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토시스템(대표 이상돈)은 지난 28일 일본 임베디드협회가 주최한 EdgeTech+ 2024(이하 엣지테크플러스)에서 자사 UI/UX 개발 플랫폼 ‘엑스빌더6(eXBuilder6)’를 소개하며 업계 관계자들의 주목을 받았다고 밝혔다. 엣지테크플러스는 일본 요코하마 퍼시피코 전시홀에서 열린 글로벌 기술 행사로, 엣지 컴퓨팅, AI, 사물인터넷(IoT), 임베디드 시스템 등 첨단 기술을 주제로 한 자리다. 올해 행사에는 총 32,427명의 내방객이 참여했으며, IT 업계 관계자와 투자자, 개발자들이 활발히 교류했다. 토마토시스템은 이번 전시회에서 ‘엑스빌더6’의 주요 기능과 특장점을 알리는 데 집중했다. 특히 팜플렛과 데모 영상을 활용해 관람객들의 이해도를 높이며 제품에 대한 깊은 관심을 이끌어냈다. 이번 행사는 일본 파트너사인 RSP와 협력해 진행됐다. RSP는 2017년에 설립된 일본 IT 기술 기업으로, 다양한 IT 솔루션과 시스템 개발, 서버 구축 및 운영, AWS 환경 구축 서비스를 제공하며 일본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해왔다. 토마토시스템 관계자는 “엣지테크플러스 2024는 일본 IT 시장의 트렌드와 수요를 이해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토마토시스템의 입
‘로보틱 프로세스 자동화(Robotic Process Automation 이하 RPA)’는 업무 자동화 트렌드의 지평을 연 기술로 평가받는다. 그동안 다양한 산업 안에서 수많은 레퍼런스를 축적했다. 단순 반복을 요구하는 업무에 자동화(Automation) 요소를 이식해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비즈니스 혁신에 기여한 핵심적인 기술이다. RPA가 활용성을 극대화하던 2010년 대 중반, 인공지능(AI)이 새로운 먹거리 기술로 급부상하면서 프로세스에 AI를 이식하는 차세대 방법론이 등장했다. 1차원적인 자동화에 그쳤던 RPA에 ‘지능화’를 불어넣는 신기법이 주목받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경향은 거대언어모델(Large Language Model 이하 LLM) 기반 생성형 AI(Generative AI)가 탄생하면서 가속화됐다. 이 같은 개념에 정점을 찍은 것이 바로 ‘AI 에이전트(AI Agent)’다. 시키던 업무만 하던 RPA에서 벗어나, 학습된 자율적 판단에 의해 규칙적이지 않은 ‘비정형’ 업무를 수행하고, 효율적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비즈니스 비서 혹은 동료다. AI 에이전트는 각종 업무에서 발생하는 변수를 파악·차단하고, 비즈니스 목표에 최적화된 결정·
원/달러 환율은 27일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대 등의 영향으로 소폭 하락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거래 종가는 전날보다 1.2원 내린 1397.0원으로 집계됐다. 환율은 0.8원 오른 1399.0원으로 개장한 뒤 이내 하락 전환했다. 장중 여러 차례 상승과 하락을 오가다가 주간 거래 마감 전 하락세를 보였다. 이날 새벽 2시 야간 거래 종가는 1396.1원이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날보다 0.10% 내린 106.84를 기록 중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12월 기준금리 인하 기대 고조가 환율 하락 요인으로 꼽힌다. 간밤에 공개된 미 연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11월 의사록은 시장에서 비교적 비둘기파(통화 완화 선호)적인 메시지로 해석됐다. FOMC 의사록은 “참석 위원들은 지표가 예상대로 나오고 인플레이션이 지속해 2%로 둔화하며 경제가 완전 고용에 가까운 상태를 유지한다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진적으로 중립적인 정책 입장으로 나아가는 게 적절하다고 예상했다”고 전했다. 28일 발표되는 미국의 10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연준이 중시하는 물가 지표로, 금
