품으로 InGaAs 기반 SWIR 카메라 대비 합리
에어로테크가 미니 헥사포드(Hexapod) 모델 ‘HexGen HEX150-125HL’을 론칭했다. 헥사포드는 6축 자유도(6 Degrees of Freedom, 6DoF) 기반 가동 제어 기술이다. 다중 자유도 동작이 필요한 환경에 특화됐다. 이번 에어로테크 신기술은 직경 150mm, 공칭 높이 125mm 등 규격을 갖춘 소형·경량화 헥사포드다. 점진적 증가를 뜻하는 ‘증분(Incremental)’ 모션은 최소 15나노미터(nm)까지 발휘하고, 최대 12kg의 무게를 다룬다. HexGen HEX150-125HL은 최대 속도 30mm/s를 기반으로, 높은 반복성과 이동 범위가 넓은 것이 특징이다. 여기에 소형 케이블 커넥터 두 개가 탐재돼 설치가 직관적이며, 기존 구동 제어기(Motion Controller)와의 통합이 간편하다. 브라이언 핑크(Brian Fink) 에어로테크 프로덕트 매니저는 “이번 신모델은 소형·경량화 디자인과 견고한 내구성을 바탕으로, 일관적·안정적인 6DoF 가동을 구현한다”며 “낮은 총소유비용(TCO)을 보장하는 이 솔루션은 자사 모션 컨트롤 플랫폼 ‘Automation 1’과 연동해 타 모션 축과 손쉬운 연결이 가능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