글로벌 기술 및 보안 선도기업 탈레스(Thales)가 사이퍼트러스트 서비스형 데이터 보안 플랫폼(CipherTrust Data Security Platform as-a-Service)에 새로운 기능인 사이퍼트러스트 트랜스패런트 인크립션(CipherTrust Transparent Encryption, CTE)을 추가하며 데이터 보안 역량을 강화했다. CTE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인프라를 수정하지 않고도 고성능 암호화를 제공하며 기업들이 복잡한 클라우드 및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규정 준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탈레스는 이번 서비스에 제로 다운타임 암호화 기술을 적용해 데이터 암호화와 재저장을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가동을 중단하지 않고도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 랜섬웨어 방지 기능은 비정상적인 데이터 입출력 활동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악성 행위를 사전에 탐지해 차단함으로써 랜섬웨어 공격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가능하게 한다. 탈레스의 데이터 보안 제품 담당 부사장 토드 무어(Todd Moore)는 “이번 플랫폼 확장은 데이터 보안과 규정 준수를 손쉽게 관리
롯데글로벌로지스는 27일 서울 여의도 유진그룹 빌딩에서 티엑스알로보틱스와 물류 자동화 사업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로봇 및 물류 자동화 사업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 및 협력을 통해 스마트 물류 혁신을 가속화하고 국내외 물류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롯데글로벌로지스는 협약에 따라 물류 자동화 사업 모델을 설계하고 이를 실증할 테스트베드를 지원하며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주력할 예정이다. 티엑스알로보틱스는 롯데글로벌로지스의 물류 자동화를 위한 사업화 지원 및 기술 개발에 상호 협력한다. 특히 양사는 자율 이동 로봇(AMR)과 다양한 제어기술을 바탕으로 롯데글로벌로지스의 물류센터 운영에 최적화된 솔루션 개발에 긴밀히 협조해 나가기로 하였다. 롯데글로벌로지스 관계자는 “티엑스알로보틱스와의 협력은 첨단 기술과 물류 역량을 결합해 고객 맞춤형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고 스마트 물류 혁신을 실현하는 데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는 다양한 기술 협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물류 자동화 기술의 상용화를 목표로 긴밀한 협력을 이어나
(재)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원장 이인용)은 지역 XR 메타버스 기업의 기술력 강화를 위해 추진한 ‘2024년 XR 융합콘텐츠 제작 지원사업’이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전남 특화산업과 지역 현안 해결을 목표로, XR(확장현실)과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한 융합 콘텐츠 개발을 지원한다. 진흥원은 약 6억 9천만 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해 총 7개의 과제를 선정했다. 주요 과제로는 △스마트전력 △생태환경 등이 있으며, 관련 기업들과의 협업이 본격화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큐브와 다온플레이스가 협력해 진행 중인 ‘수소 에너지 전주기 시설물 특화형 디지털트윈 저작 솔루션 개발’은 주목할 만하다. 이 솔루션은 수소 에너지 생산의 효율성을 높이고, 데이터 관리 및 시각화를 통해 안정성을 강화하는 디지털트윈 기술을 활용한다. 이를 통해 수소경제 활성화와 글로벌 시장 진출의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로 스마트큐브는 글로벌 투자회사 ARC Group과 NDA를 체결하며, 미국과 동남아 시장으로의 진출을 준비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철강 제조 분야로 디지털 트윈 적용을 확장하는 신규 사업도 추진 중이다. 또한 에스씨크리에이티브는 순천만자연생태관에서 X
중소벤처기업부는 민관협력 창업 지원사업인 ‘팁스’(TIPS)를 통해 유치한 후속 투자가 15조 원에 달한다고 27일 밝혔다. 팁스는 중기부가 선정한 운영사가 민간의 전문성과 역량을 활용해 창업기업을 선별하고 정부가 연구개발(R&D) 및 창업 사업화 자금 등을 연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팁스 출범 후 지난 10년간 지원받은 스타트업은 3200여개로 이들은 15조 원 규모의 후속 투자를 유치하고 2만2549명의 신규 고용을 창출했다. 중기부는 이날 강남 라움아트센터에서 ‘팁스 넥스트 &’ 행사를 열고 이런 운영 성과와 정책 방향을 담은 ‘팁스 넥스트 전략’을 발표했다. 넥스트 전략에는 ▲중·장기적 성장을 위한 스케일업 지원 강화 ▲글로벌 도약을 위한 해외 진출 지원 강화 ▲비수도권 팁스 유입 촉진을 통한 지역 창업생태계 조성 ▲체계적인 사업 추진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 등 4개의 전략 과제가 담겼다. 먼저 창업기업의 중·장기적 성장을 위해 인공지능(AI) 기반 분석을 통한 성장 해법을 제공한다. 민간 융자 프로그램과 최우수 성과를 창출한 기업을 대상으로 포스트 팁스 지원금도 확대할 방침이다. 해외 진출 강화를 위해 올해부터 글로벌 R&D 전
주요 관계자들과 여러 논의 진행하며 신규 시장 진출 가능성 '확인' 망고부스트가 현지 시각 11월 18일부터 21일까지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열린 ‘슈퍼컴퓨팅 2024(Supercomputing 24, SC24)’ 컨퍼런스에 참가하며 글로벌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했다. 망고부스트는 지난 10월 미국 캘리포니아 산호세에서 개최된 ‘2024 OCP 글로벌 서밋’에 이어, 이번 SC24에서도 대규모 단독 부스를 운영하며 자사의 DPU 전 제품군을 선보였다. 회사는 하드웨어 IP부터 PCIe 카드, 서버, 시스템 소프트웨어에 이르기까지 데이터 센터의 스토리지, 네트워킹, AI 추론 및 학습 등 핵심 기능을 가속화하는 기술력을 대대적으로 알리며 주목을 받았다. 망고부스트는 SC24에서 FH(Full Height) 및 LP(Low Profile) 등 다양한 규격과 100G, 200G, 400G 대역폭을 지원하는 PCIe DPU 카드, AMD MI300X GPU 서버용 RDMA DPU 카드, NVMe/TCP 기반 스토리지 DPU 카드를 탑재한 고성능 서버 제품군을 공개했다. 특히 PCIe DPU 카드는 가상화, 네트워킹, 스토리지, 보안 등 데이터 센터 주요 기능
인공지능(AI) 제품과 서비스 개발·활용 기업을 지원하는 ‘인공지능(AI) 경영시스템’ 국가표준(KS)이 이르면 내년 상반기 제정된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국표원)은 27일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AI 경영시스템 KS 제정 설명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AI 경영시스템 KS 제정은 챗GPT로 대표되는 생성형 AI의 급속한 확산과 함께 유럽연합(EU) 등이 AI 법제화를 통해 AI 적용 기업에 AI의 체계적인 관리를 요구하는 추세에 발 빠르게 대응하려는 조치다. 국표원이 이날 공개한 표준안은 국제표준화기구(ISO)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에서 지난해 12월 공동으로 발간한 국제표준(ISO/IEC 42001)을 준용한 것이다. 제정안은 국제표준을 기반으로 AI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활용하는 기업의 AI 시스템 구축·운영·유지 계획 수립, 리스크 대처 및 평가, 데이터 관리와 투명성 확보 등 다양한 요구사항을 담고 있다. 이 표준을 적용하면 기업은 AI 시스템의 책임 있는 개발과 사용 측면에서 효과를 볼 수 있다. 또 유럽, 미국 등 주요국에서 AI 기업에 요구하는 사항을 충족해 해외 진출 시 관련 규제를 피할 수 있다. 국표원은 앞으
‘디지털 ESG 온라인 컨퍼런스 3탄’서 EU발 환경규제 타파 방안 제시 지금 이 시점, 전 세계에서 가장 활발하게 전개되는 트렌드 중 하나는 ‘친환경’이다. 지속되는 이상기후로 인해 위기의식에 사로잡힌 결과로 풀이된다. 이에 미국·유럽연합(EU) 등은 온실가스를 주범으로 특정하고, 이를 저감하기 위한 로드맵을 내놓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미국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EU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를 내세워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 줄이기에 나섰다. 이들 법안은 기존 환경규제 방법론과 달리 ‘강제성’을 내포하고 있어 사실상 전 세계 모든 산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로써 각 기업은 이를 타개하기 위한 전략을 세우고, 장기적인 안목을 토대로 한 친환경 정책을 전개하고 있다. 디지털ESG얼라이언스(DEA)는 DEA는 제조·SI 업체, 인증기관 등 ESG 관련 주체가 모인 산학연 연합체다. 지속가능성 역량 강화, 글로벌 환경규제 대응, 디지털 전환(DX) 기반 ESG 생태계 구축 등을 통해 산업 고도화에 기여한다는 목표로 지난 3월 출범했다. 내달 5일 DEA 회원사가 총출동해 우리 기업이 글로벌 환경규제에 대응하는 전략적 접근법을 공개한다. 디지털 ES
‘디지털 ESG 온라인 컨퍼런스 3탄’서 EU발 환경규제 타파 방안 제시 지금 이 시점, 전 세계에서 가장 활발하게 전개되는 트렌드 중 하나는 ‘친환경’이다. 지속되는 이상기후로 인해 위기의식에 사로잡힌 결과로 풀이된다. 이에 미국·유럽연합(EU) 등은 온실가스를 주범으로 특정하고, 이를 저감하기 위한 로드맵을 내놓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미국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EU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를 내세워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 줄이기에 나섰다. 이들 법안은 기존 환경규제 방법론과 달리 ‘강제성’을 내포하고 있어 사실상 전 세계 모든 산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로써 각 기업은 이를 타개하기 위한 전략을 세우고, 장기적인 안목을 토대로 한 친환경 정책을 전개하고 있다. 디지털ESG얼라이언스(DEA)는 DEA는 제조·SI 업체, 인증기관 등 ESG 관련 주체가 모인 산학연 연합체다. 지속가능성 역량 강화, 글로벌 환경규제 대응, 디지털 전환(DX) 기반 ESG 생태계 구축 등을 통해 산업 고도화에 기여한다는 목표로 지난 3월 출범했다. 내달 5일 DEA 회원사가 총출동해 우리 기업이 글로벌 환경규제에 대응하는 전략적 접근법을 공개한다. 디지털 ES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베네웨이크(Benewake)의 단일 포인트 라이다(LiDAR) 모듈 ‘TFS20-L’을 공급한다고 27일 밝혔다. TFS20-L은 서비스 로봇, 소비자용 드론 및 사물인터넷(IoT)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통합된 소형의 단일 채널 dToF(direct Time-of-Flight) 거리 측정 모듈이다. 이 라이다 모듈은 경량의 콤팩트한 설계로, 적외선 감지 기능이 강화된 고감도 SPAD(single photon avalanche diode) 센서를 탑재하고 있어 까다로운 조명 조건에서도 최대 20미터까지 고정밀 거리 측정이 가능하다. 로봇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dToF 센서는 수평 선상의 장애물만 감지해, 이러한 수평선 아래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데에는 효과가 떨어진다. TFS20-L 라이다는 반사율이 각기 다른 표면에서도 정확한 측정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모듈은 100Klux의 조도에서도 15미터의 태양광 저항(sunlight resistance) 성능과 반사율 보정 기능을 갖추고 있다. 마우저는 “TFS20-L은 완벽하게 통합된 SPAD 칩 솔루션과 히스토그램 통계 알고리즘, 그리고 고속 TDC(time-to-digital Conve
딥파인은 내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5를 앞두고 발표된 ‘CES 혁신 어워즈’에서 XR 공간정보 구축 솔루션 ‘DSC’(DEEP.FINE Spatial Crafter)로 혁신상을 수상했다고 27일 밝혔다. 세계 최대 소비자 전자 제품 박람회 CES는 매년 11월 다음 해 CES를 빛낼 최고의 기술이나 제품을 선정해 혁신상을 수여한다. 현실 공간을 3D로 구축하는 XR 공간정보 구축 솔루션 DSC는 XR 기술 및 액세서리(XR Technologies & Accessories) 부문에 선정되며 기술력과 혁신성을 인정 받았다. 딥파인은 내년 1월 CES 2025 부스 참가를 통해 세계 각국의 참여 기업에 DSC를 선보이고 해외 판로를 개척할 예정이다. DSC는 특허 등록한 ‘제작 복잡도 및 난이도를 저감하는 3차원 맵 생성 및 방법 시스템’을 통해 고가의 라이다(LiDAR) 장비나 엔지니어 없이도 모바일 기기로 누구나 손쉽게 영상을 찍듯 디지털 공간을 생성할 수 있게 한다. 플랫폼 내에서 2D·3D 형식의 AR 콘텐츠 제작 및 배치까지 가능하다. 증강 현실 콘텐츠를 배치할 수 있는 ‘처리 증강 콘텐츠 처리 시스템’ 역시 올해 특허
아시아나IDT가 자사 개발 AI 솔루션 기반으로 공공·엔터프라이즈 분야 사업을 본격화한다. 아시아나IDT 기업부설 연구소(AI빅데이터연구소)는 항공, 금융 분야 고객사와 B2B 플랫폼을 대상으로 현장 실증 프로젝트를 통해 자사에서 개발한 AI 솔루션 ‘모델옵스AI’(ModelOps.Ai)와 ‘AI오케스트레이터’(AI Orchestrator)의 성능 검증을 완료했다. 모델옵스AI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AI 모델 도입 후 성능 저하로 인한 서비스 품질, 기업의 손익 및 신뢰도 하락 등 경영 손실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모니터링하는 AI 모델 성능 관리 솔루션이다. AI오케스트레이터는 방대한 양의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해 언어 이해 및 생성 작업을 수행하는 생성형AI와의 연계를 지원하는 솔루션으로, 생성형 AI의 환각(Hallucination) 현상을 최소화하고 자연어 생성 모델과 검색 기술을 결합함으로써 정확성을 높이고 맥락(Context)을 고려한 답변을 생성하도록 지원한다. 아시아나IDT는 아시아나항공의 기상 및 노탐(NOTAM:NOTice to AirMen) 데이터 분석 시스템에 모델옵스AI를 적용해 항공기 안전 운항 관련 데이터 분석 성능을 모니터링하고
텍스트-오디오 조합으로 프롬프트에 설명된 음악·음성·사운드의 모든 조합을 생성 및 변형 엔비디아가 텍스트만으로 오디오 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생성형 AI 모델 ‘푸가토’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엔비디아 생성형 AI 연구팀이 개발한 푸가토는 노래를 작곡하거나 음성을 수정할 수 있는 일부 AI 모델보다 뛰어난 정교함을 자랑한다. 푸가토는 텍스트와 오디오 파일의 조합을 사용해 프롬프트에 설명된 음악, 음성, 사운드의 모든 조합을 생성하거나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트 프롬프트에 따라 음악 스니펫(snippet)을 생성하고, 기존 노래에서 악기를 제거하거나 추가하고, 목소리의 억양이나 감정을 바꿀 수 있다. 심지어 이전에 들어본 적 없는 소리를 만들어낼 수도 있다. 멀티 플래티넘 프로듀서이자 작곡가인 이도 즈미슬라니(Ido Zmishlany)는 최첨단 스타트업을 위한 엔비디아 인셉션 프로그램의 회원사인 원 테이크 오디오의 공동 설립자다. 그는 “이 기술은 정말 대단하다. 사운드는 내 영감의 원천이다. 그것이 내가 음악을 만들게 하는 원동력이다. 스튜디오에서 즉석으로 완전히 새로운 사운드를 만들 수 있다는 생각은 정말 놀라운 일이다”고 말했다. 라파엘 발레(R